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8 03:16:13

호주 육군

세계의 육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육군기.svg 대한민국파일:조선인민군륙군기.svg 북한파일:중국 인민해방군 육군기.svg 중국 |
파일:육상자위대기.svg 일본(준군사조직)파일:대만 육군기.svg 대만
동남아시아 파일:싱가포르 육군기.svg 싱가포르 | 파일:태국 육군 엠블럼.svg 태국 | 파일:베트남 인민군기.svg 베트남 |
파일:Flag_of_the_Indonesian_Army.svg.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육군기.svg 필리핀 | 말레이시아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육군기.svg 이스라엘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육군기.png 사우디아라비아 | 카타르
남아시아 파일:Flag_of_Indian_Army.svg.png 인도 | 파일:파키스탄 육군 로고.png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중앙아시아 투르크메니스탄
동유럽 파일:러시아 육군기.svg 러시아 | 파일:우크라이나 육군 엠블럼.svg 우크라이나 | 파일:벨라루스 육군기.svg 벨라루스 |
파일:루마니아 육군 휘장.png 루마니아
서유럽 파일:영국 육군기.svg 영국 | 파일:프랑스 육군 로고.svg 프랑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2px-Flag_of_the_Royal_Netherlands_Army.svg.png 네덜란드 | 파일:벨기에 지상구성군기.png 벨기에
중부유럽 파일:독일 육군 로고.svg 독일 | 파일:스위스 육군 엠블럼.svg 스위스 연방 | 파일:폴란드 육군 엠블럼.svg 폴란드 | 파일:체코 육군 엠블럼.png 체코 | 파일:슬로바키아 육군 휘장.png 슬로바키아 | 파일:헝가리 육군기.sv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육군 엠블럼.png 이탈리아 | 스페인 | 파일:포르투갈 육군기.png 포르투갈 | 파일:튀르키예 육군 엠블럼.png 튀르키예 |
파일:그리스 육군 엠블럼.svg 그리스 | 파일:몬테네그로 육군기.jpg 몬테네그로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0px-War_flag_of_Bulgaria.svg.png 불가리아 |
슬로베니아 | 파일:세르비아 육군기.svg 세르비아
북유럽 스웨덴 | 덴마크 | 파일:노르웨이 육군기.svg 노르웨이 | 파일:에스토니아 육군 엠블럼.svg 에스토니아 | 파일:라트비아 육군 엠블럼.png 라트비아 | 파일:리투아니아 육군기.png 리투아니아
북아메리카 파일:미합중국 육군기.svg 미국 | 파일:캐나다 육군 엠블럼.png 캐나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Logo_de_Ej%C3%A9rcito_Mexicano.svg.png 멕시코
남아메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Coat_of_arms_of_the_Brazilian_Army.svg.png 브라질 | 파일:칠레육군기.png 칠레 | 파일:페루 육군기.svg 페루
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the_Army_of_Egypt.svg.png 이집트 | 파일:Flag_of_the_Royal_Moroccan_Army.png 모로코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파일:faa1.png 앙골라 | 차드 |
에티오피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육군 엠블럼.svg 호주
※ 독립된 문서가 있는 육군만 링크. 그 외 각국 육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colbgcolor=#000><colcolor=#fff> 파일:호주군 문장.png
Australian Defense Force
호주 방위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호주 육군.png 파일:호주 해군.png 파일:호주 공군 문장.png
Australian Army
호주 육군
Royal Australian Navy
호주 왕립 해군
Royal Australian Air Force
호주 왕립 공군
}}}}}}}}}
호주 육군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Australian Army
파일:호주 육군 엠블럼.svg
<colbgcolor=#cf0b2d> 휘장[1]
{{{#!folding [ 다른 상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호주 국기.svg
육군기
파일:육군항공 라운델.png
항공기 라운델
파일:호주육군장갑차량 라운델.png
장갑차량 라운델
}}}}}}
의무와 명예
Duty and Honour
창설 1901년 3월 1일
국가
[[호주|]][[틀:국기|]][[틀:국기|]]
소속 호주군
군종 육군
역할 지상전
육군총장[2] 중장 사이먼 스튜어트[3]
육군차장[4] 소장 크리스 스미스[5]
주임준위[6] 킴 펠밍햄[7]
전력사령관[8] 소장 수잔 코일[9]
병력 총합 44,235명
상비군 28,524명
┗상근 예비군 15,711명
참전 제2차 보어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말라야 비상사태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충돌
베트남 전쟁
말레이시아 공산반란
1999년 동티모르 위기
2006년 동티모르 위기
솔로몬 군도 지역 지원 임무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수뇌부3. 역사4. 편제
4.1. 육군총장
4.1.1. 전력사령부4.1.2. 제1사단4.1.3. 제2사단4.1.4. 육군항공사령부4.1.5. 호주왕립육군대학
5. 장비

[clearfix]

1. 개요

파일:Australian Army.png
Australian Army
호주 육군(, Australian Army)는 호주육군으로, 병력 수가 그렇게 많지는 않지만, 질적으로 우수해 세계에서 알아주는 정예 육군이다.

2. 수뇌부

3. 역사

호주는 대륙을 혼자 다 차지하고 있는 사실상의 섬이라, 육군의 규모가 크지 않고 공군과 해군에 전력을 집중하고 있다. 육군의 경우 전차는 레오파르트 AS1을 59대의 중고 M1 에이브람스로 교체한 수준으로 육군의 규모는 크지 않다. 이는 캐나다군도 비슷한 사정이다. 캐나다나 호주와 같이 지정학적으로 안전한 후방지역에 위치한 영연방계 국가들은 육군은 매우 제한적인 인원과 투자로 편성하고[10] 해군과 공군같은 기술군에 주력하는 경향이 강하다. 대신 훈련 수준을 최대한 높여 매우 정예화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캐나다와 호주는 파이브아이즈 멤버로서 미국이 해외원정을 가면 같이 따라붙어야 하기에 더욱 그렇다.[11] 실제로 호주군의 정예도는 그 파이브 아이즈 국가들 중에서도 최상위권 수준으로, 연합훈련을 한 군인들 사이에서 명성이 자자하다. 자세한 내용은 호주군 문서의 상세 문단 참조.

도입한 M1A1 AIM 전차는 열화우라늄 관련 무기운영 및 국내사용을 금지하는 호주 연방법에 의해 열화우라늄 장갑이 아니며 쓰는 탄약중 APFSDS탄도 열화우라늄 탄심 일명 DU탄이 아니라고 한다. 따라서 현재 미군이 쓰는 DU장갑+DU탄은 호주 군이 일절 사용하고 있지 않다.[12]

2010년대, 차기 자주포 사업을 진행해서 K-9 자주곡사포가 선정되었으나 사업 자체가 취소되고 대신 M777을 도입하였다.

2010년대 중반부터 기존 구형 장갑차를 대체하기 위한 차세대 장갑차 도입 사업으로 LAND 400을 진행했다. 총 670여 대의 장갑차를 도입하는 사업으로, 호주 육군 사상 가장 거대한 사업이었다. 총 4단계로 사업이 나뉘어 진행되며, 페이즈 2와 페이즈 3에서 각각 차륜형 장갑차와 궤도형 장갑차 기종이 선정된다.

페이즈 2 사업에선 라인메탈복서 장갑차가 선정되었다. 페이즈 3 사업의 경우 2023년 호주 국방전략검토에 따라 도입 수량이 450대에서 129대로 축소되었다.

2016년부터 타이거 공격헬기 대체 사업을 추진하여 최종적으로 AH-64가 선정되었다.

2020년대에 자주포 사업을 다시 진행해서 과거에 선정했던 K-9을 AS-9 헌츠맨이라는 제식명으로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2021년, NH90UH-60 블랙 호크로 대체할 계획을 발표했다.

2022년 1월, 호주 육군이 기존 M1A1 AIM 59대 전량을 대체하기 위해 M1A2 SEP v3 에이브람스를 75대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2023년 7월 26일, LAND 400 페이즈 3 사업에서 대한민국의 AS-21 레드백을 최종 선정하였다.

4. 편제

4.1. 육군총장

Chief of Army

4.1.1. 전력사령부

Forces Command
  • 제2보건여단
    2nd Health Brigade
  • 제6전투지원여단
    6th Combat Support Brigade
  • 제9여단
    9th Brigade
  • 제17지원여단
    17th Sustainment Brigade
  • 육군군수훈련소
    Army Logistic Training Centre
  • 국방전투지원훈련소
    Defence Combat Support Training Centre
  • 제39작전지원대대
    39th Operational Support Battalion
  • 제병협동훈련소
    Combined Arms Training Centre

4.1.2. 제1사단

1st Division
  • 제1여단
    1st Brigade
  • 제3여단
    3rd Brigade
  • 제7여단
    7th Brigade
  • 상륙기동단
    Amphibious Task Group
  • 제1정보통신연대
    1st Signal Regiment
  • 제2/30훈련단
    2/30th Training Group

4.1.3. 제2사단

2nd Division

상근 예비역 사단.
  • 제4여단[상근예비역]
    4th Brigade
  • 제5여단[상근예비역]
    5th Brigade
  • 제11여단[상근예비역]
    11th Brigade
  • 제13여단[상근예비역]
    13th Brigade
  • 제8(훈련)여단
    8th (Training) Brigade
  • 지역부대감시단
    Regional Force Surveillance Group
  • 제8정보통신대대
    8th Signal Regiment
  • 왕립호주포병대 제9대대
    9th Regiment, Royal Australian Artillery

4.1.4. 육군항공사령부

Army Aviation Command

4.1.5. 호주왕립육군대학

Royal Military College of Australia

호주의 육군사관학교.

5. 장비

파일:호주 국기.svg 현대 호주 국방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folding [ 펼치기 · 감추기 ]<colbgcolor=#ffdead,#513100> 현대의 호주 국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ffdead,#513100> 소총 <colbgcolor=#ffdead,#513100> 돌격소총 Austeyr F88, F90
지정사수소총 SR-25, HK417
저격소총 SR-98/AW50F
권총 Browning Hi-Power Mk.III, P320 X carry PRO
지원화기 기관총 M60, F89 Minimi/Maximi, MAG 58, M2HB QCB, M134
유탄발사기 M203, Mk.19, Mk.47
수류탄 M67
대전차화기 L6, M72A6, L14A1, Carl Gustaf M3, FGM-148
박격포 F2
맨패즈 RBS 70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M4A5, HK416, MCX Virtus
지정사수소총 Mk.14 EBR
저격소총 Blaser R93 Tactical 2, AX-SR, M82, M107/M107A1
기관단총 MP5
산탄총 M870, M3A1
권총 USP
치장/의장/예비용 화기 L1A1 SLR, M16A1, SMLE No. 1 Mk III, No. 5 Mk I }}}



파일:호주 국기.svg 현대 호주 국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012169> 호주 국방군 (1945~현재)
Australian Defense Force
기타전차 <colbgcolor=#012169> 경전차 M24 채피R
중형전차 그랜트 IXR
보병전차 마틸다 Mk. IVR, 마틸다 Mk. VR, 마틸다 Mk. IV CSR, 마틸다 Mk. V CSR, 마틸다 헤지호그R, 마틸다 도저R, 마틸다 프로그R, A22 처칠R, 밸런타인 전차R
MBT 1세대 센추리온 Mk.5/1R, 59식 전차C/R
2세대 레오파르트 AS1R
3세대 M1A1 AIM 에이브람스
3.5세대 {M1A2 SEP v3 에이브람스}
장갑차 차륜장갑차 복서 CRV, ASLAV-(25/PC), 부시마스터 PMV, LARC-V, FV601 살라딘R
궤도장갑차 {AS-21 레드백}, M113 76mm FSV/MRVR · M577A1 · M113AS4
차량 소형 나리 HMT, G 바겐 300 · 6x6, 랜드 크루저 6x6, 랜드로버 페런티, 랜드로버 FFR/GS, 호카이 PMV
트럭 Mack MC3, MAN KAT I, RMMV HX40M · HX77, 유니목 U 1700 L,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SF2670, HMT 익스텐다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8R, 25Pdr 예람바R, {AS-9 헌츠맨}
자주박격포 M125R
다연장로켓 {M142 HIMARS}
대공차량 단거리 대공미사일 {호카이 NASAMS 2}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R, M88A2 허큘리스, M113 피터 ARV
전투공병차량 HMEE, 허스키 VMMD Mk.3, MWL, {M1150 ABV}
교량차량 FSB, IRB, {M1074 JAB}
기타 캐터필러 D3 불도저, DJ 850J 불도저, 히타치 LX120 로더, 코마츠 PC50MR-2 굴착기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호주 육군의 전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M1A2 SEP v3 주력전차 미국 - - 75대
M1A1 AIM 주력전차 미국 59대 - -
호주 육군의 장갑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AS-21 레드백 보병전투차 대한민국 / 호주 - - 129대
복서 CRV 정찰장갑차 독일 / 호주 25대 - 186대 의무장갑차 모듈 12대분 도입
ASLAV-(25/PC) 정찰장갑차 캐나다 / 호주 257대 - - 복서 CRV로 대체 예정
M113 APC 미국 431대 - - AS-21 레드백으로 대체 예정
부시마스터 PMV MRAP 아일랜드 / 호주 1,052대 - -
호주 육군의 포병장비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M142 HIMARS 다연장로켓 미국 - - 20문
AS9 헌츠맨 자주곡사포 대한민국 / 호주 - - 30문
AS10 탄약보급차량 대한민국 / 호주 - - 15대
호주 육군의 항공기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타이거 ARH 공격헬기 유럽 22대 - -
CH-47F 수송헬기 미국 14대 - -
UH-60M 다목적 헬기 미국 - - 40대
MRH-90 타이판 다목적 헬기 유럽 41대 - -

[1] 일명 떠오르는 태양 문장(Rising Sun Badge). 욱일기와는 전혀 관련 없다.[2] Chief of Army[3] 사이먼 앤드류 스튜어트(Simon Andrew Stuart)[4] Deputy Chief of Army[5] 크리스토퍼 로버트 스미스(Christopher Robert Smith)[6] 정식명칭은 호주육군 주임준위(Regimental Sergeant Major of the Australian Army)으로, 준위 계급중 최고 계급이다.[7] Kim Felmingham[8] 정식명칭은 전력사령부 사령관(Commander Forces Command), 전력사령부(Forces Command)는 육군총장에 보고하며 호주 육군 전병력의 85%를 통제하는 사령부이기에 전력사령관은 호주 육군의 주요 수뇌부 중 하나이다.[9] 수잔 메이 코일(Susan May Coyle)[10] 다만, 호주가 인도네시아와의 역사적 문제로 인해서 사이가 안 좋다보니 최근 들어서는 육군도 어느 정도 증강시키고 있다.[11] 과거 6.25 전쟁에서도 파이브 아이즈는 모두 참전했다.[12] 열화 우라늄 탄과 장갑은 미국 본국의 M1계열에만 장비되어있다. 타국에서 쓰는 M1은 전부 일반 장갑재와 텅스텐 탄을 사용하는 다운그레이드다. 이유는 간단한데 자신의 기술이 적국에 누출되는걸 굉장히 꺼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호주 군의 M1의 경우엔 나름 성능이 준수한 편.[상근예비역] [상근예비역] [상근예비역] [상근예비역]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0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0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