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f2023><tablebordercolor=white,#1f2023>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가라테|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골프|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권투|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근대 5종|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농구| |
가라테 | 골프 | 권투 | 근대 5종 | 농구 |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다이빙|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럭비|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레슬링|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마라톤 수영|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바둑| | |
다이빙 | 럭비 | 레슬링 | 마라톤 수영 | 바둑 |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배구|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배드민턴|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브레이킹|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브리지|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비치발리볼| | |
배구 | 배드민턴 | 브레이킹 | 브리지 | 비치발리볼 |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사격|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사이클|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샹치|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세팍타크로|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소프트볼| | |
사격 | 사이클 | 샹치 | 세팍타크로 | 소프트볼 |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소프트테니스|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수구|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수영|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스케이트보딩|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스쿼시| | |
소프트테니스 | 수구 | 수영 | 스케이트보딩 | 스쿼시 |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스포츠 클라이밍|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승마|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아티스틱 스위밍|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야구|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양궁| | |
스포츠 클라이밍 | 승마 | 아티스틱 스위밍 | 야구 | 양궁 |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역도|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요트|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용선|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우슈|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유도| | |
역도 | 요트 | 용선 | 우슈 | 유도 |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유러피언 주짓수|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육상|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인라인 스케이팅|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조정|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체스| | |
유러피언 주짓수 | 육상 | 인라인 스케이팅 | 조정 | 체스 |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체조|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카누 스프린트|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카누 슬라럼|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카바디| | |
체조 | 축구 | 카누 스프린트 | 카누 슬라럼 | 카바디 |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쿠라쉬|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크리켓|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탁구|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태권도|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테니스| | |
쿠라쉬 | 크리켓 | 탁구 | 태권도 | 테니스 |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트라이애슬론|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펜싱|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필드 하키|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핸드볼|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e스포츠| | |
트라이애슬론 | 펜싱 | 필드 하키 | 핸드볼 | e스포츠 | }}}}}}}}} |
[clearfix]
1. 개요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수영(남자)의 평영에 대해 서술한 문서.남자 평영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50m (2023-09-29) | 친 하이양 | 26.35 | 선 지아준 | 26.92 | 최동열 | 26.93[KR] |
100m (2023-09-25) | 친 하이양 | 57.76[GR] | 옌 쯔베이 | 59.09 | 최동열 | 59.28[KR] |
200m (2023-09-28) | 친 하이양 | 2:07.03[GR] | 동 지하오 | 2:08.67 | 와타나베 잇페이 | 2:09.91 |
- 모두 한중일이 메달을 차지했으며 금은 메달은 모두 중국이 획득했다.
- 중국의 친 하이양이 남자 평영의 모든 금메달을 차지했다. 친 하이양은 단일 대회 5관왕에 오르며 같은 수영(경영) 종목의 장 위페이와 MVP 공동 수상자로 뽑혔다.
- 최동열은 참가한 평영 경기에서 모두 대한민국 신기록을 작성했다.
2. 50m
2.1. 예선
- 2023년 9월 29일 금요일 11시(한국 시간)에 진행되었다.
- [1조]
순위 | 레인 | 선수 | 반응 시간 | 시간 | |
1 | 5 | | 아리운수크 아미르랑기 | 0.74 | 34.23 |
2 | 3 | | 케오파세우스 품반디스 | 0.67 | 36.69 |
3 | 4 | | 이샤노프 올림존 | 0.75 | 37.39 |
■ 결승 진출 | ■ 탈락 |
- [2조]
순위 | 레인 | 선수 | 반응 시간 | 시간 | |
1 | 4 | | 히노모토 유야 | 0.62 | 27.39 |
2 | 5 | | 와타나베 잇페이 | 0.69 | 28.05 |
3 | 3 | | 팜 탄 바오 | 0.63 | 28.79 |
4 | 6 | | 잔룩사 타논차이 | 0.58 | 28.83 |
5 | 2 | | 마하몽콜 라차실 | 0.63 | 29.50 |
6 | 7 | | 간조릭트 슈가 | 0.66 | 30.71 |
7 | 1 | | 안와르 무하마드 함자 | 0.74 | 35.30 |
■ 결승 진출 | ■ 탈락 |
- [3조]
순위 | 레인 | 선수 | 반응 시간 | 시간 | |
1 | 4 | | 친 하이양 | 0.63 | 26.25[GR] |
2 | 5 | | 차오 만후 | 0.69 | 27.86 |
3 | 6 | | 코자크메토브 아르센 | 0.65 | 28.40 |
4 | 3 | | 앙 막시밀리안 웨이 | 0.63 | 28.49 |
5 | 2 | | 최 응오우 파이 | 0.64 | 29.20 |
6 | 7 | | 아크타모프 베루즈 | 0.70 | 30.05 |
7 | 1 | | 안와리 파힘 | 0.67 | 31.33 |
8 | 8 | | 니야즈 아메드 니크 | 0.70 | 36.13 |
■ 결승 진출 | ■ 탈락 |
- [4조]
순위 | 레인 | 선수 | 반응 시간 | 시간 | |
1 | 4 | | 선 지아준 | 0.62 | 27.01 |
2 | 5 | | 최동열 | 0.56 | 27.06[KR] |
3 | 3 | | 라하르조 무하마드 드위키 | 0.60 | 28.36 |
4 | 6 | | 응 얀 킨 | 0.60 | 28.71 |
5 | 2 | | 퐁 카 유 | 0.68 | 28.94 |
6 | 1 | | 알크할디 압둘라 | 0.63 | 30.23 |
7 | 7 | | 알함마디 오마르 | 0.75 | 30.67 |
8 | 8 | | 이브라힘 무발 아잠 | 0.61 | 34.24 |
■ 결승 진출 | ■ 탈락 |
- 예선 1위:
친 하이양 (26.25)
- 예선 2위:
선 지아준 (27.01)
- 예선 3위:
최동열 (27.06)
- 중국의 친 하이양이 아시안 게임 신기록을 작성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 최동열이 대한민국 신기록을 작성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2.2. 결승
- 2023년 9월 29일 금요일 20시36분(한국 시간)에 진행되었다.
순위 | 레인 | 선수 | 반응 시간 | 시간 | |
1 | 4 | | 친 하이양 | 0.64 | 26.35 |
2 | 5 | | 선 지아준 | 0.62 | 26.92 |
3 | 3 | | 최동열 | 0.57 | 26.93[KR] |
4 | 6 | | 히노모토 유야 | 0.62 | 27.61 |
5 | 2 | | 차오 만후 | 0.71 | 27.76 |
6 | 7 | | 와타나베 잇페이 | 0.69 | 28.23 |
7 | 8 | | 코자크메토브 아르센 | 0.61 | 28.42 |
8 | 1 | | 라하르조 무하마드 드위키 | 0.61 | 28.52 |
- 🥇금메달:
친 하이양 (26.35)
- 🥈은메달:
선 지아준 (26.92)
- 🥉동메달:
최동열 (26.93)
- 중국의 친 하이양이 단일 대회 무려 5번째 금메달은을 획득하며 수영(경영) 5관왕에 올랐다.[8] 이에 친 하이양은 같은 수영(경영)의 장 위페이와 함께 해당 대회 MVP 공동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 최동열이 예선 경기에서 작성한 대한민국 신기록을 또다시 경신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2위인 선 지아준과는 0.01초 간발의 차로 메달이 결정되었다.
3. 100m
3.1. 예선
- 2023년 9월 25일 월요일 11시(한국 시간)에 진행되었다.
- [1조]
순위 | 레인 | 선수 | 반응 시간 | 시간 | |
1 | 5 | | 세베그수렌 군빌레그 | 0.64 | 1:10.99 |
2 | 4 | | 이브라힘 무발 아잠 | 0.64 | 1:14.73 |
3 | 3 | | 안와르 무하마드 함자 | 0.76 | 1:20.11 |
4 | 6 | | 니야즈 아메드 니크 | 0.69 | 1:21.20 |
■ 결승 진출 | ■ 탈락 |
- [2조]
- [3조]
순위 | 레인 | 선수 | 반응 시간 | 시간 | |
1 | 4 | | 옌 쯔베이 | 0.65 | 1:01.49 |
2 | 5 | | 조성재 | 0.68 | 1:01.68 |
3 | 3 | | 앙 막시밀리안 웨이 | 0.63 | 1:01.91 |
4 | 2 | | 세르바라즈 프리마 리키쓰 | 0.62 | 1:01.98 |
5 | 6 | | 웡 벤슨 | 0.67 | 1:02.48 |
6 | 7 | | 잔룩사 타논차이 | 0.58 | 1:04.41 |
7 | 1 | | 최 응오우 파이 | 0.64 | 1:04.73 |
8 | 8 | | 간조릭트 슈가 | 0.66 | 1:08.16 |
■ 결승 진출 | ■ 탈락 |
- [4조]
순위 | 레인 | 선수 | 반응 시간 | 시간 | |
1 | 4 | | 친 하이양 | 0.64 | 58.35[GR] |
2 | 5 | | 최동열 | 0.58 | 59.90 |
3 | 2 | | 차오 만후 | 0.70 | 1:01.31 |
4 | 3 | | 팜 탄 바오 | 0.66 | 1:02.40 |
5 | 6 | | 칠링워스 아담 존 | 0.63 | 1:02.66 |
6 | 7 | | 캐유스리용 두라왓 | 0.66 | 1:04.86 |
7 | 1 | | 아크타모프 베루즈 | 0.69 | 1:06.28 |
8 | 8 | | 샤란 함자 | 0.56 | 1:11.23 |
■ 결승 진출 | ■ 탈락 |
3.2. 결승
- 2023년 9월 25일 월요일 21시13분(한국 시간)에 진행되었다.
순위 | 레인 | 선수 | 반응 시간 | 시간 | |
1 | 4 | | 친 하이양 | 0.64 | 57.76 |
2 | 2 | | 옌 쯔베이 | 0.63 | 59.09 |
3 | 5 | | 최동열 | 0.57 | 59.28[KR] |
4 | 7 | | 조성재 | 0.65 | 1:00.88 |
5 | 6 | | 와타나베 잇페이 | 0.69 | 1:01.36 |
6 | 3 | | 차오 만후 | 0.70 | 1:01.53 |
7 | 8 | | 세르바라즈 프리마 리키쓰 | 0.63 | 1:01.62 |
8 | 1 | | 앙 막시밀리안 웨이 | 0.65 | 1:02.22 |
- 🥇금메달:
친 하이양 (57.76)
- 🥈은메달:
옌 쯔베이 (59.09)
- 🥉동메달:
최동열 (59.28)
- 최동열이 대한민국 신기록을 작성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대한민국이 아시안 게임 평영 종목에서 1962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 이후 무려 61년만에 획득한 메달이다.
4. 200m
4.1. 예선
- 2023년 9월 28일 목요일 11시(한국 시간)에 진행되었다.
- [1조]
- [2조]
순위 | 레인 | 선수 | 반응 시간 | 시간 | |
1 | 5 | | 조성재 | 0.67 | 2:12.68 |
2 | 4 | | 와타나베 잇페이 | 0.71 | 2:12.70 |
3 | 6 | | 카이 빙롱 | 0.61 | 2:15.87 |
4 | 7 | | 카바라 문저 마크 | 0.65 | 2:19.41 |
5 | 2 | | 흘 푸옹 웨이 | 0.59 | 2:21.36 |
6 | 1 | | 아마르사나 빌렉트 | 0.66 | 2:44.69 |
- | 3 | | 최동열 | - | DNS[기권] |
■ 결승 진출 | ■ 탈락 |
- [3조]
순위 | 레인 | 선수 | 반응 시간 | 시간 | |
1 | 4 | | 친 하이양 | 0.64 | 2:11.76 |
2 | 5 | | 동 지하오 | 0.59 | 2:12.52 |
3 | 6 | | 앙 막시밀리안 웨이 | 0.64 | 2:13.90 |
4 | 3 | | 팜 탄 바오 | 0.67 | 2:13.99 |
5 | 2 | | 라하르조 무하마드 드위키 | 0.63 | 2:17.81 |
6 | 7 | | 샤란 함자 | 0.62 | 2:32.19 |
7 | 1 | | 램 치 총 | 0.67 | 2:33.66 |
■ 결승 진출 | ■ 탈락 |
- 예선 1위:
친 하이양 (2:11.76)
- 예선 2위:
막 사이 팅 아담 (2:12.40)
- 예선 3위:
동 지하오 (2:12.52)
- 최동열이 다음날 남자 50m 평영 경기에 집중하기 위해 기권을 선언했다.
4.2. 결승
- 2023년 9월 28일 목요일 20시50분(한국 시간)에 진행되었다.
순위 | 레인 | 선수 | 반응 시간 | 시간 | |
1 | 4 | | 친 하이양 | 0.64 | 2:07.03[GR] |
2 | 2 | | 동 지하오 | 0.63 | 2:08.67 |
3 | 5 | | 와타나베 잇페이 | 0.70 | 2:09.91 |
4 | 7 | | 조성재 | 0.65 | 2:10.49 |
5 | 6 | | 막 사이 팅 아담 | 0.64 | 2:12.46 |
6 | 3 | | 칠링워스 아담 존 | 0.65 | 2:13.03 |
7 | 8 | | 앙 막시밀리안 웨이 | 0.64 | 2:13.30 |
8 | 1 | | 사토 쇼마 | 0.65 | 2:14.06 |
- 🥇금메달:
친 하이양 (2:07.03)
- 🥈은메달:
동 지하오 (2:08.67)
- 🥉동메달:
와타나베 잇페이 (2:09.91)
- 중국의 친 하이양이 아시안 게임 신기록을 작성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