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01:39:32

제32보병사단/신병교육대

32사단 신병교육대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32보병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군단 사단 신병교육대 소재 지역
직할사단 제36보병사단 신병교육대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초면
제55보병사단 신병교육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colbgcolor=#009600> 수도 제51보병사단 신병교육대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II 제7보병사단 신병교육대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화천읍
제15보병사단 신병교육대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사내면
III 제12보병사단 신병교육대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제21보병사단 신병교육대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국토정중앙면
V 제3보병사단 신병교육대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서면
제5보병사단 신병교육대 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제6보병사단 신병교육대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동송읍
제2작전사령부
사단 신병교육대 소재 지역
직할사단 제31보병사단 신병교육대 광주광역시 북구 오치동
제32보병사단 신병교육대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제35보병사단 신병교육대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
제37보병사단 신병교육대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제39보병사단 신병교육대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제50보병사단 신병교육대 대구광역시 북구 국우동
■ 보병사단 ■ 지역방위사단(구 향토)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대대
}}}}}}}}} ||

파일:제3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32보병사단 예하부대
제97보병여단 제98보병여단 제99보병여단
제505보병여단 세종시경비단 신병교육대
※ 군 공통의 직할부대(본부근무대, 의무근무대 등)는 소속 부대 문단 참고
※ 과거 소속 부대(제32보병사단 동원지원단 등)는 과거 소속 부대 문단 참고

1. 개요2. 위치3. 소개4. 수료 인물5. 사건사고

1. 개요

제32보병사단신병교육대 문서.

2. 위치

제32보병사단 신병교육대 (백룡신병교육대)
第三十二步兵師團 新兵敎育隊
The 32nd Infantry Division recruit training center
위치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 160-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3. 소개

제32보병사단 본부와 같은 부지에 있는데, 신병교육대 위치는 주둔지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다. 신병교육대에서 더 깊게 들어가면 남세종 동원훈련장이 나온다. 그래서 예비군들이 훈련 마치고 집에 가는 길에 훈련병들을 만나면 온갖 놀림을 가한다.

구막사 2개와 신막사 1개[1]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뒷편에 각 과목 훈련장이 있다. 경사가 원체 있다보니 뜀걸음, 행군은 물론 모든 훈련을 받으러 갈 때 체력이 딸린다면 많이 힘들 것이다만. 사실 모든 교장이 막사에서 도보로 10분거리 내에 있어서 힘이 들 수가 없다. 신병교육대에서 제일 먼 곳이 주말에 가는 종교센터이니 말 다 했다. 복귀하는 길이 처음부터 끝까지 오르막길이라 꽤 힘들다.

신병교육대 생활관 위치가 높다보니 예전에는 상수도 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않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물이 워낙 귀하다보니 한달반 남짓의 훈련 기간 동안 샤워는 고사하고 목욕도 서너번 정도밖에 할 수 없었고 그것도 1인당 물 3바가지만 뜨게 해서 그걸로 다 해결하도록 시켰을 정도. 불가능할 것 같지만 실제로 물 3 바가지로 목욕이 되긴 된다. 물 양도 부족할 뿐만 아니라 수질도 당연히 좋지 않았다.

신병교육대대는 1, 2, 3중대가 현역/상근예비역 교육훈련을 수행했고[2] 4중대는 보충역 교육훈련을 따로 전담했었다.[3]

하지만, 2020년부터 제32보병사단 신병교육대대에서는 보충역 기초군사훈련을 하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1, 2, 3, 4중대 모두가 현역/상근예비역 기초군사훈련을 담당하며 서울, 대전, 세종, 충남지역의 보충역들은 충청남도 논산 육군훈련소로 가서 훈련을 받게 된다.

분대장 교육훈련, 공용화기 교육훈련 등 다양한 집체교육도 수행한다.

앞서도 이야기했지만, 지역방위사단으로서 수도권과 가깝고, 주변 사령부급 기행부대로 갈 확률이 비교적 있으므로 제37보병사단과 더불어 입영일자 본인선택할 때 지원률이 높았다. 현재도 대부분의 병력들이 후방부대로 빠지고 있으며, 국군재정관리단이나 KCTC 등에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위의 예하부대 항목에서 보듯, 제32보병사단에 남는 경우 후방 중의 최전방부대나 마찬가지인 해안경계부대로 빠질 확률이 높으니 유의하길 바란다. 또한 최근에는 국방개혁 2.0의 영향으로 사단 신병교육대의 수가 줄어들면서, 전방부대로 자대배치를 받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즉, 제32보병사단에 남거나 제2작전사령부 예하 부대로 배치받을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기수마다 병력 수요가 다르기 때문에 모든 것은 운빨이다. 최근에는 다수의 훈련병들이 제8기동사단으로 배치 받는 일도 많으니 후방으로 자대배치를 받을거라는 기대는 너무 하는게 좋지 않다.

행군은 6km 주간 행군과 30km 야간 행군이 있었다고 하지만 2018년 현재 20km 야간행군만 하며 이것도(소대장曰) 몇개의 지름길로 가서 17km가 약간 넘는다고 한다, 이런저런 요령이 생긴 자대에서의 행군보다 젊은 혈기 믿고 빠른 발걸음을 재촉했던 훈련소에서의 행군이 더 힘들었던 기억을 가진 이들도 있다. 늦은 입대로 나이가 있거나 체력이 약하면 이를 각오하고 절대 무리하지 말길 바란다. 특히 야간행군시 신병교육대에 복귀하는 오르막길에서는 퍼지기 일쑤. 딱히 질병이 없더라도 행군을 가기 전 환자인원을 조사할 때에 자신이 허리 or 어깨가 아파서 도저히 군장을 메지 못하겠다고 확실하게 말하면 단독군장을 멜 수 있다. 아무도 뭐라 하지 않는다. 여기서 더 건강이 안 좋다면 아예 열외. 화생방 역시 마찬가지로 자신이 도저히 못하겠다고 말하면 그냥 아무 말 없이 열외시켜준다.

해당 신병교육대에서는 민간 TV를 훈련병들이 볼 수 있게 해준다. 다른 훈련소 출신들은 여기서 뒷목 잡는다.

종교 활동도 부대 위치상의 이유로 체력적으로 부담이다. 꼭대기 부근에 있는 훈련소와 반대로 교회, 성당, 절은 주둔지에서 가장 낮은 곳에 옹기종기 모여 있어 왕복거리가 상당하기 때문. 실제 훈련병의 경험으로는 쿨타임까지 다 매겨서 군가 8개 불렀는데 3/4정도 올라왔을 정도. 종교 행사에 안 가도 특별한 것을 시키지 않고 쉬게 해준다. 1주차에 가장 많은 인원이 가고 2주차부터는 안가는 인원이 많아진다. 운이 좋으면 그냥 조용히 편지를 쓰면서 부식을 먹으면서 쉴 수 있을 때도 있다. 반대로 과자 하나 더 얻어먹겠다고 일요일의 귀중한 시간 동안 근성으로 왔다갔다하는 지독한 훈련병들도 무시무시하게 많고 어느 정도 체력만 되면 어렵지 않고, 센스 좋은 인솔조교를 만났다면 '1, 4빼고 번호붙여 가' 등의 놀이(?)를 하며 올라갈 수도 있기 때문에 갈만 하다고 느끼는 이들도 있다[4]. 어차피 매일 아침마다 어지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뜀걸음을 하기 때문에 조금만 지나면 산책 가듯 다닐 수 있다. 다만 날씨가 조금만 좋지 않다 싶으면 애들 다친다고 바로 뜀걸음을 취소하는지라 그렇게 많이 뛰지 않는 기수도 있다. 특히 겨울 군번.

훈련소의 스케줄이 워낙 빡빡해서 줄넘기를 비롯한 체력단련을 단 한번도 하지 못한 기수도 있다. 10대 군가도 보통 식사전후로 배우고 빡빡하게 외우게끔 하지 않아 몇 가지만 숙지하고 퇴소하는 경우가 많아서, 자대에서 (특히 육군훈련소 출신)선임에게 핀잔 아닌 핀잔을 듣는 경우도 있다.

지역방위사단의 특성상 심하면 생활관의 절반이 상근예비역인 놀라운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서 한 생활관의 총원이 20명이라 칠 때, 현역이 10명이면 나머지는 말을 안 해도 알 것이다. 신병교육대 생활이 끝나갈 쯤 돼서 고생은 다같이 했는데 상근들이 "우리는 집에 간다ㅎㅎㅎ"라면서 웃고 떠들면 현역은 무지 괴롭다. 일부 서울 상근들은 아예 현역들과 함께 역까지 갔다가 상근들만 따로 모아서 그냥 표 끊고 자기 집으로 바로 보내주기도 한다. 물론 그것을 바라보고 있는 현역들의 심정은...

근처에 있는 부대들의 분대장 양성교육도 책임진다.

덤으로 건강소대의 별칭인 신비클럽 즉, 신병비만클럽도 이 사단 신병교육대대에서 최초로 실행해 지금은 육군 전 사단 신병교육대대로 확대되었다.

4. 수료 인물

5. 사건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32보병사단 신병교육대대 수류탄 폭발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2012년에 완공. 조교들이 쓰던 시절도 있었으나 훈련병 통제가 안 된다는 이유로 며칠 후 다시 구막사로 옮겨갔다고 한다. 현재는 보충대 막사로 사용하고 있다.[2] 3중대 같은 경우는 1년에 한번만 현역/상근예비역 교육훈련을 담당하고, 나머지 는 계속 보충역 교육훈련을 담당한다.(2017년 기준)[3] 서울과 대전, 충남권의 보충역 자원은 대부분 이곳으로 왔다. 예를 들면 박찬호같은 경우. 다만 보충역 자원이 늘어나서 현역/상근예비역 담당 중대가 보충역을 담당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4] 여기서 뒷줄에 선 인원들은 조교의 말을 듣지 못하고 힘차게 번호를 외쳤다가 다들 킥킥거리는 것을 보고 당황해하는 웃지 못할 풍경이 벌어지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