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17:58:04

홍명보호(성인 2기)/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홍명보호(성인 2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DCFF 2%, #0B090C 2%, #0B090C 4%, #e6002d 4%, #e6002d 96%, #0B090C 96%, #0B090C 98%, #00DCFF 9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555,#aaa
성인
2024~2027
202420252026 | 2027
2025 EAFF 챔피언십 | 2026 FIFA 월드컵 | 2027 AFC 아시안컵
선임 과정 (반응 · 문제점)
}}}}}}}}}}}}}}} ||


1. 개요2. 소집 명단3. 경기 진행
3.1. 제1경기3.2. 제2경기3.3. 제3경기
3.3.1. 경기 전 분석3.3.2. 경기 결과
4. 대회 총평

[clearfix]

1. 개요

홍명보호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 경기기록을 다루는 문서.

2. 소집 명단


===# 명단 예상 #===
그 동안의 대회들이 그랬듯이 FIFA에서 지정해놓은 시기에 열리지 않는 대회인데다 오로지 국내파로만 이루어지는 A매치인 만큼 강제로 실험적인 명단을 구성하게 된다. 하지만 한일전이 껴 있다 보니 부담도 상당한 편으로, 예측 역시 쉽지 않다.

골키퍼: 주전 골키퍼 조현우가 국내파인 관계로 100% 소집이 유력하며, 나머지 자리들을 두고는 미국으로 이적한 김준홍을 제외한 송범근, 이창근, 김경민, 이광연, 강현무 등이 경쟁한다.

레프트백: 이명재가 버밍엄시티으로 이적이 거의 확정되면서 제외되었고, 나머지 두 자리는 다른 A매치들처럼 김진수, 이기혁, 이태석, 최우진, 박민규, 박규현, 조현택 같은 선수들이 경쟁할 것이다.

센터백: 주전 센터백들인 김민재조유민은 각각 유럽과 중동에서 뛰고 있어 소집이 어렵고, 대표적으로 김영권, 박지수, 박승욱[1], 하창래 등이 경쟁한다. 나머지 자리들에서 강민우, 신민하 같은 신인 선수들이 가능성이 있다. 그 외에도 젋은 나이에 속해 있는 변준수, 서명관, 이재익, 김주성, 황인택도 있다.

라이트백: 유럽파 설영우는 자동으로 제외, 대신 국내파 김문환이 소집될 것이다. 다른 선수들로는 최준, 황재원, 윤종규 등이 있다.

3선: 중앙 미드필더들인 황인범백승호는 유럽에서, 수비형 미드필더 박용우는 중동에서 뛰고 있으므로 이 자리를 두고 김봉수, 정우영[2], 김동현, 이순민, 정마호, 고승범 등이 경쟁한다.

2선: 후보 선수들까지 다 해외파로 짤 수 있을 정도로 선수풀이 풍부한 포지션이다. 문선민, 송민규, 엄원상, 이동경, 나상호까지 죄다 국내파라 선발은 쉬울 것이다.

스트라이커: 조규성, 오현규, 김명준, 이영준 등이 유럽에서 뛰고 있어 현재 국가대표팀 스트라이커 중 국내파에 뛰고 있는 선수로 주민규가 가능성이 있겠지만, 나이가 워낙 많아[3] 명단에 들어갈지는 계속 의문인 편이다. 그 외 오세훈, 이호재도 있다.

3. 경기 진행

3.1. 제1경기

3.2. 제2경기

3.3. 제3경기

3.3.1. 경기 전 분석

3.3.2. 경기 결과

4. 대회 총평




[1] 포항 시절과 국가대표 때는 라이트백으로 뛰지만 김천에는 센터백으로만 뛰고 있다.[2] 나이가 주민규보다 워낙 많아 안 뽑힐 가능성도 있지만, 스트라이커들의 경우 오현규, 오세훈 등 젋은 자원들이 계속 나오고는 있으나, 수비형 미드필더의 경우 원두재, 김봉수, 권혁규, 이순민 등 대표팀에는 한 번 이상 소집된 적은 있지만 정우영만큼 잘 하는 수비형 미드필더는 없다는 게 흠. 그래서 뽑힐 가능성도 있는 편이다.[3] 대회 진행 시점(2025년 7월 7일 ~ 16일) 기준 35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