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병대사령부 직할부대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군사교육기관 | ||||
해병대교육훈련단 | |||||
단급부대 | |||||
해병대군수단 | 해병대항공단 | 해병대안전단 | 해병대수사단 | 연평부대 | |
특수부대 | |||||
해병대특수수색대대 | |||||
관련 틀: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 예하부대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해병대의 편제 | }}}}}}}}} |
해병대 항공단 海兵隊 航空團 Marine Corps Aircraft Group | ||||||
| ||||||
창설일 | 1963년 3월 18일(해병대 항공단)[1] 2021년 12월 1일(해병대 항공단)[2] | |||||
약칭 | 항공단, 해항단 | |||||
소속 | 대한민국 해병대 | |||||
상급부대 | 해병대사령부 | |||||
규모 | 단 | |||||
병종 | 대한민국 해병대 항공대 (항공부대) | |||||
역할 | 대한민국 해병대의 근접항공지원 | |||||
단장 | 대령 박희보 | |||||
라운델 | ||||||
위치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포항 해군기지 포항경주공항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해병대 예하에 창설된 항공부대로 MUH-1 마린온 상륙기동헬기를 보유하고 있다.2. 연혁
주 전력은 MUH-1 마린온 헬리콥터로 상륙기동헬기가 주력이다. 그리고 상륙 공격헬기 및 상륙작전 지휘헬기 등도 배속이 예정되어 있다.2.1. 과거 해병대 항공대 시절의 역사
본래 대한민국 해병대 창설 당시에는 항공인력이 없다가, 1954년에 육군 항공대 위탁교육에 입교하여 이듬해 1955년에 조종교육 과정을 이수한 해병대 장교 최창선(해간4기, 최종계급 중령)이 해병대 최초의 조종 자격 보유자가 되었다. 1958년에 해병대 제1사단 항공관측대를 두었는데 이는 해병대 항공대의 전신이 된다. 1963년 3월 18일 해병대 항공대가 정식으로 창설되었고, L-20와 L-19를 운용했다. 이후 베트남 전쟁에 참전해서 관측, 전단 살포, 항공지원 등의 임무를 맡았다.원래는 대한민국 해군에도 1950년대부터 해군 함대 항공대가 있었으나 1963년 3월 1일에 해체된 반면[3], 해병대 항공대는 1963년에 창설되어 1970년대 초반까지 유지되었다.
그러다가 1973년에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해병대사령부가 해체되면서 항공대도 해체되었고, 잔존 항공기 등은 같은 해에 재창설된 해군 항공대인 함대항공대에 흡수되었다.
2.2. 해병대 항공단 창설 진행
1987년에 해병대가 재창설되고, 35년 동안 해병대에는 항공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었는데 번번이 현실의 벽에 부딪혔었다. 해병 장교로 임관해 조종사 교육을 받은 후 부대창설이 무산되어 해군으로 전군된 경우가 몇번 있었다.이후에 2008년부터 보병 병과 장교들을 육군에 회전익 조종 위탁교육 보내면서 해병대 항공장교가 부활하게 된 것이다.[4] 당시 위탁교육 갔던 해병대원들은 당시엔 보병이었지만 현재는 해병대 항공병과의 창설로 항공병과 장교가 되었다. 이후로 해병대 조종사 인원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2014년에는 해병대에 항공병과가 정식 창설되었다. 그전까지는 별도 병과가 없어서 보병의 항공특기였다.
2019.12.01 1·2사단 항공대가 해체되었고, 1사단에 1항공대대가 창설되었다.#
강습상륙함으로서 헬리콥터 모함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는 독도급 대형수송함의 운용에서 제6항공전단 소속 해군 항공대와 함께 참여하기 위해 2014년 해병대 항공병과를 부활시켰고 2021년 10월 1일 국군의 날에 마라도함(LPH-6112) 함상에서 부대기 수여가 진행되었다. 이어 12월 1일 정식으로 해병대 항공단 창설식을 치렀다.
3. 편제
2개 상륙기동헬기 대대와 1개 상륙공격헬기 대대, 총 3개의 헬기대대를 운용할 예정이다.3.1. 항공단 구성원
해병대 항공장교는 해병대 보병 병과 3년차 이상의 장교들이 기간에 맞춰 신청을 한 뒤 교육을 받고 전과하는 방식으로 선발한다.조종사들은 해군항공사령부 제609교육훈련전대 제1비행교육대대와 육군항공학교에서 위탁교육을 받는다.
정비대는 해병대 항공정비부사관들로 채워졌다.
조작사로 통칭되는 헬기승무원의 경우 간부 병 통합편제이다.
간부 중 장교는 전술했듯 보병 병과 장교가 3년차에 전과하는 형식이며 부사관의 경우 입대 지원전에 특수병과(항공)으로 별도 지원을 받는다.
병의 경우 교육훈련단에서 해당 차수에 TO가 있을경우 기본보병 및 수색으로 지원한 인원중 지원자를 받는다.
헬기를 탑승하고 운용한다는 특수성 때문에 지원율은 기본 4:1이상으로 높은 편이며 적성검사 4개 항목중 2가지인 산수와 기계과목점수를 반영해 선발한다.
높은 지원율 특성상 2개합 150(각각 만점 100점)점 이상을 받아야 지원을 노려볼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150점 아래이면 선발 가능성이 거의 전무하니[5] 다른 병과를 노려보는 것이 좋다. 참고로 1지망 병과선발에서 탈락하면 2지망부터는 사실상 남는자리 뺑뺑이니 괜히 도전했다 박격포 운용반이 있는 전지중대/화기중대 같은 곳으로 끌려갈 수도 있다. 현 시점에서 기갑은 간부화되어 병 자리가 거의 없으며 그나마 공병 중 전투공병이나 포병 중 탄약수 정도가 전투지원병과[6]
모든 항공병 지원자는 전투수영 훈련 때 따로 수영평가를 실시하며 평가항목은 차수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50m평영, 50m자유형 30초간 입영 가능자를 선발한다. 주의점으로는 바다에 불시착했을때 생존할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생존수영이니만큼 수경을 지급하지 않는다. 수영에 능숙한 인원들도 난생처음 수경없이 하는 수영해 당황하여 탈락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이후 간단한 면접을 보는데 인원의 인성이 문제가 없는지를 평가하는 게 주목적이며 따라서 면접관 뺨만 때리지 않는다면 어떤 대답을 해도 탈락하지 않는다. 면접에서 장황하게 말한다고 가산점이 주어지지 않으니 그냥 간결하게 말할 것.
이후 상술한 모든 평가에 합격하여 선발되었다면 극기주인 5주차때 항공(78)을 부여받고 6주차 수료주가 끝나는 바로 다음날 실무지인 항공단으로 떠나게 된다.
후반기교육은 따로 없으나 1~3주가량 자체조작사 교육을 실시하고 해군생환훈련대에서 실시하는 생환훈련까지 이수하면 비로소 항공조작병(육군명 기동헬기운용병)이 될 수 있다.
위는 병의 경우고 장교의 경우 입대 시 고를 수 없고 무조건 보병장교로 임관 후 3년을 채우고 대위 초반인 3년차~4년차에 지원해야 한다. 항공병과 선발에 합격 시 전남 목포의 해군항공사령부 예하 603 교육훈련전대와 육군항공학교에서 항공장교 기본 위탁교육을 받고 모든 평가 및 시험비행 통과 후 항공장교가 된다.
장교의 경우 만일 항공장교 지원에서 떨어질 경우 고군반을 지원하지 않았다면 비 해사 출신의 경우 연장복무 기간이 만료되면 전역해서 집에 가게 된다. 애초 3년차에 선발하니까 단기장교인 해병대 OCS 출신이거나 학군 출신이면 연장복무를 하지 않으면 자격요건이 충족되기 전에 만기전역하기 때문이다.
3.2. 항공단 운용 장비
대한민국 육군처럼 헬리콥터 위주이며 MUH-1 마린온 헬기를 각각 상륙기동헬기, 상륙지휘헬기 등으로 세분화 운용할 예정이다.3.3. 기타
대한민국 해병대에 항공단이 자체적으로 생기면 좋은 점은 병력이나 물자의 공중 수송, 강습훈련, 공수훈련 등을 자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에는 해군항공사령부나 육군항공사령부, 제5공중기동비행단에서 고정익 및 회전익기를 지원받아 훈련해야 했다. 해군항공사령부의 조종사들은 바다를 잘 알고 용어도 같지만 타군인 대한민국 육군과 대한민국 공군은 주 작전환경과 용어도 다른 데다가 문화도 이질적이라서 협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7] 그렇기 때문에 해병대에 대한 항공기 지원이 취소나 연기가 자주 되는 등 훈련이 예정된 계획만큼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현재는 회전익기는 각 사단 소속 항공대(항공병과)에서 자체적으로 나오며 MUH-1 마린온 실전 배치 후에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훈련과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4. 훈련
해병대의 유일한 항공부대이니만큼 대형 훈련에 빠지지 않고 참가한다.FS나 UFS,쌍룡훈련과 같은 연합훈련은 당연하고 해병대 내에서 실시하는 여단급 상륙훈련이나 해군 해역함대인 제2함대 및 육군,공군 등 타군과 함께 실시하는 서북도서 방어훈련, 호국훈련 또한 거의 필히 참가한다.
해외훈련인 림팩이나 코브라골드,탈리스만 세이버에도 참가하고 있으며 운이 좋을 경우 해당 훈련에 참가하여 병으로써는 드물게 해외훈련을 다녀올수 있다.[8]
국군의 날 헬기분열이나 해군사관학교 축하비행에도 매년 참가하고 있으며 각종 항공박람회에도 항공기 지원을 요청받아 참가한다.
다만 육상 및 해상 훈련[9]은 전무한 수준이며 행군의 경우 연 1회 동계전술훈련때 정도에만 실시하며 이마저도 지휘관 특성에 따라 안할 수도 있다. 해상훈련인 상륙기초훈련(IBS)의 경우도 보병부대가 아니라서 당연히 실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야외숙영 같은 야지훈련은 거의 실시하지 않는다. 진짜로 해병대 내의 공군이나 마찬가지다. 애초 항공기를 운용하니까 당연한 일이다.
물론 일반 보병부대처럼 육상/해상 훈련을 실시하지 않는 것 뿐이지 헬기를 직접 운용한다는 특성상 관련 임무장비의 사용 및 교육 훈련은 꾸준히 실시하고 있으며 운용기종인 MUH-1이 다목적 헬기인 관계로 임무가 꽤나 많고 세부적이여서 관련 지식을 습득하는 것은 물론 기량을 유지하고 임무를 원할히 수행하는 것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조종사는 물론이거니와 승무병 또한 평가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공중근무자 신체검사에서 요구되는 신체수준을 갖추지 못할경우 언제든지 다른 병과로 전환될 수 있다. 물론 조종사가 아닌 경우 만성적으로 인원이 부족한 해병대 특성 상 웬만하면 전환시키지 않는다. 평가에서 떨어지면 합격할 때까지 시키면 그만(...)이지만 조종사의 경우 공중근무자 신체검사 불합격 시 가차없이 그라운딩 조치된다. 애초 조종사에게 요구하는 기량 자체가 넘사벽이다.
5. 출신인물
5.1. 단장
역대 해병대 항공단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지은구 | 대령 | 해사 46기 | 前 단장 | |
2대 | 김수용 | 대령 | 사후 90기 | 前단장 | 前 해병대사령부 인사참모처장, 前 해병대 제8연대장 |
3대 | 박희보 | 대령 | 단장 |
5.2. 장교/부사관
5.3. 병
6. 사건사고
2018년 7월 17일 항공단 창설 준비과정의 일환으로 MUH-1 마린온 시험비행을 하기 위해 이륙한 직후 추락하여 탑승한 해병대원 다섯 명이 사망하는 포항 해병대 헬기추락 사고가 발생하였다.7. 둘러보기
[1] 1973년 5월 29일 해체[2] 재창설[3] 1960년대까지 해군은 제대로 된 함정도 없어 제2차 세계 대전때 미군이 쓰던 고물 배를 중고로 사오던 시절이다. 대한민국 해군이 본격적으로 제대로 된 함정을 운용하기 시작한 건 1970년대에 기어링급 구축함을 도입하면서부터였다. 이 함정은 KDX가 본격화되던 2000년대 이전까지 거의 유일한 함재 헬기 운용 함정이어서 2001년까지 굴렸다. 2002년 KDX-1인 광개토대왕급 구축함(DDH-I)이 들어와 퇴역한다.[4] 그중에서도 박순혁(사후99기) 대위가 35년 만의 해병대 제1호 조종사가 되었다.[5] 후술할 수영평가에서 고득점자들이 줄줄이 낙방하면 가능성은 있다.[6] 해병대는 육군과 달리 보병만 전투병과고 기갑, 포병, 공병 등은 모두 전투지원병과이며 육군의 특과인 군사경찰이나 재정 등은 전투근무지원병과다. 의무병과 및 법무병과, 군종 등은 해군에서 파견된다.[7] 육군항공사령부는 추풍령을 넘기 힘들다는 것과 육군특수전사령부의 훈련 때문에 스케줄이 많고, 대한민국 공군은 애초에 회전익기가 거의 없다.[8] 헬기모함인 LPH에 두달 넘게 갇혀 있어야 하는게 함정(...)이기는 하다. 해군 출신들은 알겠지만 장거리 항해는 절대로 쉬운 일이 아니다.[9] 해병대는 해안선에서의 작전인 전시 상륙작전 및 평시 육상 해군기지 방호 등이 주 임무라서 해병 보병부대는 전투수영 등 해상훈련이 당연히 병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