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7 08:11:19

2025년 국회 무제한토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필리버스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64년 김준연 의원 체포동의안
2016년 테러방지법 (주요 발언 / 진행 상황)
2019년 연동형 비례대표제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진행 상황)
2020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법 개정안 · 국정원법 개정안 · 대북전단 금지법 (진행 상황)
2022년 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검찰청법 개정안 · 형사소송법 개정안)
2024년 순직 해병 특검법 · 방송4법(방송통신위원회법 개정안 · 방송법 개정안 · 방송문화진흥회법 개정안 · 한국교육방송공사법 개정안) · 민생회복지원금 특별법 · 노란봉투법
2025년 방송3법(방송법 개정안 · 방송문화진흥회법 개정안 · 한국교육방송공사법 개정안) · 노란봉투법 · 상법
}}}}}}}}} ||


1. 개요2. 2025년 방송법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3. 2025년 방송문화진흥회법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4. 2025년 한국교육방송공사법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5. 2025년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6. 2025년 상법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

1. 개요

2025년 국민의힘방송3법[1]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일부개정법률안), 상법 개정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를 막기 위해 2025년 8월 4일 16시부터 8월 25일 09시까지 국회 회기 간 신청한 무제한 토론이다.

2. 2025년 방송법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

||<-9><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transparent> 2025년 방송법 개정안 반대 필리버스터 ||
<rowcolor=#cfa547> 순번 이름 소속 정당 법률 입장 시작 시각 종료 시각 발언 시간 누적 시간 비고
1 신동욱

반대 8월 4일 16:02 8월 4일 23:32 7시간 30분 7시간 30분 [2]
2 김현
찬성 8월 4일 23:33 8월 5일 02:38 3시간 4분 10시간 36분
3 이상휘

반대 8월 5일 02:38 8월 5일 07:06 4시간 28분 15시간 5분
4 노종면
찬성 8월 5일 07:08 8월 5일 16:13 9시간 3분 24시간 11분 토론 종결
[3][4]

3. 2025년 방송문화진흥회법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

||<-9><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transparent> 2025년 방송문화진흥회법 개정안 반대 필리버스터 ||
<rowcolor=#cfa547> 순번 이름 소속 정당 법률 입장 시작 시각 종료 시각 발언 시간 누적 시간 비고
1 김장겸

반대 8월 5일 16:51 8월 5일 23:59 7시간 8분 7시간 8분 토론 종결
[5][6]

4. 2025년 한국교육방송공사법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

||<-9><tablewidth=100%><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transparent> 2025년 한국교육방송공사법 개정안 반대 필리버스터 ||
<rowcolor=#cfa547> 순번 이름 소속 정당 법률 입장 시작 시각 종료 시각 발언 시간 누적 시간 비고
1 최형두

반대 8월 21일 10:42 8월 22일 00:09 13시간 27분 13시간 27분 [7]
2 이정헌
찬성 8월 22일 00:11 8월 22일 10:58 10시간 47분 24시간 14분 토론 종결
[8][9]

5. 2025년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

||<-9><tablewidth=100%><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transparent> 2025년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 ||
<rowcolor=#cfa547> 순번 이름 소속 정당 법률 입장 시작 시각 종료 시각 발언 시간 누적 시간 비고
1 김형동

반대 8월 23일 09:09 8월 23일 14:05 4시간 56분 4시간 56분 [10]
2 김주영
찬성 8월 23일 14:07 8월 23일 17:55 3시간 48분 8시간 45분
3 우재준

반대 8월 23일 17:57 8월 23일 21:58 4시간 0분 12시간 47분
4 신장식
찬성 8월 23일 21:59 8월 24일 00:27 2시간 28분 15시간 17분
5 김위상

반대 8월 24일 00:28 8월 24일 03:06 2시간 34분 17시간 53분
6 박해철
찬성 8월 24일 03:07 8월 23일 07:15 4시간 8분 22시간 3분
7 김소희

반대 8월 24일 07:16 8월 24일 09:11 1시간 56분 24시간 2분 토론 종결
[11][12]

6. 2025년 상법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

||<-9><tablewidth=100%><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transparent> 2025년 상법 일부개정법률안 반대 필리버스터 ||
<rowcolor=#cfa547> 순번 이름 소속 정당 법률 입장 시작 시각 종료 시각 발언 시간 누적 시간 비고
1 곽규택

반대 8월 24일 09:41 8월 24일 12:19 2시간 36분 2시간 36분 [13]
2 오기형
찬성 8월 24일 12:24 8월 24일 14:27 2시간 3분 4시간 46분
3 조배숙

반대 8월 24일 14:29 8월 24일 17:43 3시간 13분 8시간 0분
4 김남근
찬성 8월 24일 17:44 8월 24일 20:32 2시간 48분 10시간 50분
5 송석준

반대 8월 24일 20:33 8월 25일 01:33 4시간 58분 15시간 51분
6 김현정
찬성 8월 25일 01:34 8월 25일 03:48 2시간 13분 18시간 5분
7 주진우

반대 8월 25일 03:49 8월 25일 09:43 5시간 54분 24시간 1분 토론 종결[14][15]

[1] 방송법·방송문화진흥회법·한국교육방송공사법 일부개정법률안.[2] 무제한토론 개시 1분 후 8월 4일 16시 3분,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 외 166인이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제출하였다. 이에 따라 8월 5일 16시 3분 이후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의장은 상정하여 표결하여야 한다. 국회법 제106조의2제6항에 따라 필리버스터 시작 24시간 경과 후 무제한 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표결하여 국회 재적의원 5분의 3 이상인 179명의 찬성이 있으면 무제한 토론을 종료할 수 있다.[3] 방송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에 대한 무제한토론 종결동의의 건: 총 투표수 188표, 가 187표, 부 1표[4] 방송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 총 투표수 180표, 찬성 178표, 반대 2표[5] 이 법안과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방송사인 MBC의 사장을 역임한 바 있는 국회의원이다.[6] 국회법 제106조의2제8항에 따라 회기가 종료되어 무제한토론이 종료되었다.[7] 무제한토론 개시 1분 후 8월 21일 10시 43분,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 외 165인이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제출하였다. 이에 따라 8월 22일 10시 43분 이후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의장은 상정하여 표결하여야 한다. 국회법 제106조의2제6항에 따라 필리버스터 시작 24시간 경과 후 무제한 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표결하여 국회 재적의원 5분의 3 이상인 179명의 찬성이 있으면 무제한 토론을 종료할 수 있다.[8] 한국교육방송공사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에 대한 무제한토론 종결동의의 건: 총 투표수 185표, 가 184표, 부 1표[9] 한국교육방송공사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 총 투표수 180표, 찬성 179표, 반대 1표[10] 무제한토론 개시 1분 후 8월 23일 9시 10분,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 외 165인이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제출하였다. 이에 따라 8월 24일 9시 10분 이후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의장은 상정하여 표결하여야 한다. 국회법 제106조의2제6항에 따라 필리버스터 시작 24시간 경과 후 무제한 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표결하여 국회 재적의원 5분의 3 이상인 179명의 찬성이 있으면 무제한 토론을 종료할 수 있다.[11]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에 대한 무제한토론 종결동의의 건: 총 투표수 186표, 가 183표, 부 3표[12]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 총 투표수 186표, 찬성 183표, 반대 3표[13] 무제한토론 개시 1분 후 8월 24일 9시 42분,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 외 165인이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제출하였다. 이에 따라 8월 25일 9시 42분 이후 무제한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의장은 상정하여 표결하여야 한다. 국회법 제106조의2제6항에 따라 필리버스터 시작 24시간 경과 후 무제한 토론 종결 동의의 건을 표결하여 국회 재적의원 5분의 3 이상인 179명의 찬성이 있으면 무제한 토론을 종료할 수 있다.[14] 상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에 대한 무제한토론 종결동의의 건: 총 투표수 184표, 가 184표[15] 상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 총 투표수 182표, 찬성 180표, 기권 2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