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시대 기사로 이루어진 단체나 군대에 대한 내용은 기사단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2사단 | 20사단 | 23사단 | 26사단 | 27사단 | |||
29사단 | 30사단 | 33사단 | 38사단 | 51사단 | |||
57사단 | 61사단 | 62사단 | 63사단 | 65사단 | |||
67사단 | 68사단 | 69사단 | 70사단 | 71사단 | |||
76사단 |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 |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사단 | 해체된 사단 |
제71보병사단 {{{#ffffff 第七一步兵師團}}} {{{#ffffff The 71st Infantry Division}}} | ||||||
수도서울 절대사수 | ||||||
창설일 | 1975년 9월 1일(제71방위사단) 1990년 6월 1일(제71보병사단) | |||||
해체일 | 2016년 11월 30일 | |||||
상징명칭 | 선승부대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상급부대 | 수도방위사령부 | |||||
규모 | 사단 | |||||
역할 | 평시 예비군 교육관리 | |||||
초대 사단장 | 예) 준장 맹귀재(갑종 186기) | |||||
해체 전 사단장 | 예) 준장 조철규(육사 41기) | |||||
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 |||||
충성!
[clearfix]1. 개요
경기도 남양주시를 근거지로 했던 수도방위사령부 소속 동원사단으로 상징명칭은 선승부대. 1990년 6월 1일 창설되었으며, 2016년 11월 30일 해체되었다.2. 상세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 사단. 사단 사령부는 남양주시에 위치했었으며[1], 과거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예하의 동원보병사단이었다.동원훈련장 현관에 있는 연혁에는 1980년대 말부터 준비 작업을 하여 1990년 6월 1일에 창설한 것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여기에는 약간 복잡한 사연이 있다. 원래는 1975년에 창설되어 수도경비사령부 예하 제71훈련단(방위사단)이었으나 이후 제57보병사단으로 1984년에 승격되었으며[2] 이후 1990년에 제57보병사단에서 제71동원사단이 분리된 것이다. 그 과정에서 제57보병사단은 구리로 이전했고, 71사단은 57사단의 사령부를 비롯한 주둔지를 인수했다. 이는 56 - 60사단의 관계와 일치한다.
2016년 11월 30일을 기점으로 해체되었다. 병력과 장비 등은 56, 60사단으로 이관되었으며 예하 연대도 모두 해체되었다.참고[3]
3. 예하부대
3.1. 사단직할대
3.2. 제163보병연대 호랑이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32보병연대 | 37보병연대 | 63보병연대 | 83보병연대 | 85보병연대 | |
86보병연대 | 113보병연대 | 115보병연대 | 116보병연대 | 163보병연대 | |
165보병연대 | 166보병연대 | 173보병연대 | 175보병연대 | 176보병연대 | |
177보병연대 | 178보병연대 | 179보병연대 | 180보병연대 | 181보병연대 | |
182보병연대 | 183보병연대 | 185보병연대 | 186보병연대 | 190보병연대 | |
191보병연대 | 192보병연대 | 193보병연대 | 195보병연대 | 196보병연대 | |
197보병연대 | 198보병연대 | 199보병연대 | 211보병연대 | 215보병연대 | |
216보병연대 | 222보병연대 | 223보병연대 | 21교육연대 | 22교육연대 | |
2사단 포병연대 | 71사단 포병연대 | 62사단 포병연대 | 61사단 포병연대 | 67사단 포병연대 | |
76사단 포병연대 | 65사단 포병연대 | 70사단 포병연대 | 68사단 포병연대 | 69사단 포병연대 | |
※ 둘러보기 :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연대본부
- 1대대
- 2대대
- 3대대
4대대: 1995년 초까지 각 연대마다 4대대 까지 있었으나 조직개편으로 4대대 인원을 각 대대로 분산배치하고 4대대 인원중 소수를 연대 수색중대로 재편되면서 1993년 4대대로 부대발령을 받고 1995년 3대대에서 전역했다.
3.3. 제165보병연대 독수리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32보병연대 | 37보병연대 | 63보병연대 | 83보병연대 | 85보병연대 | |
86보병연대 | 113보병연대 | 115보병연대 | 116보병연대 | 163보병연대 | |
165보병연대 | 166보병연대 | 173보병연대 | 175보병연대 | 176보병연대 | |
177보병연대 | 178보병연대 | 179보병연대 | 180보병연대 | 181보병연대 | |
182보병연대 | 183보병연대 | 185보병연대 | 186보병연대 | 190보병연대 | |
191보병연대 | 192보병연대 | 193보병연대 | 195보병연대 | 196보병연대 | |
197보병연대 | 198보병연대 | 199보병연대 | 211보병연대 | 215보병연대 | |
216보병연대 | 222보병연대 | 223보병연대 | 21교육연대 | 22교육연대 | |
2사단 포병연대 | 71사단 포병연대 | 62사단 포병연대 | 61사단 포병연대 | 67사단 포병연대 | |
76사단 포병연대 | 65사단 포병연대 | 70사단 포병연대 | 68사단 포병연대 | 69사단 포병연대 | |
※ 둘러보기 :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연대본부
- 1대대
- 2대대
- 3대대
3.4. 제166보병연대 솔개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32보병연대 | 37보병연대 | 63보병연대 | 83보병연대 | 85보병연대 | |
86보병연대 | 113보병연대 | 115보병연대 | 116보병연대 | 163보병연대 | |
165보병연대 | 166보병연대 | 173보병연대 | 175보병연대 | 176보병연대 | |
177보병연대 | 178보병연대 | 179보병연대 | 180보병연대 | 181보병연대 | |
182보병연대 | 183보병연대 | 185보병연대 | 186보병연대 | 190보병연대 | |
191보병연대 | 192보병연대 | 193보병연대 | 195보병연대 | 196보병연대 | |
197보병연대 | 198보병연대 | 199보병연대 | 211보병연대 | 215보병연대 | |
216보병연대 | 222보병연대 | 223보병연대 | 21교육연대 | 22교육연대 | |
2사단 포병연대 | 71사단 포병연대 | 62사단 포병연대 | 61사단 포병연대 | 67사단 포병연대 | |
76사단 포병연대 | 65사단 포병연대 | 70사단 포병연대 | 68사단 포병연대 | 69사단 포병연대 | |
※ 둘러보기 :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연대본부
- 1대대
- 2대대
- 3대대
예전에는 황소연대였으나 연대 자체 공모를 통해 상징명칭과 구호가 솔개로 바뀌었다.
3.5. 포병연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32보병연대 | 37보병연대 | 63보병연대 | 83보병연대 | 85보병연대 | |
86보병연대 | 113보병연대 | 115보병연대 | 116보병연대 | 163보병연대 | |
165보병연대 | 166보병연대 | 173보병연대 | 175보병연대 | 176보병연대 | |
177보병연대 | 178보병연대 | 179보병연대 | 180보병연대 | 181보병연대 | |
182보병연대 | 183보병연대 | 185보병연대 | 186보병연대 | 190보병연대 | |
191보병연대 | 192보병연대 | 193보병연대 | 195보병연대 | 196보병연대 | |
197보병연대 | 198보병연대 | 199보병연대 | 211보병연대 | 215보병연대 | |
216보병연대 | 222보병연대 | 223보병연대 | 21교육연대 | 22교육연대 | |
2사단 포병연대 | 71사단 포병연대 | 62사단 포병연대 | 61사단 포병연대 | 67사단 포병연대 | |
76사단 포병연대 | 65사단 포병연대 | 70사단 포병연대 | 68사단 포병연대 | 69사단 포병연대 | |
※ 둘러보기 :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연대본부
- 제511포병대대
- 제512포병대대
- 제513포병대대
- 제621포병대대
보병연대 및 사단 본부와는 버스 1정거장 정도 떨어져 있었으며, 105mm 담당 3개 대대와 155mm 담당 1개 대대(동원훈련장 담당도 겸하고 있음)가 있었다. 현재 해당 부지에는 제55동원지원단이 들어온 상태.
수도권의 각종 의전 행사시 예포 지원을 했다.(예를 들면 대통령 취임식 같은 행사를 지원해서 자부심이 대단했다.)
4. 과거부대
5. 출신인물
5.1. 사단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사단장. |
역대 제71보병사단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맹귀재 | 예) 준장 | 갑종 186기 | 前 사단장 | |
00대 | 백운택 | 예) 중장 | 육사 11기 | 前 제1군단장 | |
00대 | 이순창 | 예) 준장 | 학군 15기[9] | 前 사단장 | |
13대 | 정지용 | 예) 준장 | 육사 35기 | 前 사단장 | [10] |
14대 | 박재민 | 예) 준장 | 학군 17기 | 前 사단장 | [11] |
15대 | 이달섭 | 예) 준장 | 학군 19기[12] | 前 사단장 | |
16대 | 성상덕 | 예) 준장 | 육사 39기 | 前 사단장 | |
17대 | 조철규 | 예) 준장 | 육사 41기 | 前 사단장 |
5.2. 장교
5.3. 병
- 김기덕 -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1978년 2월 20일 방위병 입대, 소총수, 1979년 1월 4일 이병 소집해제
- 문성호 -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2010년 7월 20일 입대, 소총수, 2012년 4월 30일 병장 만기전역
- 송재혁 -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1981년 2월 28일 방위병 입대, 소총수, 1982년 5월 7일 일병 소집해제
6. 기타
6.1. 근무환경
6.2. 사단가
불암산의 정기 받은 정예 선승 용사들
솟아나는 용기는 우리의 표상
나라위한 호국충정 우리의 사명
승리의 함성으로 오늘을 연다
휘날리자 드높이자 방패의 깃발
아- 서울을 수호하는 71사단
71사단가
솟아나는 용기는 우리의 표상
나라위한 호국충정 우리의 사명
승리의 함성으로 오늘을 연다
휘날리자 드높이자 방패의 깃발
아- 서울을 수호하는 71사단
71사단가
7. 사건사고
8. 여담
- 12.12 군사반란 당시 경복궁 측에 모여있던 국군보안사령관 전두환 이하 인원 중에 당시 제71방위사단장 백운택[13]이 있었다. 이 사실을 안 육군참모차장 윤성민 중장이 육군종합학교장 소준열 소장에게 백운택 준장의 체포를 지시하였으나 결국 체포하지 못했다.[14] 이후 백운택은 소장으로 진급하여[15] 제9보병사단장 등을 역임하다 1982년 11월 3일 제1군단장에 취임한지 얼마 안 되어 사망하였다.[16]
- 2002년 3월 4일 KBS1 <TV 내무반 신고합니다>에 소개된 바 있다.
- 여타 동원사단과 마찬가지로 평시 현역병력은 대략 완편 사단의 10% 수준. 나머지 90%는 예비군으로 채운다. 중대 병력은 10명 안팎. 소대가 예비역 편제이며 전투관련 소대장이 없고, 통신장교 겸 통신소대장만 있을 뿐이다. 대대 참모도 작전장교 겸 군수장교 겸 3중대장 이런 식이다. 연대 병력은 대략 200명이 좀 넘는 수준이다. 때문에 간부 비율이 높으며, 다른 부대에서는 어쩌다 한 번 마주치는 영관급 간부를 여기서는 거의 매일 마주친다. 그럴 수 밖에 없는게 1개 대대 병력이 병사+간부 다 합쳐도 6~70명 수준이다. 그런데도 대대장은 소령~중령이다.
- 마찬가지로 중대장은 중위(진)~대위가 맡는데 위에서도 말했듯 중대 병력이 10명 수준이라 전방부대 소대장보다도 휘하 병력이 적다. 이에 대한 중대장(특히 전방에서 100명 넘게 거느리다 여기로 온 대위 중대장)들의 반응은 극과 극이다. 관리할 병력 적어서 골치 아플 일 적어 살판 난다는 사람도 있는 반면, 100명 넘게 휘하에 부리다 여기서 10명 지휘하자니 지휘할 맛 안 나서 짜증난다는 사람도 있다. 소위가 가끔 첫 부임지로 와서 중대장을 맡기도 한다. 중대원이 완편부대 분대 규모 수준이라...
- 교회는 포병연대 안에 있으며, 성당은 사단 위병소 옆에 그리고 절은 사단 안쪽에 있다.
- 불암산 등산로 기점에 위치하고 있어 주말에는 등산객들이 부대 옆을 많이 지나간다.
경계 서면서 구경하다보면 그저 부럽다
- 서울 버스 202, 서울 버스 1155, 남양주 버스 77, 남양주 버스 82이 위병소 바로 앞을 지난다.
그냥 바로 앞이 종점이다. 제대하면 서울이나 경기도 사는 사람은 버스 타고 간다. 부럽다
- 2011년 말 (구)제57보병사단이 제56보병사단으로 흡수될 때 제71보병사단 쪽에서도 일부 병력과 부대시설을 흡수하였다. (대표적으로 포병연대 뒤편 불암산 기슭에 있는 유격장과 전차중대 옆에 있는 사격장) [17]
- 원래 부대 주변은 평범한 농촌이었으나 2010년대 초반부터 바로 옆에 별내신도시가 들어서면서 부대 근처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다. 신도시와 바로 맞닿은 모연대의 경우 생활관에서 근처 아파트가 보인다. 또한 아파트에서 포병연대 중에 한 대대의 포상이 훤히 보인다. 물론 훈련하는 것도 보인다.
- 포병연대(특히 동원훈련장)는 뒤쪽에 삼육대학교가 있다. 부대 울타리 너머로 대학생들을 구경할 수 있다.
- 보병들과 달리 포병연대에는 숨을 곳이 굉장히 많다. 경력이 차면 도망 갈 곳이 정말 많다.
- 포병 모 대대에서는 예초를 하면 불암아파트를 예초 하기 때문에(위병소 밖이다)카드 챙겨와서 삼육대학교 앞으로 부사수들을 보낸다.
- 포병연대 탄약고에서 야간에 근무 서면서 얘기하면 앞에 있는 불암 아파트에 다 들린다.
- 포병연대 뒤에 불암유격장이 있는데 제7포병여단, 육군사관학교, 제1, 2 군수지원사령부 예하 부대 등이 유격 훈련을 받으러 온다.
오만곳 유격장 없는 부대가 온다. 본문은 그야 말로 빙산의 일각2008년에 육군사관학교 기간병이 유격훈련 도중 헬기를 타고 이송된 적이 있다. 듣기로는 하반신 마비
- 포병연대 위병소를 나가면 갈비집이 많이 있다. 위병소, 탄약고 근무자들은 냄새만 맡는다....
옛날 이야기가 되었다. 많던 갈비집이 사라지고 폐업or이사가서 몇곳 없다.
- 제71보병사단에 자대배치 받으면 정말 착하게 살아온 사람이다. 포병연대 가면 모든 신들께 감사하다고 말하면 된다.[18]
편의 시설이 보병연대와는 질적으로 다르다.[19][20] 특히 사단본부가 있는 면회 시설에는 방문객 편의를 위해 2층에는 고깃집에, 1층에는 카페테리아가 있어 맥주 치킨을 주문해서 먹을 수 있었다. 무려 BBQ가 존재했다.
- 뒤에 있는 불암산에 불암사를 포함한 큰절이 존재해서 가끔(부처님오신날)사단 연병장이 임시 주차장으로 사용 되기도 한다. 이날 위병소 근무 서는 이들의 운명은...
- 사단에 PX가 한개뿐인데 사단 직할과 연대 3개가 같이 써야 해서, 냉동을 먹는게 헬게이트 수준이다. 2007년도 초까진 황소연대에 PX가 있었으나 무슨 이유인지 폐쇄되고 현재 사단PX만 있다.[21] 연대 바로 옆에 PX가 있었으나 너무 가까이 붙어 있어 수시로 밥을 안 먹는 병사들이 속출하여 없애버렸다고 한다. 2011년즈음 과거 PX가 있던자리를 근처 폐업한 당구장에서 구해온 당구대등을 세팅하여 당구장으로 세팅하기도 했었다. 다만 정리 잘 안 한다고 툭하면 안 열어준게 함정
- 동원사단이지만 상비사단에 못지않게 정말 빡세게 굴리는 곳이다. 연간 행군 목표 키로수도 상비사단과 동일했다.
야 신난다! - 행정병들의 업무량은 실로 엄청나다. 행정병은 5~6명인데 행정 업무량은 대대부터 중대까지 모조리 처리해야 한다.
- 간부들의 무덤과도 같으며, 장기자보다도 단기 복무자들이 유독 많다. 특히 전역을 앞둔 말년 준장들의 무덤이다. 대부분 제71보병사단에서 부임된 사단장들은 어김없이 전역을 했다. 다만 이건 웬만한 동원사단 종특인지라...
될 사람들은 잘 만 된다. 대위부터 영관급들은 거치더라도 잘 만되니 걱정마라.
- 2016년 11월 30일 부로 사단이 해체되면서 12월 전역자들을 제외한 모든 병력들이 제17보병사단, 제56보병사단으로 전출되었으며, 남은 병력들은 제71보병사단 잔류부대[22]로 명명되어 사단 해체 시 발생한 폐기물 제거 등 뒷처리를 하였다. 이후 12월 전역자들이 전역한 후에야 12월 31일에 사단이 완전히 해체되었다.
- 현재 사단 주둔지로 수도방위사령부 예하 모 부대와 같이 살던(도봉구 위치) 제21화생방특수임무대대가 옮겨왔다 . 그런데 부지중 일부가 사드배치로 인해 수용되는 성주 C.C와 교환된다는 소문이 있었으나(특히 인접한 별내신도시 쪽에서) 실제로 교환된 곳은 퇴계원(퇴계원역 동편)에 있는 제2군수지원사령부 예하 부대(16보급대대/현재는 양주로 부대이동/16보급대대 안에 6급양대도 같이 있었으며 좀 더 안으로 들어가면 벽을 두고 옛날 환경대대터가 있었다. 16보급대대에서 환경대대가 부대이동 후 같이 쓰다가 결국 16보급대대도 부대이동을 하였음) 자리이다.
결국 퇴계원은 방긋, 별내는 시무룩[23] 또한 제6군수지원단이 해당 부지에 들어섰다.근데 16보급대대는 2022년에 신도시 개발로 별내로 들어온다고...
- 제71보병사단과 포병연대 때문에 마을이 난개발스럽게 만들어진 감이 없지 않다.
- 2013년 초 사망사건이 일어난 적이 있다. 차량 인도인접간 미처 확인하지 못하여 병사 한명이 군용트럭에 흉부가 짓눌려 사망한 사건이 있었다.
[1] 사단 사령부 후적지에는 제1군수지원사령부 예하 제6군수지원단이 들어왔다.[2] 비슷한 시기에 준장이 지휘관으로 보임되던 훈련단/방위사단이 향토사단으로 승격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51, 52, 55, 56, 57사단 같은 수도권 지역방위사단들은 다 이 과정을 거쳐 생겼으며 30, 33사단은 증편과 함께 상비사단이 되었다.[3] 포병연대 연대본부 병력은 제17보병사단 포병연대 연대본부와 939대대로 옮겨졌다.[4] 직할대의 유일한 보병 전투부대이며 전방사단과는 다르게 수색, 매복작전을 시행하지 않지만, 수도방위사령부 예비사단 수색대대이기 때문에 평상시 훈련 강도가 높다. `2014년도 4월 군번까지는 우선선발을 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무작위로 선발했다.[5] 다른 사단 직할대와 달리 포병연대 안에 위치하고 있다. 인원 수가 적어서 그런지(?) 침상형 생활관이며(2006년 사단 최초 개인침대 내무실로 업그레이드 됨), 건물은 105mm 대대들(및 포병연대) 건물 옆에 위치하나 식사는 밑의 155mm 대대(동원훈련장) 취사장에서 해결하고 있다.[6] 공병대대와 똑같이 사단 본부 안에 있지 않는 직할대이다. 공병대대는 포병연대 안에 위치해 그나마 걸어갈 수 있지, 멀리 외톨이 처럼 있는 전차중대는... 참고로 전차중대는 시간 상으로 당고개역이 화랑대역 보다 가까운 편. (물론 눈 올 때 빼고...) 교통편도 당고개역 가는 버스가 더 많다. (물론 사단이나 포병연대에서는 당고개역 가는 버스가 없기는 하다.)[7] 사단 전체의 보급품을 관리하는 부대이며 평소 훈련강도는 높지 않으나 업무가 인원에 비해 많은편이다.[8] 해체를 앞둔 2016년도에 사단 직할대 막사로 이사를 왔으며 다른 직할대에 비해 인원이 굉장히 적은 부대이다.[9] 전북대학교[10] ~2010.07.08[11] 2010.07.08~[12] 강원대학교[13] 하나회 출신. 전두환, 노태우과 육군사관학교 11기 동기생이다.[14] 이후 소준열은 5.18 민주화운동 진압 과정에서 악명을 떨치게 되고 대장으로 예편했다.[15] 동기가 소장 2차 보직이니 정상적이라면 준장에서 끝날 커리어다.[16] 1995년에 12.12 쿠데타를 단죄할때 이미 사망한 상태라 가담 멤버 중 유일하게 "공소권 없음" 처분을 받아 기소되지 않았다. 그래서 관련자 중에는 거의 유일하게 서울 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17] 선승교회 옆에 2011년 여름에 제57보병사단에서 제57보병사단 창설지라는 비석을 설치한 적이 있다.[18] 하지만 포병연대의 독립된 막사를 사용하는 모 대대같은 경우 24명이서 한 생활관을 사용한다. 숨막힌다.[19] 반대다.166연대 전역자에 의하면 2층에 고깃집,1층에 목욕탕과 BBQ가 있었던 면회장은 포병이 아닌 보병연대와 본부연대가 있던 위병소 안쪽이었으며, 포병연대의 면회장은 포병연대 위병소 를 지나면 바로 보이는 교회 옆에 있었으며,편의 시설이라고는 PX뿐이었다.[20] 다만 여기서 말하는 편의시설은 면회장을 말하는 것이 아닌 병들이 개인정비시간에 이용하는 편의 시설이다. 연대 3개가 각 연대 생활관에서 멀리 떨어진 하나의의 PX를 써야하는 사단본부보다는 연대 하나+대대 하나가 막사 바로 옆에 붙어있는 2개의 PX를 쓰는 포병연대 쪽이 병들이 실제 생활하는 데 있어서는 훨씬 편의성이 좋았다.[21] 반면 포병연대에는 PX가 2개[22] 기업으로 말하면 청산법인, 잔존법인이다.[23] 퇴계원 입장에선 엄청나게 좋은 일이다. 이 부대 때문에 주택 개발이 자연스럽게 잘 안되기도 했다. 그 예로 퇴계원 쌍용예가아파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