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왕녀 [[틀:조선의 왕녀/중종 ~ 철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사도세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 |||
}}}}}}}}}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영조의 왕녀 화억옹주 | 和憶翁主 | |||
화억옹주묘 전경 | |||
출생 | 1717년 6월 1일[1] | ||
조선 한성부 북부 순화방 창의궁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9 일대) | |||
사망 | 1718년 5월 7일[2] (향년 1세) | ||
조선 한성부 북부 순화방 창의궁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9 일대) | |||
묘소 | 증화억옹주묘(贈和憶翁主墓)[3]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 전주 이씨 | |
휘 | 향염(香艶) | ||
부모 | 부왕 영조 모친 온희정빈 | ||
형제자매 | 부왕 기준 2남 12녀 중 장녀 모친 기준 1남 2녀 중 장녀 | ||
봉호 | 화억옹주(和憶翁主) |
[clearfix]
1. 개요
조선 영조의 서장녀. 효장세자의 누나가 된다.2. 생애
1717년(숙종 43) 영조가 연잉군이었을 때, 그의 첫사랑 정빈 이씨가 낳은 첫째 딸이다. 이름은 향염(香艶)이다.[4] 당시 영조는 24세의 나이로 조선시대 기준으로 본다면 자식을 늦게 본 셈이다. 그렇기에 더욱 더 애틋하고 귀한 딸이었을 것이다.1718년(숙종 44) 3월 9일 영조의 생모 숙빈 최씨가 창의궁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런데 바로 한 달 뒤인 4월 8일에는 겨우 한 돌이 막 지난 향염마저 떠났다. 영조는 참으로 비통한 심정으로 어린 딸의 시신을 수습하게 된다. 바로 다음날 외할아버지의 산소 옆에 서둘러 매장하였다가 8월에 가서야 어머니의 묘 옆에 겨우 자리를 잡아 옮겼다.
3. 여담
지금은 의료 수준이 높아졌지만, 옛날에는 열악한 의료 수준으로 인해 유아사망률이 높았기 때문에 아주 어려서 죽은 자식은 성인처럼 장례를 치르지 않았다.[5]특히 나이가 8세가 되지 못한 경우에는 갖추어야 하는 의례가 없었다. 이는 왕실에서도 마찬가지여서 태종도 두 살짜리 왕자가 죽자 따로 장례를 치르지 않은 바 있다.[6]그러므로 당시 영조가 아버지로서 해줄 수 있었던 일은 꽃과 새 문양의 고운 비단첩에 글을 남겨서 기리는 일 뿐이었다.
내가 뒤늦게 이 딸을 얻으니 매우 기쁘고 사랑하였다. 뜻하지 않게 무술년(1718) 4월 초 8일 병으로 세상을 떠나니, 나이는 겨우 한 돌이 지났다. 《유녀향염광지(幼女香艶壙誌)》 |
비망기(備忘記)를 내려,
"어제 축문(祝文)을 보고 숙신공주(肅愼公主)가 추증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 옹주는 곧 효장세자의 누나인데, 화억옹주(和憶翁主)로 추증하니 교지를 써서 들여라." 하였다.
《승정원일기》 영조 49년(1773년 청 건륭(乾隆) 38년) 10월 7일
1773년(영조 49) 10월 7일 향염을 화억옹주로 추증하고 무덤의 비문을 직접 써서 세웠다. 그야말로 딸부잣집인 영조는 모두 12명의 옹주를 두었는데, 그중 7명만이 관례를 치르고 혼인할 수 있었다.[7] 나머지 5명은 모두 요절했다. 그런데 요절한 딸 중에서도 향염만을 추증했으니 첫째 딸을 향한 부성애를 느낄 수 있다."어제 축문(祝文)을 보고 숙신공주(肅愼公主)가 추증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 옹주는 곧 효장세자의 누나인데, 화억옹주(和憶翁主)로 추증하니 교지를 써서 들여라." 하였다.
《승정원일기》 영조 49년(1773년 청 건륭(乾隆) 38년) 10월 7일
《화억옹주추증교지》 |
[1] 음력 숙종 43년 4월 22일[2] 음력 숙종 44년 4월 8일[3] 본래 묘소는 경기도 고양군 신도면 진관외리(現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였으나, 1939년 일제강점기 때 서삼릉 왕자왕녀묘역으로 이장됐다.[4] 향기롭고 고운 꽃이라는 뜻이다.[5] 기준이 있었으니 상상(殤喪)은 8세부터 19세 사이에 죽은 경우를 말하며, 장상(長殤)은 19세부터 16세까지를, 중상(中殤)은 15세부터 12세까지를, 하상(下殤)은 11세부터 8세까지를 말한다. 이 셋을 통틀어 삼상이라고 한다.[6] 태종실록 2권, 태종 1년 7월 1일 무자 1번째기사. #[7] 요절하지 않고 혼인까지 치른 딸들은 다음과 같다. 화순옹주, 화평옹주, 화협옹주, 화완옹주, 화유옹주, 화령옹주, 화길옹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