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22:51:15

한국이 싫어서

<colbgcolor=#eb5f0e><colcolor=#fff> 한국이 싫어서 (2024)
Because I Hate Korea
파일:한국이 싫어서 메인 포스터.jpg
장르 드라마
감독 장건재
각본
원작 장강명 - 소설한국이 싫어서
주연 고아성, 주종혁, 김우겸
촬영 나희석
음악 권현정
편집 이연정
미술 김선하
의상 유겸단
촬영 기간 2022년 7월 29일 ~ 2023년 2월 2일
제공사 엔케이컨텐츠
배급사 디스테이션
제작사 모쿠슈라
공동제작사 영화적순간, 싸이더스, 인디스토리
개봉일 파일:부산국제영화제 아이콘.svg 2023년 10월 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8월 28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5년 3월 7일
화면비
상영 타입
상영 시간 107분 (1시간 46분 59초)
제작비 4억 원[1]
대한민국 총 관객수 61,716명 (2024년 11월 28일 기준)
스트리밍
[[넷플릭스|
NETFLIX
]]
,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링크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6. 원작과의 차이점7. 줄거리8. 사운드트랙9. 평가10. 흥행11. 기타

[clearfix]

1. 개요

2024년 8월 28일 개봉한 한국의 독립영화.

장강명 작가의 동명 소설 『한국이 싫어서』(2015년)를 원작으로 20대 후반의 ‘계나(고아성)’가 자신의 행복을 찾아서 어느 날 갑자기 직장과 가족, 남자친구를 뒤로하고 홀로 뉴질랜드로 떠나는 이야기를 다룬다.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

일본에서도 2025년 3월 7일 개봉된다. 일본어 제목은 「ケナは韓国が嫌いで」(계나는 한국이 싫어서). #

2. 포스터

파일:한국이 싫어서 티저 포스터.jpg 파일:한국이 싫어서 메인 포스터.jpg 파일:청춘들 포스터.jpg
티저 포스터 메인 포스터 청춘들 포스터

3. 예고편

부산국제영화제 예고편 다짐 티저 예고편
출발 티저 예고편 메인 예고편

4. 시놉시스

“행복을 찾아 새롭게 시작하기로 했다”

내가 왜 한국을 떠나느냐고?
두 마디로 요약하자면 ‘한국이 싫어서’.
세 마디로 줄이면 ‘여기서는 못 살겠어서’.
계나는 지금 이 순간의 행복을 좇아 떠나기로 했다.

5. 등장인물

  • 박경윤 (박승현)
  • 리키 (Morgan OEY)
  • 엘리 로먼 (Trae TE WIKI)
  • 하준 (Euan PARK)

6. 원작과의 차이점

  • 계나가 호주워킹홀리데이를 떠나는 설정이었는데, 영화에서는 뉴질랜드로 바뀌었다. 감독은 취재를 위해 여러 나라를 다녔고, 뉴질랜드가 여성인권과 자연의 생명권을 소중히 한다는 데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 또 추위를 많이 타는 계나는 자신이 동화 '추위를 싫어한 펭귄'의 주인공 파블로와 같다고 여기는데, 동화에서 파블로가 떠나는 남쪽의 따뜻한 나라의 이미지로도 호주보다는 뉴질랜드가 적합하다고 판단해 원작과 다른 곳으로 배경을 변경했다.
  • 계나의 남자 동기 경윤은 원작에서는 의전원 시험을 준비하다가 결국 수능을 다시 치고 약대에 가는 인물이었으나, 영화에서는 계나에게 진정한 행복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만드는 공무원 시험 N수생인 것으로 설정이 변경됐다. 이로 인해 결말도 달라졌다.
  • 계나의 성이 김씨에서 주씨로 바뀌었다.[3]
  • 계나의 한국 시절 집이 서울 아현동에서 인천으로 바뀌어, 출퇴근 시간이 1시간에서 2시간으로 늘어났다. 원작에서는 아현역에서 역삼역까지 2호선을 탄다고 나오나, 영화에서는 마을버스를 타고 1호선을 타다가 신도림역에서 2호선으로 갈아타 강남역 도착.
  • 계나의 동성 친구들로 회사에 불만이 많은 '미연'과 시어머니에게 불만이 많은 '은혜'가 삭제됐다.
  • 계나가 사랑했던 5명의 남자친구는 3명으로 압축됐다.
  • 원작에서는 계나가 흡연자라는 묘사가 없다.
  • 계나가 세 자매 중 차녀에서 두 자매 중 맏이로 바뀌면서 언니 혜나가 삭제되었다. 영화에선 계나의 유일한 형제자매가 된 여동생의 이름도 원작에서는 예나인데 '미나'로 바뀌었다.
  • 계나가 한국어 교습을 해준 교민 2세가 여아(이름은 혜미)에서 남아(이름은 하준)로 바뀌었다.
  • 원작에 비해 작중 흐른 세월이 적은 편. 원작 결말 시점에서 계나의 나이는 32세인데, 영화에선 30세다.

7. 줄거리

8. 사운드트랙

9.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네이버영화=한국이 싫어서, 네이버영화_audience=7.31,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CGV=88383, CGV_egg=86, ## CGV_highlight=display,

어디에 있든 인생은 흔들림의 연속이라는 메시지를 전해준다.

10. 흥행

10.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61,708명, 누적매출액 530,576,441원[4]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24-08-28. 1일차(수) 11,800명 43,016명 8위 89,100,897원 366,743,841원
2024-08-29. 2일차(목) 6,212명 9위 53,794,722원
2024-08-30. 3일차(금) 6,082명 9위 53,581,441원
2024-08-31. 4일차(토) 8,324명 10위 76,083,370원
2024-09-01. 5일차(일) 5,027명 10위 45,877,077원
2024-09-02. 6일차(월) 2,412명 9위 21,437,456원
2024-09-03. 7일차(화) 3,159명 9위 26,868,878원
2주차 2024-09-04. 8일차(수) 1,493명 12,100명 15위 12,674,600원 106,231,800원
2024-09-05. 9일차(목) 1,880명 15위 16,664,400원
2024-09-06. 10일차(금) 1,823명 14위 15,776,100원
2024-09-07. 11일차(토) 2,553명 14위 23,253,100원
2024-09-08. 12일차(일) 1,964명 16위 17,527,500원
2024-09-09. 13일차(월) 1,287명 13위 10,919,400원
2024-09-10. 14일차(화) 1,100명 13위 9,416,700원
3주차 2024-09-11. 15일차(수) 372명 1,672명 28위 3,093,400원 15,125,800원
2024-09-12. 16일차(목) 216명 33위 1,847,100원
2024-09-13. 17일차(금) 224명 32위 1,927,600원
2024-09-14. 18일차(토) 232명 43위 2,146,700원
2024-09-15. 19일차(일) 267명 36위 2,594,100원
2024-09-16. 20일차(월) 194명 41위 1,905,900원
2024-09-17. 21일차(화) 167명 43위 1,611,000원
4주차 2024-09-18. 22일차(수) 80명 678명 70위 578,000원 5,439,500원
2024-09-19. 23일차(목) 168명 33위 1,491,500원
2024-09-20. 24일차(금) 76명 53위 662,000원
2024-09-21. 25일차(토) 150명 49위 837,500원
2024-09-22. 26일차(일) 96명 51위 877,500원
2024-09-23. 27일차(월) 53명 52위 467,000원
2024-09-24. 28일차(화) 55명 60위 526,000원 }}}}}}}}}

11. 기타

  • 한국이 싫어서라는 제목은, 2010년대 유행한 자조성 밈이었던 탈조선에서 기인했다.
  • 작중 계나의 외모는 한국과 뉴질랜드에서 외적으로 극명한 차이를 보인다. 고아성은 뉴질랜드에 있을 때는 현지에서 살아가는 동포 스타일의 메이크업과 태닝을 통해 외형의 변화를 줬다.
  • 뉴질랜드에서 계나가 입은 옷들은 현지에서 직접 구입해 분위기에 맞춰 연출했다.
  • 홍대 클럽 '라이브클럽 빵'에서 2022년 8월 23일 촬영이 진행된 것으로 드러났다. #
  • 소설이 나온 계기는 안현수 선수의 러시아 귀화였다.
  • 고아성은 첫 대본 리딩을 하러 상암동으로 가던 길에 태극기를 봤다고 한다. "그곳을 지나가면서 내 인생은 좀 이상하다는 생각을 했어요. ‘항거: 유관순 이야기 직후에는 태극기만 봐도 마음이 이상하게 일렁였는데, 이제는 한국이 싫다고 말하는 인물이 되어야 하는구나.’ 큰 태극기가 펄럭이는 장면을 보면서 아주 복잡한 마음이 들었고, 이 마음을 가지고 촬영해야겠다는 다짐을 했던 것 같아요."라고 화보 인터뷰서 밝혔다. #
  • 고아성은 원작 소설 속에서 힘이 되는 문장을 엽서에 적어서 갖고 다녔다고 한다. #


[1] 영화진흥위원회 지원[특별출연] [3] 이로 인해 경윤이 계나 이름으로 말장난하는 장면에서 성까지 나온다. "~~해 주게나."하고(...)[4] ~ 2024/11/18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