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01:03:41

헌법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의 헌법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height=20><tablebordercolor=#7f7377><width=50%><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rowbgcolor=#7f7377,#8b8084> 법령등 ||<width=40%> 법령등이 아닌 것 ||
법령 법령이 아닌 것
헌법 법률 법규명령[1] 법령보충적 행정규칙[3] 자치법규[4] 행정규칙[5]
법령에 해당하는 규칙[2] 법규명령형식의 행정규칙[6]
조약 법령등이 아닌 자치규범[7]
[ 예시 및 각주 펼치기 · 접기 ]
----

행정작용의 위임구조
헌법 법률 법규명령1 행정행위 권력적 사실행위
왼쪽으로 갈수록 상위법, 오른쪽으로 갈수록 하위법이다.2
1. 법령보충규칙(행정규칙 형식의 법규명령) 포함
2. 켈젠의 법단계설


1. 개요2. 기능과 특성3. 분류
3.1. 형식에 따른 분류3.2. 개정 난이도에 따른 분류3.3. 제정주체에 따른 분류3.4. 규범성에 따른 분류
4. 헌법관5. 헌법 제정과 개정
5.1. 제헌5.2. 개헌
6. 해석과 보호7. 각국의 헌법8. 헌법학자
8.1. 한국8.2. 외국
9. 여담1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헌법(, constitution)은 국가의 기본 법칙으로서 국민의 기본적 인권을 보장하고 국가의 정치 조직 구성과 정치 작용 원칙을 세우며 시민과 국가의 관계를 규정하거나 형성하는 최고의 규범이다. 헌법전은 통상 자유권, 평등권국민의 4대 의무 등 국민의 기본권의무에 관한 규정과 국가권력의 조직 및 작용에 관한 규정으로 구성된다.
헌법은 국민적 합의에 의해 제정된 국민생활의 최고 도덕규범이며 정치생활의 가치규범으로서 정치와 사회질서의 지침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민주사회에서는 헌법의 규범을 준수하고 그 권위를 보존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헌법재판소 1989. 9. 8. 선고 88헌가6 결정
국가의 기본적 가치질서에 관한 국민적 합의를 정하고 있다는 것은 헌법이 모든 국가질서의 바탕이 되고 한 국가사회의 최고의 가치체계라는 뜻이므로 입법, 행정, 사법 등 모든 국가 권력은 헌법에 어긋나지 않게 행사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사회의 최고가치체계이므로 법률을 만들고 해석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국가나 정체에 따라 헌법전의 이름에 '헌법(constitution)' 대신 '기본법(basic law)' 또는 '헌장(charter)'등의 다른 명칭을 쓰기도 하지만 역시 헌법적 사항을 담고 있다. 전자는 독일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1]을, 후자는 근대 유럽의 흠정헌법 헌장이나 유엔 헌장을 들 수 있다. 많은 연방제 국가는 의 연합체로서 각 주에 독자적인 헌법이 있는데 이 경우 연방 헌법과 주 헌법의 중층 구조가 된다.

2. 기능과 특성

헌법은 다른 법들과는 달리 헌법만의 고유한 기능을 갖는데 주요한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 첫째, 한 집단이 국가로서 정치적으로 단합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 둘째, 그 나라의 정치활동을 지배하는 기능을 한다.
  • 셋째, 그 나라의 국민의 인권을 보장함과 함께 그들의 공감대에 부응하여 사회통합에 기여하는 기능을 한다.
  • 넷째, 어느 특정인 또는 특정집단에 권력이 편중되지 않도록 권력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 다섯째, 그 나라 내에서 정의가 실현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헌법의 특성이라고 한다면 역시 다른 법들과 마찬가지로 규범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헌법의 규범성은 민법, 형법, 상법 등과는 확연히 다른 성질의 것이다. 이를 정리하자면 대략 다음과 같다.
  • 최고규범: 헌법은 최상위의 지위를 갖는 규범이다.
  • 정치규범: 헌법은 그 나라의 정치의 규범이다.
  • 조직수권규범: 헌법은 그 나라의 정부를 조직하는 규범이다.
  • 생활규범: 헌법은 국민 개개인의 일상생활의 규범이다.
  • 권력제한규범: 헌법은 그 나라의 권력의 규범이다.

3. 분류

3.1. 형식에 따른 분류

헌법을 포함한 법은 형식이 제정되어 문서화되어 있느냐에 따라 성문법불문법으로 나뉜다.
  • 성문헌법(成文憲法)은 헌법이 헌법전(憲法典)으로서 통일적·체계적으로 법전화되어 있는 것을 가리킨다. 대부분의 나라가 성문헌법을 가지며 대한민국 헌법도 성문헌법이다.
  • 불문헌법(不文憲法)은 헌법적 사항[A]이 형식적 헌법전의 존재 없이 일반법이나 그 밖의 규범[3]에 따라 규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헌법을 가진 나라는 영국이 대표적이다. 불문헌법에는 관습헌법도 포함된다. 관습헌법과 헌법적 관습을 구별하기도 하지만 헌법재판소관습헌법과 헌법적 관습을 구별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수도를 헌법에 규정한 나라들의 예를 들어 수도를 헌법 사항으로 보고 '서울이 수도'라는 점이 관습헌법에 해당한다고 본다.

헌법은 형식에 따른 개념의 범위에 따라 실질적 헌법과 형식적 헌법으로도 나뉜다.
  • 형식적 헌법은 헌법전의 조문을 가리킨다.
  • 실질적 헌법은 헌법적 사항[A]을 다루는 모든 관습, 법률, 명령 등을 포함한다. 실질적 의미의 헌법 개념으로 본다면 정부조직법, 법원조직법 등도 헌법이라 할 수 있다.

3.2. 개정 난이도에 따른 분류

헌법은 개정 난이도에 따라 경성헌법과 연성헌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 경성헌법(硬性憲法, Rigid constitution)은 개정이 특별히 까다로운 헌법이다. 앨버트 다이시(Albert V. Dicey)는 경성헌법을 '일반법과는 같은 방법으로 개정될 수 없는 법'이라 정의했다. 이에 따르면 경성헌법은 개정에 있어 의회 내에서 더욱 까다로운 투표 요건을 가지거나 법안 통과 후에도 국민투표 등을 요하는 개정이 까다로운 헌법이다.
  • 연성헌법(軟性憲法, Flexible constitution)은 경성헌법과 달리 개정이 특별히 까다롭지 않은 헌법으로, 헌법의 개정 요건 및 절차가 일반법과 동일한 법을 가리킨다.

헌법의 개정 난이도는 어떤 헌법의 조항이 갖는 규범성이 얼마나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는가와 직결된다. 개정 난이도가 낮을수록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으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고 높을수록 그 반대가 된다. 현존하는 한국, 미국, 일본 등 많은 국가의 헌법은 경성헌법이다. 한편 성문헌법이 아닌 불문헌법에서 경성 및 연성헌법을 구분하지는 않으나 불문헌법은 사실상 연성헌법이라는 것이 학계의 일반적인 의견이다.

3.3. 제정주체에 따른 분류

헌법은 제정 주체에 따라 흠정헌법, 민정헌법, 협약헌법, 국약헌법으로 나뉜다.
  • 흠정헌법(欽定憲法, Monarchical constitution)은 군주가 제정한 헌법으로 진정한 의미의 근대적 헌법은 아니다. 루이 18세 시대의 프랑스 헌장(1814), 프로이센 헌법(1850), 대일본제국 헌법(1889), 흠정 헌법 대강(1908)이 대표적이며 헌법인지에 대한 견해의 차이가 있으나 대한국 국제(1899)를 헌법으로 본다면 역시 흠정헌법의 성격을 갖는다.
  • 민정헌법(民定憲法, Demogenic constitution)은 국민투표 또는 국민을 대표하는 제헌의회에 의해 국민이 직접 제정한 민주적 헌법이다. 군주제 국가의 소멸에 따라 현대에는 대한민국을 비롯한 대다수의 현대 국가가 민정헌법을 갖고 있다.
  • 협약헌법(協約憲法, Contractual constitution)은 군주와 국민 또는 국민 대표 간의 협약에서 비롯되는 헌법으로, 흠정헌법과 민정헌법의 중간 단계라고 할 수 있다. 7월 왕정 당시 프랑스 헌장(1830)과 구 스웨덴 헌법(1809)이 이에 해당한다.
  • 국약헌법(國約憲法, Treaty constitution)은 둘 이상의 국가가 연합하여 제정한 헌법이다. 이러한 형태의 헌법은 사회 및 문화적 가치가 비슷한 국가들이 매우 긴밀한 수준으로 통합되어 있을 때 나타날 수 있으며 오늘날에도 그 사례가 많지 않고 여전히 실험적 단계에 있다. 미국 독립전쟁 당시 13개 식민지가 연합하여 만든 연합규약(1778), 독일 통일 당시의 제국 헌법(1871) 및 소련 붕괴 후의 독립국가연합 헌장(1992)이 국약헌법의 성격을 띄고 있으며 오늘날 이러한 통합적 시도는 유럽연합에서 주로 진행되고 있다.

3.4. 규범성에 따른 분류

뢰벤슈타인의 분류에 따르면 헌법은 규범적 헌법, 명목적 헌법, 장식적 헌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헌법규범과 헌법현실이 일치하는가의 여부를 기준으로 한다.
  • 규범적 헌법은 헌법이 실제로 규범력을 가지고 사회와 헌법이 괴리되지 않은 헌법으로, 가장 이상적인 헌법이다.
  • 명목적 헌법은 사회와 헌법 간의 괴리가 있어 규범력이 거의 없는 헌법을 말한다.[5]
  • 장식적 헌법은 말그대로 민주국가라는 구색을 맞추기 위해 있는, 규범력이 전혀 없는 헌법을 말한다. 보통 독재국가의 헌법이 이에 해당한다.

4. 헌법관

헌법관(憲法觀, perspectives on the constitution)은 헌법을 바라보는 관점을 가리킨다. 주류 헌법학의 헌법관은 크게 세 가지를 들 수 있으며 현대 헌법학계에서는 어느 한쪽에 크게 치우치기보다는 세 가지 관점을 균형 있게 아우르며 상호 비평하는 추세로 보인다.

하나는 공법학자 켈젠(H. Kelsen)과 옐리네크(G.Jellinek) 등을 위시한 학파로, 헌법의 규범성과 경직성을 기본 바탕으로 하여 헌법의 법리해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흔히 법실증주의라고 부르기도 한다. 성문헌법, 경성헌법을 해석하는 데에 특히 유리하며, 간단히 설명하면 헌법의 과정보다 헌법의 결과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처럼 애초에 "헌법이 어떻게 규정되어 있는가" 에 집중하기 때문에 그 반대급부로 "헌법이 어떻게 제정되고, 규정되며, 어떻게 변동하는가" 와 같은 질문들에는 대답하기 사실상 불가능한 관점이다. 그래서 이런 입장이야말로 실정법 만능주의가 아니냐는 지적을 많이 받고 있다. (법실증주의 학파, 규범성 강조 )

또 다른 헌법관은 슈미트(K.Schmitt)의 관점인데 여기서는 정치적 결단과 의지라는 개념을 강조한다. 따라서 흔히 결단주의라고도 불리는 입장이다. 정말 거칠게 압축해서 말하자면 이 관점도 헌법의 과정보다는 헌법의 결과를 더 중요시하는 편이나, 법실증주의와는 달리 헌법의 해석보다는 형성이나 개정 같은 동태적 측면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다. 이들은 그 어떤 헌법개정이라 할지라도 가장 기초적이고 근본적인 결단에 대해서는 침해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 다만 헌법의 동태성을 파악하는 관점 중 굉장히 미시적인 측면에만 머물러 있으며, 특히 독재자에 의해 "우리 국민의 정치적 결단에 의해 종신 재임을 하겠습니다" 하는 식으로 나쁘게 이용당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6] ( 결단주의, 정치성 강조 )

마지막 헌법관은 스멘트(R.Smend)의 것으로 헌법을 "사회의 통합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생활양식" 으로 이해하고 이를 위해 사회의 동화와 통합으로써 헌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문에 종종 통합과정론이라고도 불리는 관점이다. 이 입장은 본질적으로 굉장히 동태적이기 때문에 슈미트의 관점과도 유사점이 있으나 그보다는 좀 더 거시적이며 결과보다 과정을 더 중시하는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옐리네크의 법실증주의와는 정태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구별될 수 있다. 다만 이 입장은 법실증주의에 의해 헌법의 규범성을 지나치게 소홀히 다루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하지만 독일의 헌법관 논의에 대해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왜냐하면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패전국가로서 독일의 혼란한 국내적인 정치 사회적 상황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논의되었던 특수한 경우로 국한시킨 논의에 불과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고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 '혼란기를 어떻게 수습할 것인가?'라는 당대 국가학이라는 큰 틀에서 지식인들이 바른 국가관 내지는 헌법관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나온 헌법관이 헌법관의 전부라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제한할 필요는 없으며 3가지 헌법관으로 일반화하기 어렵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화해서 보기보단 이러한 3가지 헌법관이 나오게 된 역사적 배경등을 잘 살펴서 작금의 헌법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 것인지, 한국만의 특수한 상황이 무엇인지 현시대를 살아가는 헌법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떠한 입장을 견지해 나아가야 할지를 고민하는 게 중요하다.

예를 들어 헌법관이 가지는 가치와 의미는 3가지 헌법관에 따른 기본권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지, 국가의 역할과 기능이 무엇이며, 국가가 국민에 대한 권력(내지는 권리-의무관계)과 국민이 국가에 대해 가지는 자유(권)의 의미는 무엇이며 이것이 국가에 대한 어떠한 상호작용으로 설정될 수 있는가에 대한 결론이 다르게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수 있다.

독일 헌법학의 영향을 받은 한국 헌법학에 관한 저서들은 헌법(verfassung)이라는 용어 자체가 크게 기본법(Grundgesetz)과 좁은 의미의 헌법(verfassung)으로 구별하여 이해하고 있다. 독일에서는 국가학이라는 특별한 학문의 영역과 중첩되는 경우로서 헌법학을 단순히 법학의 한 테두리만으로 볼수 없는 특수한 상황 하에서 헌법학이 연구되고 있다. 그래서 사변적이고 철학적이며, 정치학의 성질을 가지면서 동시에 규범학의 성질로서 연구된다.[7]

5. 헌법 제정과 개정

5.1. 제헌

헌법의 제정, 즉 제헌은 보통 에마뉘엘 조제프 시에예스(Emmanuel Joseph Sieyès)의 관점을 많이 따르는데 그는 "헌법을 제정하는 권력은 시원성(始原性)에 의해 정당화된다"고 주장하여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역시 이런 논법은 일종의 자증적 정당화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대신 보편타당한 가치나 이데올로기로 정당화하여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시에예스는 제헌절차에 있어 간접제헌을 주장하면서 직접제헌을 주장한 장 자크 루소와 충돌하기도 하였다. 제헌활동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는데 새 헌법이 사회통합적 목표에 부합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 보편적 이데올로기 및 전통적 법문화에 부합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 국제법이나 인권을 침해해서는 안 된다는 것 등이다.

5.2. 개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개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헌법의 개정은 "헌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서 그 통일성을 유지하며 명시적으로 고치는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시대상에 따라서 외형적 변화 없이 암묵적으로 해석이 변화하는 헌법변천[8]과는 다른 개념이다. 개정 방법은 크게 개정식(revision)과 증보식(amendment)의 2가지로 나뉘는데, 대한민국 헌법은 전자를, 미국 헌법은 후자를 채택하고 있다. 그래서 한국은 개정할 조항을 갈아끼우는 반면 미국은 개정할 조항을 그 말미에 계속해서 덧붙인다. 이 때문에 뒤의 조항이 앞의 조항을 무효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술한 수정헌법 제 18조(금주법)에서 그 실례를 확인해볼 수 있다.

대한민국의 개헌 역사와 현행 개헌 논의는 대한민국 헌법/역사 문서 및 10차 개헌 문서 참고.

6. 해석과 보호

헌법을 해석한다고 할 때에는 주로, 헌법현실에 비추어볼 때 그에 대응하는 헌법규범의 의미와 내용을 찾아서 헌법소송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활동을 의미한다. 우선적으로는 헌법재판소와 여러 헌법학자들이 이 일을 맡지만 최종적이고 궁극적인 해석주체는 역시 국민이라 할 수 있다.

헌법을 해석하는 방법 역시 크게 3가지인데 첫째로 법조문을 중심으로 하여 해석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사비니(F.C.Savigny)의 방법론을 가져온 것인데 굉장히 고전적이고 교과서적이지만 자칫 헌법현실에서 유리될 위험이 있다. 둘째로 당면한 현실을 기준으로 하거나 개별적 사안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이 있는데 굉장히 문제 중심적이고 가치 지향적인 해석방식이라는 특징이 있지만 역시 잘못하면 헌법의 규범적 측면이 무시되고 법조문과 괴리를 일으킬 위험이 있다. 마지막 세 번째는 다소간 절충적인 방법으로, 헌법에 내재된 이론과 가치관을 찾아서 그 규범을 중심으로 해석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세 가지 중에서 어느 쪽을 택하여야 할지는 결과적으로는 헌법소송 사안에 따라 케이스 바이 케이스가 될 거라는 것이 중론이다.

법률의 합헌적 해석이라는 것도 있는데 어떤 법률이 헌법에 비추어볼 때 굉장히 위헌적이라고 판단된다고 할지라도 합헌적으로 해석될 여지가 여전히 남아 있다면 이를 쉽사리 위헌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는 해석지침이다. 이것은 헌법이 일종의 해석적 규칙으로 기능하고 각 법률의 조화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어떤 법률이 헌법에 저촉되는지를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그것을 무효화하는 활동인 위헌심사와는 다른 개념이다.

헌법을 보호한다는 것은 헌정생활의 기초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헌정질서를 수호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차적으로는 관련 제도가 헌법이 흔들리는 것을 막지만 궁극적으로는 국민이 현행 헌법을 수호하겠다는 의지가 있어야만이 헌법이 생존할 수 있다. 다른 법과 달리 국민들의 성원과 지지에 의해서만 보호받는다는 것은 헌법만이 가지고 있는 특이한 성질 중 하나이다.

헌법에 위협이 되는 사례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위험한 독재자에 의해 발생하는 하향식 헌법침해이며 다른 하나는 국민들에 의해 발생하는 상향식 헌법침해다. 전자에 대한 방어수단으로는 먼저 헌법소송, 삼권분립, 헌법의 경성화, 저항권 등이 존재하며 후자에 대한 방어수단으로는 방어적 민주주의, 위헌정당해산제도 등이 거론된다.

헌법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은 대통령 역시 시행할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대한민국 한정으로 악명높은(…) 국가긴급권이다.[9] 다만 국가긴급권을 발동할 때는 과잉금지의 원칙을 준수하고, 헌법질서의 정상화를 목적으로 하며, 국가비상사태를 장기화 및 영구화하거나 남발하여 오히려 헌법질서를 위협하면 그 정당성을 잃게 된다. 사실 어떠한 상황에도 국가긴급권은 국민의 기본권을 마음대로 침해할 수 없으며 이것은 다시 최소침해의 원칙으로 정리되어 있다.

7. 각국의 헌법

세계의 헌법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font-size: .85e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대한민국 헌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일본국 헌법
日本國憲法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中华人民共和国宪法
미합중국 헌법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프랑스 공화국 헌법
Constitution française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
Grundgesetz für die Bundesrepublik Deutschland
스페인 헌법
Constitución española
스위스 연방 헌법
Bundesverfassung der Schweizerischen Eidgenossenschaft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호주 연방 헌법
Constitution of the Commonwealth of Australia
남아프리카 공화국 헌법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필리핀 공화국 헌법
Saligang Batas ng Pilipinas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타이 왕국 헌법
รัฐธรรมนูญแห่งราชอาณาจักรไทย
아랍에미리트 헌법
دستورالإمارات
브라질 연방 공화국 헌법
Constituição da República Federativa do Brasil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헌법
Constituição de Angola
미승인 국가의 헌법 국가가 아닌 자치지역 또는 단체의 헌법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파일:UN기.svg
중화민국 헌법
中華民國憲法
홍콩특별행정구 기본법
香港特别行政区基本法
유엔 헌장
Charte des Nations Unies
헌법으로서의 효력을 상실한 헌법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청나라 국기.svg
대한국 국제
大韓國國制
대일본제국 헌법
大日本帝國憲法
흠정 헌법 대강
欽定憲法大綱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제작 태극기.svg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헌법
Конституция СССР
바이마르 헌법
Weimarer Verfassung
홍범 14조
洪範十四條
파일:동독 국기.svg
독일민주공화국 헌법
Verfassung der Deutschen Demokratischen Republik
※ 개별 문서가 있는 헌법만 열거함 }}}}}}}}}

특이하게도 민주주의적 요소가 부족한 국가는 상대적으로 헌법 전문(前文, Preamble)이 장황한 경우가 많다. 덴마크, 노르웨이, 독일 등 정치 선진국의 헌법 전문은 아예 존재하지 않거나 몇 문장 정도로 매우 간략한 데 반해[10] 일당독재 국가인 중국이나 북한(...) 등은 매우 길고 장황하며 복잡하다. 각국의 헌법 전문 민주주의가 정착한 나라들에서야 정말 국가를 구성하는 대원칙만 간결하게 설명하면 되지만 그렇지 못한 나라는 결국 부족한 정당성을 억지로 메우기 위해 여기저기에서 갖가지 권위를 빌려와야만 하기 때문이다. 북한 헌법 전문만 봐도 김일성 찬양으로 도배한 구절들로 가득하고 중국 헌법 전문도 장황하다. 또다른 특징은 중국과 북한은 헌법 전문에 특정 인물(마오쩌둥, 김일성)의 이름이 매우 많이 작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신들의 국가가 가진 정당성의 결여와 과거의 잘못된 부분들에 대한 불인정(또는 부수적-필수적 요소라는 주장), 그리고 특정 인물에 대한 영웅화와 신격화를 통해 국가가 가진 실수와 독재적 성격에 대한 지지를 찾으려는 모습으로 해석할 수 있다.[11]

7.1. 대한민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1. 대한제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국 국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제국에는 헌법에 상응하는 대한국 국제가 있었다.

7.2. 북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이 존재는 하지만 북한은 사회주의를 추구하며 사실상 일당제 체제이므로 이 국가보다 위에 있다. 따라서 국가의 헌법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보다 당의 규약인 조선로동당규약이 우선한다.

다른 사회주의 국가와 달리 북한은 한술 더 떠 당 규약보다도 당의 유일적령도체계확립의 10대원칙이 우선한다. 이 원칙은 김정은이 원하면 언제든 바꿀 수 있으므로 명목상으로든 실질적으로든 헌법보다 로동당의 지시와 김정은의 명령이 더 강하다.

7.3. 일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본국 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일본의 헌법은 메이지 유신 과정에서 제정된 대일본제국 헌법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개헌 절차를 거쳐 발효된 일본국 헌법으로 나뉜다.

7.4. 중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중국의 헌법은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으로, 1949년의 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1954년에 중화인민공화국으로서 첫 헌법을 제정했으며 1975년, 1978년, 1982년에 개정한 바 있다. 현행 헌법은 1982년에 제정된 것이며 큰 틀은 당시 제정한 헌법을 따르지만 1988년, 1993년, 1999년, 2004년, 2018년에 몇 개 조항을 수정한 바 있다.

공산주의 국가는 대부분 일당제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국가정당인 공산당의 당헌 혹은 당규가 실질적으로 헌법보다 더 높은 지위를 차지하고 헌법의 위상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이는 중국도 마찬가지인지라 중화인민공화국 헌법보다 중국공산당 규약이 더 중요하게 여겨진다.

7.4.1. 홍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화인민공화국 홍콩특별행정구 기본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5. 대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만 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6. 이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란 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헌법 전문이 매우 긴 나라로 유명하다. 영어로 번역한 헌법 전문

7.7. 아랍에미리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랍에미리트 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8. 태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타이 왕국 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32년에 제정되었으며 수차례의 쿠데타와 정치상황에 따라 개헌이 있어 왔다. 특징은 다른 나라의 개헌 횟수와 비교하면 많이 개헌되었다는 점이다.

7.9. 필리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필리핀 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0. 호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주 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1. 프랑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랑스 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미국에 이어 세계 두번째이자 유럽에선 처음으로 왕정을 타파하고 혁명을 통해 수립된 공화국인 만큼 헌법에 천부인권 요소가 들어가 있다. 안타깝게도 성문헌법은 입헌군주제를 노리던 폴란드에 밀려서 세번째다. 프랑스 헌법의 연원은 프랑스 혁명 도중인 1789년에 혁명의 기치였던 자유와 평등, 박애를 구체화한 《프랑스 인권 선언》이다. 국민의회는 1791년 입헌군주제와 제한선거를 골자로 하는 첫 헌법을 제정했다. 프랑스 역사는 왕정 복고와 공화국 재수립을 반복하다가 1871년 제3공화국이 탄생하면서 공화제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식민지의 독립으로 국력이 약해진 프랑스를 새롭게 쇄신하기 위해 헌법개정을 통해 1958년 출범한 프랑스 제5공화국의 헌법이 현행이다. 이 때 개헌의 핵심은 대통령 권한의 강화였다. 1970년대 한국의 유신헌법을 만들기 위해 주로 연구된 것이 당시 프랑스 헌법이었다.
La France est une République indivisible, laïque, démocratique et sociale. Elle assure l'égalité devant la loi de tous les citoyens sans distinction d'origine, de race ou de religion. Elle respecte toutes les croyances. Son organisation est décentralisée.
La loi favorise l'égal accès des femmes et des hommes aux mandats électoraux et fonctions électives, ainsi qu'aux responsabilités professionnelles et sociales.
① 프랑스는 불가분적, 비종교적, 민주적, 사회적 공화국이다. 프랑스는 출신, 인종 또는 종교에 따른 차별 없이 모든 시민이 법 앞에서 평등함을 보장한다. 프랑스는 모든 신념을 존중한다. 프랑스는 지방분권화된 조직을 갖는다.
② 법률은 남성과 여성이 선출직 및 그 임기 그리고 직업적, 사회적 책무에 동등하게 접근하도록 한다.
프랑스 헌법 제1조 1항과 2항

7.12. 독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헌법 이야기 하면서 빠지면 섭섭한 나라가 독일이다. 바이마르 헌법도 그렇지만 기본법도 꽤나 많이 들여다 보는 듯하다. 현 독일 헌법은 이름이 "헌법"이 아닌데 서독의 기본법(Grundgesetz)을 계승하면서 이름을 고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독일어로 '헌법'은 Verfassungsrecht지만 독일에서는 헌법이라 부르지 않고 기본법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국가의 운영과 존립의 기본이 되는 법'이라는 의미다. 독일은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의 헌법 이후 Verfassungsrecht이라는 명칭을 쓰지 않고 기본법이라는 명칭만 사용한다. 원래는 독일 재통일할 때 제헌 의회를 소집하여 헌법을 제정하기로 되어 있었지만 여전히 서독 헌법을 그대로 쓰고 있기 때문이다.[12] 당시 서독의 기본법에서는 기본법의 적용범위가 독일의 전체 국토가 아닌 일부 주(州)에 한정적으로 적용된다고 규정하여 통일 전의 임시헌법이라는 점을 명확히 했다. 이런 측면에서는 명목상으로는 북한 지역에도 효력이 있는 대한민국 헌법과 차이가 있다. 동독의 의회가 서독 편입을 결의하고 통일된 후 서독의 기본법을 근간으로 하여 헌법을 개정했지만 기본법이라는 이름을 유지하였다.
Die Würde des Menschen ist unantastbar. Sie zu achten und zu schützen ist Verpflichtung aller staatlichen Gewalt.
인간의 존엄성은 불가침이다. 이를 존중하고 보호하는 것이 국가권력의 책무다.
독일기본법 제1조 제1항
위 문장은 제1조 제1항이다. 다른 나라들의 헌법 제1조와는 달리 국체(국가 체제)에 대한 언명이 아닌 '인간의 존엄'을 먼저 명시했는데 이는 독일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한 후 인류 역사상 최악의 독재정치와 인권말살, 전쟁학살로 얼룩졌던 자신들의 만행을 반성하고 얻은 교훈을 반영한 것이다.

전체 조항은 독일 법무부 법률 인터넷 공개 사이트(영역)홈페이지로.

한국의 법체계는 거의 대부분 독일식이기 때문에 현행 헌법 및 법률의 한계점을 보완하려고 할 때 가장 많이 참고하는 게 독일법이다. 그러다 보니 법학 공부를 해 본 사람이면 웬만하면 독일 기본법을 한 번쯤은 접하게 되어 있다.

7.13. 스위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위스 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4. 영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헌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권리장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5. 네덜란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네덜란드 왕국 헌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네덜란드 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위키문헌 네덜란드 왕국 헌장, 위키문헌 네덜란드 헌법
Allen die zich in Nederland bevinden, worden in gelijke gevallen gelijk behandeld. Discriminatie wegens godsdienst, levensovertuiging, politieke gezindheid, ras, geslacht of op welke grond dan ook, is niet toegestaan.
네덜란드의 모든 국민은 평등한 환경에서 평등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 종교, 신념, 정치적 의견, 인종 또는 성별 등의 어떠한 배경에 바탕을 둔 차별도 금지되어야 한다.
네덜란드 헌법 제1조.
네덜란드의 헌법은 네덜란드 왕국 헌장(Statuut voor het Koninkrijk der Nederlanden)과 네덜란드 헌법(Grondwet voor het Koninkrijk der Nederlanden) 등을 비롯한 네덜란드 왕국 내 자치국(네덜란드, 아루바, 퀴라소, 신트마르턴)들의 헌법으로 나뉜다. 공식적으로는 왕국 헌장이 자치국 헌법보다 우위에 있으나 왕국 헌장은 네덜란드 왕국과 기타 자치국들의 관계를 규정한 헌장으로 이 안에 많은 내용이 있지는 않다. 헌장은 아루바, 퀴라소, 신트마르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네덜란드 왕국의 사항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왕국의 사건이 아루바, 퀴라소, 신트마르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에는 네덜란드 헌법에 따라 대처한다.

네덜란드는 헌법에 전문(前文)이 없으며 바로 헌법 1조부터 시작한다. 네덜란드 헌법 1조는 국가 정체성이 아닌 개인의 권리를 담는다.

1579년 네덜란드 공화국 기본법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도입했고 1794년 네덜란드 왕국 헌법이 성립하여 이 때부터 헌정체제로 본다.

현행 헌법은 1948년 제정되었으며 네덜란드 왕국 헌장 - 네덜란드 헌법의 이중 체제도 이때 만들어진 것이다. 1983년 전면 재제정되었다. 1997년, 2005년 두 차례 개정하였다.

네덜란드는 의외로 헌법을 자주 고치는 나라다. 네덜란드 헌법의 개정절차는 하원에서 재적 과반수의 찬성으로 개헌안을 발의하고 상원에서 심사한다. 상원에서 2/3의 찬성으로 개헌안이 통과되면 하원은 즉시 의회해산이 발생한다. 의회해산을 하여 하원 총선과 헌법 개정안에 대한 찬반 국민투표를 동시에 실시한다. 이후 국민투표에서 유권자 과반수 참여, 유효투표수 과반수 찬성으로 개헌안이 가결된다면 새로 구성된 하원에서 국민투표 결과를 추인하여 개헌 절차가 끝난다. 네덜란드 국왕은 이 과정에 개입할 수 없다.

네덜란드는 헌법에 유효기간이 있는데 한 번 헌법을 제정하면 그 헌법은 최소 20년, 최대 50년간만 유효하다. 그렇기 때문에 네덜란드는 헌법개정절차법을 따로 제정하여 헌법 성립 30년이 지나면 사회 변화에 맞추어 헌법을 전면 재제정하도록 되어 있다. 현재는 1983년 헌법에 대한 재제정을 위한 국민 의견수렴이 진행 중인데 2030년 신 헌법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한다.

7.16. 폴란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폴란드 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폴란드는 프로이센 왕국, 오스트리아 제국, 러시아 제국 3개국이 제1차 폴란드 분할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멸망시키려고 할 때 급박하게 헌법을 만들었다. 이를 1791년 5월 3일 헌법이라고 부르는데 프랑스 혁명 와중에 제정된 당시 프랑스 헌법보다 더 진보적인 헌법으로 손꼽히며 미국 헌법에 이어서 세계 2번째로 남은 성문 헌법이다. 이 헌법은 폴란드 국왕의 조카 유제프 안토니 포니아토프스키세임(폴란드 의회)에 군대까지 끌고 들이닥쳐 귀족들의 만장일치를 이끌어내 제정되었지만 헌법 제정 4년 후 1795년 제3차 폴란드 분할로 폴란드-리투아니아가 완전히 멸망당해 기껏 헌법을 제정한 보람이 사라졌다..(...)

제1차 세계 대전의 결과 독립한 폴란드 제2공화국 시절 헌법은 3단계로 나눠서 제정됐다. 1단계는 1919년 만들어진 임시약법(Small Constitution of 1919)인데 폴란드 제2공화국이 독립하자마자 소비에트-폴란드 전쟁이 벌어져 소비에트 러시아와 전쟁을 했기 때문이다.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 근교의 비스와 강까지 밀린 폴란드군유제프 피우수트스키의 절묘한 기동전으로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붉은 군대전멸시키고 전세역전해 소련 영토 깊숙이 진군하여 1921년 3월 18일 리가 조약을 맺어 벨라루스 서부를 획득했다.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승전을 기념하여 3월 17일에 제정된 1921년 3월 헌법이 폴란드 제2공화국의 실질적인 헌법 역할을 했다. 폴란드의 지도자 유제프 피우수트스키는 1926년 친위 쿠데타를 일으키고 열심히 국정농단을 하다가 죽기 직전인 1935년 4월 23일 1935년 4월 헌법을 만들고 5월 12일 죽었다.

폴란드 제2공화국은 아돌프 히틀러이오시프 스탈린이 짜고 1939년 9월 1일 시작한 폴란드 침공으로 인해 멸망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결과 폴란드는 히틀러와 스탈린의 지배가 시작되었고 1945년 잠시 1935년 헌법을 복구했다가 1947년 스탈린이 압력을 넣은 1947년 임시약법국민투표 결과를 조작[13]하면서 통과시켰다. 1952년 스탈린의 압력으로 폴란드 인민 공화국 헌법을 제정하여 정식 헌법으로 대체했다. 물론 이때도 스탈린은 폴란드 국민투표 결과를 조작했다.

1989년 동유럽 혁명의 결과 폴란드는 민주화되었다. 통일노동당(공산당)과 자유노조는 원탁회의를 통해 폴란드 인민 공화국 헌법을 살짝 손봐서 자유노조의 정치 참여 근거를 마련했다. 자유노조가 점차 공산당으로부터 권력을 빼앗아오면서 헌법을 다시 손봐서 완전한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국가 이념을 사회주의로 정한 조항이 삭제되었으며 나라 이름도 폴란드 공화국으로 바뀌는 등 사회주의 물을 빼는 데 주력했다.

1990년 레흐 바웬사가 폴란드 대통령에 오르면서 1992년 1992년 임시약법을 제정하였다. 5년 후인 1997년 4월 2일 지금까지도 적용되는 폴란드 헌법인 1997년 4월 폴란드 공화국 헌법을 제정하였다.

대한민국 법무부에서 영어 번역본, 국회도서관(전자)에서 한국어 번역본을 제공하고 있으니 참고하자.
Art. 1.
Rzeczpospolita Polska jest dobrem wspólnym wszystkich obywateli.
제1 조. 폴란드공화국은 전 국민의 공동가치이다.
Art. 2.
Rzeczpospolita Polska jest demokratycznym państwem prawnym, urzeczywistniającym zasady sprawiedliwości społecznej.
제2 조. 폴란드공화국은 법에 의해 통치되며 사회적 정의의 원리를 시행하는 민주국가이다.
Art. 3.
Rzeczpospolita Polska jest państwem jednolitym.
제3 조. 폴란드공화국은 단일국가이다.
Art. 4.
1. Władza zwierzchnia w Rzeczypospolitej Polskiej należy do Narodu.
2. Naród sprawuje władzę przez swoich przedstawicieli lub bezpośrednio.
제4 조.
제1 항. 폴란드공화국의 최고권력(주권)은 국민에게 있다.
제2 항. 국민들은 주권을 직접 또는 그들의 대표자를 통해 행사한다.
Art. 5.
Rzeczpospolita Polska strzeże niepodległości i nienaruszalności swojego terytorium, zapewnia wolności i prawa człowieka i obywatela oraz bezpieczeństwo obywateli, strzeże dziedzictwa narodowego oraz zapewnia ochronę środowiska, kierując się zasadą zrównoważonego rozwoju.
제5 조. 폴란드공화국은 공화국 영토의 독립과 완전성을 보호하고 인간과 국민의 자유와 권리, 국민들의 안전을 보장하며 민족의 유산을 수호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의 원리를 추구하며 자연환경을 보호할 것을 보장한다.
특이하게 제1조에 "폴란드공화국은 전 국민의 공동가치이다."라는 조항이 있다. 지금은 폴란드인 단일민족국가지만 폴란드 제2공화국 시절에는 폴란드인 외에 우크라이나인, 유대인, 독일인, 벨라루스인, 러시아인, 리투아니아인소수민족이 워낙 많아서 민족주의 열풍에 따라 각 민족들이 분리주의를 벌일 리스크가 있었다. 독일인은 단치히 자유시를 장악하고 러시아인은 스탈린이 쳐들어올 때 문을 열어줘서 폴란드 제2공화국이 독-소 침공으로 멸망당한 역사를 다시 반복하지 않기 위해 제정된 조항이라고 한다.

7.17. 스페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페인 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스페인의 현행 헌법은 1978년에 제정된 것이다. 후안 카를로스 1세프랑코 체제가 이미 낡아 버렸음을 깨닫고 1976년에 아돌포 수아레스를 총리에 임명하고 민주화 개혁에 착수했다. 1977년 6월에 전국 단위의 제헌국회의원 총선거를 실시하여 제헌국회의원(상원, 하원)들이 1978년 10월에 민주주의, 의원내각제, 지방자치, 양원제, 입헌군주제에 기반한 현행 스페인 헌법을 제정하였다. 헌법은 12월에 국민투표에서 찬성 다수를 얻었고, 최종적으로 국왕 후안 카를로스 1세의 재가를 통해 효력을 발휘하였다.

7.18. 튀르키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튀르키예 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튀르키예 공화국 헌법(Anayasa)은 총 177조로 이루어져 있고 대륙법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수정헌법 체계를 하고 있다. 이를테면 제헌 헌법에서는 "튀르키예 공화국의 국교는 이슬람교이다." 라는 조항이 있었으나 1927년에 삭제되었으며 세속주의와 남녀평등권을 계속해서 강화시키는 추세다. 튀르키예가 이슬람 국가라는 편견을 가지고 있는 이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가장 큰 반박수단이 바로 이 헌법이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집권 후 세속주의 퇴조를 우려하기는 하지만 튀르키예는 여전히 세속주의에 기반한 공화국이다.

특이하게 처음 제1, 2, 3조는 절대로 수정할 수 없는 항목으로 제4조에 명시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I. Devletin şekli
MADDE 1- Türkiye Devleti bir Cumhuriyettir.
1. 국가의 형태
제1조- 터키 국가는 공화국이다.

II. Cumhuriyetin nitelikleri
MADDE 2- Türkiye Cumhuriyeti, toplumun huzuru, millî dayanışma ve adalet anlayışı içinde, insan haklarına saygılı, Atatürk milliyetçiliğine bağlı, başlangıçta belirtilen temel ilkelere dayanan, demokratik, lâik ve sosyal bir hukuk Devletidir.
2. 공화국의 성질들
제2조- 터키 공화국은, 사회의 안정을, 인민의 기대와 정의를 이해하는 가운데, 인간의 권리를 존중하며, 아타튀르크 민족주의에 결합한, 앞서 언급한 바 기본 원칙에 입각한 민주적, 세속적, 사회적인 하나의 법치국가다.

III. Devletin bütünlüğü, resmî dili, bayrağı, millî marşı ve başkenti
MADDE 3- Türkiye Devleti, ülkesi ve milletiyle bölünmez bir bütündür. Dili Türkçedir.
Bayrağı, şekli kanununda belirtilen, beyaz ay yıldızlı al bayraktır.
Millî marşı “İstiklal Marşı”dır.
Başkenti Ankara’dır.
3. 국가의 총체, 공용어, 국기, 국가 및 수도
제3조- 터키 국가는, 국가와 인민들 속에서 결코 나뉘어질 수 없는 하나의 총체다. 그 언어는 튀르키예어다.
그 국기는 형태가 법에 언급된 바에 따른, 흰색 달과 별이 있는 붉은 국기다.
국가는 "독립행진곡"이다.
수도는 앙카라다.

IV. Değiştirilemeyecek hükümler
MADDE 4- Anayasanın 1 inci maddesindeki Devletin şeklinin Cumhuriyet olduğu hakkındaki hüküm ile, 2 nci maddesindeki Cumhuriyetin nitelikleri ve 3 üncü maddesi hükümleri değiştirilemez ve değiştirilmesi teklif edilemez.
4. 불변하는 조항들
제4조- 헌법 제1조에서의 국가의 형태는 공화국임에 대한 법에 따라, 제2조에서의 공화국의 성질들과 제3조의 내용은 바뀔 수 없으며, 이를 수정하는 제안을 낼 수 없다.

참고로 튀르키예 헌법은 이슬람을 관할하는 종교기관도 세속주의 원칙에 의해 운영될 것을 명시하고 있다.
136. Madde İ. Diyanet İşleri Başkanlığı Genel idare içinde yer alan Diyanet İşleri Başkanlığı, laiklik ilkesi doğrultusunda, bütün siyasi görüş ve düşünüşlerin dışında kalarak ve milletçe dayanışma ve bütünleşmeyi amaç edinerek, özel kanununda gösterilen görevleri yerine getirir.
제136조- 총무처에 속한 종교부(diyanet)는 세속주의 원칙에 따라 모든 정치적 견해와 사상을 배제하고 국가적 단결과 통합을 목표로 개별법에 규정된 임무를 수행한다.

나머지 전체 조항은 튀르키예 국회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아 볼 수 있다.

7.19. 미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 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0. 캐나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권리자유헌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82년 Constitution Act를 통해 현행 헌법이 제정되었다. 그 중 첫 35개의 조항은 권리자유헌장 문서 참조.

캐나다 헌법 52조에 따르면 캐나다 헌법은 캐나다의 모든 법 중에 우위에 있으며 헌법과 반하는 법률은 효력을 잃는다.

7.21. 브라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브라질 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2. 앙골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앙골라 헌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헌법학자

8.1. 한국

8.2. 외국

9. 여담

  • 한자어 단어 헌법은 송나라 시대의 集韻에 "顯法示人日憲法後人因謂憲爲法" 이라는 문구가 있을 정도로 오래되었다. 다만 당시의 헌법은 단순한 법을 의미하였다.
  • 헌법적 애국주의에서는 헌법을 사랑하는 것이 '애국'과 같은 의미로 사용될 정도로 중요한 개념이며 이러한 헌법적 애국주의는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서 편협한 내셔널리즘에 대한 반성으로 널리 보급되었다.
  • 개신교 몇몇 교단에서는 자신의 교회법(Canon law)을 헌법이라고 부르고 있다. 개신교 목사고시에도 헌법(=교회법) 과목이 있다.
  • 정당에서는 헌법 역할을 하는 규칙을 당헌으로, 그 외는 당규로 부르기도 한다. 이는 종교도 비슷하게 헌법 역할을 하는 규칙을 교헌, 혹은 종헌, 헌장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 헌법 전문 첫 문장에 "우리 ○○국 국민은~" 이라는 문구가 포함된다는 불문율이 있다.[14] 아랍에미리트는 특이하게 산하 아미르국들을 열거하며 "우리 ○○국의 아미르들은~" 식으로 되어 있다. 독일은 마지막 문장에 "우리 ○○주의 독일인은~"이라고 명시했다.

10. 관련 문서



[1] 독일 기본법은 제정 당시에는 독일이 서독동독으로 나뉘어 있었으므로 독일 재통일 이전까지 시행할 잠정적이고 임시적인 헌법임을 강조하기 위해 '헌법(Verfassung)'이라는 명칭을 피했다. 이는 기본법 전문에서 확인할 수 있고 제146조에서는 '헌법이 시행되는 날까지 이 기본법을 시행함'이라고 정해 놓았지만 정작 재통일 이후에도 독일 헌법이 별도로 제정되지 않고 기본법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A] 국가권력작용의 기본적인 원칙을 정하거나 그 밖의 기본적이고 원초적인 사항을 규율하는 법규범에 관한 사항을 가리킨다.[3] 법적 확신, 역사적 선례, 판례, 정치적 관행 등[A] [5] 예를 들어 어느 내전 중인 국가가 인간의 존엄과 세계평화에 이바지한다는 등의 조항을 헌법에 기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헌법 현실과의 괴리는 있지만 명목상으로나마 그 국가의 지향점을 제시하는 사례다.[6] 지금까지도 계속 인용되는 법철학자로서의 면모와는 별개로 칼 슈미트의 나치 부역 경력을 생각하면 상당히 묘해지는 부분이다.[7] 물론 헌법이 가지는 사실적 특성은 특정한 한 나라의 연구방식에 의해서 창설된다라고 보기 어렵고 국가라는 조직체가 있는 곳이라면 시공간을 초월해서 그것이 규범력이 갖춘 것이라면 당연히 정치성, 이념성을 가지게 된다.[8] 대표적인 예로는 아마도 일본의 현 헌법이 과거와 달리 자위권을 점차 폭넓게 인정하는 방향으로 해석되어 가고 종교를 갖지 않을 자유까지 암묵적으로 인정하게 된 종교의 자유를 거론해 볼 수 있을 듯하다.[9] 대한민국 헌법 제76조, 77조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10] 아예 헌법이 성문법으로 되어 있지 않는 영국도 있다.[11] 대한민국 헌법도 5공화국 시절에는 더 장황했다. 예를 들어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은" 부분이 5공 시절에는 "유구한 민족사, 빛나는 문화, 그리고 평화애호의 전통을 자랑하는 우리 대한국민은"이었다.[12] 당시 일종의 꼼수가 이루어졌는데 서독 정부 대 동독 정부의 협의를 통한 통일이 아니라, 동독의 각 주가 개별적으로 서독의 주로 가입하는 형식으로 우회적인 흡수통일을 하였다. 통일 당시 통일헌법 제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기는 했는데 독일 기본법의 적용 지역을 동독 지역까지 확장하는 내용의 개정을 하는 선에서 마무리지었다. 참고로 동독은 1949년에 따로 헌법을 만들었다.[13] 폴란드 인민 공화국을 수립하는 1947년 임시약법은 여러 부문으로 나눠서 국민투표를 치렀는데 농지개혁 부문만 55%로 통과됐고 나머지 모든 조항은 국민투표에서 찬성률이 30%에도 미치지 못했다. 특히 사회주의를 국가 이념에 넣는 기본 총칙 부분의 찬성률은 고작 3%(반대 94%)였다고 한다. 하지만 표는 넣는 사람이 결정하는게 아니라, 세는 사람이 결정한다이오시프 스탈린까라면 까야지... 모든 조항에 대한 찬성률을 63%로 조작해서 통과시켰다.[14]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은..."(대한민국 헌법), "일본국민은 정당하게 선거된 국회의 대표자를 통하여 행동하고..."(일본 헌법), "우리 미합중국 인민은 더 완벽한 연방을 형성하고...."(미합중국 헌법) 등. 이외에도 프랑스, 스페인, 남아공, 필리핀 등이 이런 표현을 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