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31 02:17:26

호두까기 인형


1. 개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ussknacker.jpg

호두까기 인형(Nutcracker)은 호두를 까는 도구이자 인형이다.

2. 상세


호두견과류 종류 중에서도 껍데기가 매우 단단한 축에 속하기 때문에, 이를 깨기 위한 도구가 여러 지역과 문화권에서 만들어졌다. 특히 중부 유럽 지방에서는 호두를 까는 도구라는 실용적인 목적 외에 장식용으로도 쓸 수 있도록 목각인형으로 만드는 호두까기 인형이 대략 15세기 무렵부터 제작되기 시작했다.

이후 이 호두까기 인형은 기독교 문화권의 공통적인 축일인 크리스마스와도 결부되어 신도들 간의 선물용으로도 많이 쓰였고, 지금도 개신교가 대세인 독일 작센튀링엔 지방에는 이 인형을 비롯한 크리스마스 장식물들을 전문적으로 만드는 가내수공업형 장인들이 많이 활동한다. 보통 목제 인형이 많지만, 지역과 장인에 따라 금속이나 도자기 등 다른 재료로 제작하기도 한다.

모든 호두까기 인형은 호두를 깔 수 있도록 실용적으로 제작되긴 하지만, 현대에는 주로 장식용이나 기념품으로 많이 팔리는 편이다. 실제로 상품 포장에 '호두 까는 용도로 사용하지 마시오'라고 주의문이 붙는 경우도 많다. 이런 경우, 진짜로 호두를 까다간 호두 껍질이 까지지 않고 역으로 호두까기 인형의 턱이 빠지는 등 망가지니 조심. 물론 실제 용도의 호두까기 인형은 사용해도 무방하다.

전통적인 호두까기 인형은 카이저 수염을 기르고 정복을 입은 군인의 모습으로 제작되고, 등 쪽의 레버를 올리면 입이 열리고 열린 입에 호두를 넣고 레버를 내리면 호두가 깨지는 구조이다. 이러한 전통 호두까기 인형은 지금도 많이 제작되고 있고, 독일이 2차대전 패전 후 동독과 서독으로 분리되었을 때도 동독 정부의 귀중한 외화벌이 상품 중 하나였다. 한때 미군이나 소련군 등 점령군 복장을 한 호두까기 인형이 군인들의 요구로 만들어지기도 했지만, 반짝 유행 후 사그라든 뒤에는 계속 전통적인 디자인의 인형이 생산/판매되고 있다.

3. E. T. A. 호프만동화 호두까기 인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두까기 인형과 생쥐 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호두까기 인형과 생쥐 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호두까기 인형과 생쥐 왕#|]][[호두까기 인형과 생쥐 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차이코프스키의 발레 음악 (Op.7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두까기 인형(차이콥스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호두까기 인형(차이콥스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호두까기 인형(차이콥스키)#|]][[호두까기 인형(차이콥스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미디어 믹스에서

5. 여담

  • 모두까기 인형이라는 이름으로 양비론 및 광역 어그로를 가리키기도 한다.

[1] 물론 커리지의 이빨도 부서진다.[2] 한국 재능TV판은 '비실비실 스폰지밥'.[3] 등장 귀신은 토이마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