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대한민국의 젠더 논란·사건 사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분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 <colcolor=#fff> 1월 | |
1월 1일 | 낙태죄 폐지 | |
1월 8일 | 이루다 성희롱 성립여부 논란 | |
1월 10일 | 알페스 공론화 사건 | |
1월 14일 | 에펨코리아 수용소갤러리 공론 사건 | |
1월 24일 | 기재부 공공기관 승진에 군경력 반영 금지 논란 | |
2월 | ||
2월 8일~ | 윤지선 남성혐오 논문 게재 사건 /전개 | |
2월~ | 허버허버 관련 논란 | |
3월 | ||
3월 5일 | 동아제약 성차별 면접 논란 | |
무신사 남성회원 차별 논란 | ||
3월 7일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원화가 트위터 논란 | |
3월 10일 | aespa 사진작가 윈터 불법촬영 누명 사건 | |
3월 19일 | 에펨코리아 익명게시판 성폭력 게시글 의혹 | |
3월 20일 | 김민아 영화 내부자들 개인기 논란 | |
3월 24일 | 박나래 성희롱 논란 | |
3~4월 |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남성 역차별 논란 | |
}}}
}}}
- [ 2분기 ]
- ||<-2><width=9999><tablebgcolor=#fff,#1c1d1f><bgcolor=#b42121><colcolor=#fff> 4월 ||
- [ 3분기 ]
- ||<-2><width=9999><tablebgcolor=#fff,#1c1d1f><bgcolor=#b42121><colcolor=#fff> 7월 ||
- [ 4분기 ]
- ||<-2><width=9999><tablebgcolor=#fff,#1c1d1f><bgcolor=#b42121><colcolor=#fff> 10월 ||
10월 6일 다음 카페 익명게시판 개편 사건 10월 21일 설거지론 관련 이슈 10월 25일 여성가족부 희망그림 캠페인 영상 관련 갑론을박 10월 29일 여성가족부의 대선 개입 사건 11월 11월 1일 이태원 핼러윈 외국인 몰카남 사건 11월 2일 양평 중국인 흉기난동 사건 11월 3일 가디언 테일즈 일러스트 검열 논란 11월 15일 인천 층간소음 흉기난동 사건 12월 12월 8일 서울우유 젖소 비유 광고 논란
}}} ||
<nopad> 대한민국의 연도별 젠더 논란·사건 사고 둘러보기 |
MBC 라디오 <시선집중>의 초기 보도. |
[clearfix]
1. 개요
여성가족부의 산하기관인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이 공식 트위터 계정으로 욕설이 섞인 패륜성 발언을 한 것이 알려진 뒤 논란이 일자 글을 삭제하고 해킹이라고 주장한 사건.이후 진흥원 내 트위터 다중 계정인 소위 '뒷계정'의 존재가 폭로된 뒤 해당 뒷계에 그동안 공공기관이 공식적으로 써서는 안 되는 글들이 다수 작성되었다는 논란까지 제기되자 진흥원은 "소속 직원이 개인 계정과 공식 계정을 착각하여 썼다"는 사실을 인정하였다.
2. 경과
|
2021년 7월 14일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의 공식 트위터에 부모에게 욕설을 퍼붓는 패륜 표현을 업로드하여 논란이 되었는데 트위터 업로더가 개인 트위터 계정과 혼동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 트윗이 삭제되고 계정이 비공개 설정되었다. 아카이브
|
한국여성인권진흥원에서는 이 글이 계정 해킹으로 인한 것이라고 주장#했으며 이후 담당 직원이 개인 계정과 기관 계정을 혼동하여 쓴 글이라고 인정하였다.
2021년 7월 14일 하태경 국회의원이 며칠 전 의원실이 진흥원 측에 '해킹 사실 없다'라는 답변을 받은 적이 있고, 오늘(7월 14일) 전화로 다시 확인한 결과 '해킹 사실이 없으므로 답변서도 바뀔 게 없다'고 확인해 줬다고 밝혔다. (2021년 7월 14일 페이스북 하태핫태 하태경 하태) 한국여성인권진흥원 트위터에 '패륜 게시물'이 올라온 사건 제보가 많아서 확인드립니다.
|
한편 한국여성인권진흥원 공식 계정에서 공개적으로 홍보중인 부계정은 메갈리아와 래디컬 페미니즘 등 극단적인 성향의 계정들을 팔로잉하던 것으로 밝혀졌다. # 관련 정리글
해당 표현에 대한 논란이 큰 이유는 대한민국의 행정부에 소속된 여성가족부의 산하 기관에서 공식 입장으로 내놓은 표현이 바로 부모에 대한 증오와 욕설이라는 것이다.
이 사건은 담당자 개인이 공식 계정이 아닌 개인 계정으로 알고 실수했을 가능성이 높고 국내 성소수자가 커밍아웃을 했을때 부모에게 성소수자 정체성을 인정받지 못하며 정서적 학대를 당하는 경우를 좆같음이라고 표현한 것일 수도 있다.[1] 그러나 어쨌든 공식 기관의 소속자가 부모에 대한 증오심을 공식 계정으로 표출하는 상황은 실수라고 하더라도 비난을 피할 길은 없다.
"여가부를 폐지하자"라는 의견이 국민의힘의 대선공약 등으로 널리 퍼지던 상황에서 이 사건은 여성가족부에게는 크나큰 악재가 되었는데 악재를 여가부 산하기관이 만들어 준 셈이었다. '여가부 폐지론' 봇물 와중에… 산하기관 한국여성인권진흥원 '부모 X같음' 욕설 물의
3. 처벌
이후 관련자 3명 중 1명이 중징계, 2명이 경징계를 받았다고 알려졌다. 중징계 및 경징계 기준 정직은 강등보다 약간 낮은 수준의 중징계에 해당한다.
[1] 맥락상 "(성소수자로) 커밍아웃 후 부모의 (정서적 학대로 인한) 좆같음 견디는 꿀팁 좀 알려줘"라는 의미로 썼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