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군의 상징 명칭별 부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결전부대 | 공룡부대 | 광개토부대 | 권율부대 |
독수리부대 | 돌풍부대 | 맹호부대 | 백룡부대 | |
백마부대 | 백호부대 | 번개부대 | 봉화부대 | |
북진부대 | 북한산부대 | 불사조부대 | 비룡부대 | |
비봉부대 | 비호부대 | 사자부대 | 상승부대 | |
선봉부대 | 솔개부대 | 승리부대 | 쌍용부대 | |
쌍호부대 | 올림픽부대 | 용마부대 | 용호부대 | |
을지부대 | 이순신부대 | 천둥부대 | 천마부대 | |
철마부대 | 철벽부대 | 청룡부대 | 충경부대 | |
충렬부대 | 충무부대 | 충성부대 | 충용부대 | |
치악산부대 | 태풍부대 | 표범부대 | 필승부대 | |
해룡부대 | 혜산진부대 | 화랑부대 | 화살부대 | |
황금박쥐부대 | 황룡부대 | 황소부대 | 횃불부대 | |
흑룡부대 | 흑표부대 |
부대 명칭 | ||
<rowcolor=#fff> 종류 | 내용 | 예시 |
<colbgcolor=#f5f5f5,#191919><colcolor=#000,#fff> 고유명칭 | 부대 번호, 성격, 규모를 나타내는 편제상의 명칭 | 예) 제0보병사단, 제0기동전단, 제0전투비행단 |
통상명칭 | 부대 규모와 기능, 특성 등의 노출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4자리 숫자 | 예) 육군 제0000 부대 |
상징명칭 | 부대 전통이나 소속감을 부여하기 위해 붙이는 별칭 | 예) 맹호부대, 화성대, 흑룡부대 |
현재 대한민국 국군에 존재하는 부대는 대한민국 국군/편제 문서 참조. |
1. 개요
각 부대의 특성, 단결, 사기진작 등을 목적으로 제정하는 명칭이다. 명사형으로 부여하며, 특별명칭 또는 애칭이라고도 한다. 각군참모총장 및 국방부 직할부대장이 정하되, 임무 및 기능이 특수하거나 중요한 경우, 2개 군 이상의 합동부대, 해외파병부대 등은 국방부장관의 조정 및 승인이 필요하다.2. 유형
- 정신전력
- 자연현상
- 사물
- 동물
- 독수리부대
- 맹호부대
- 백룡부대
- 백마부대
- 백호부대
- 불사조부대
- 비룡부대
- 비봉부대
- 비호부대
- 사자부대
- 솔개부대
- 쌍용부대
- 쌍호부대
- 용마부대
- 용호부대
- 천마부대
- 철마부대
- 청룡부대
- 표범부대
- 해룡부대
- 황금박쥐부대
- 황룡부대
- 황소부대
- 흑룡부대
- 흑표부대
- 공룡부대
- 인물 - 육군훈련소 산하 신병교육연대는 모두 이 유형이다.
- 지명
- 돌림자
- 기타
3. 특징
고유명칭을 사용할 경우 상징명칭을 혼용할 수 있지만, 통상명칭을 사용하는 경우 상징명칭을 혼용할 수 없다.상징명칭은 대민홍보 목적으로 언론 매체 등을 통해 민간에 알려지기도 하는데, 지명도가 높은 유명 부대의 상징명칭인 경우에는 자국을 넘어서서 해외에서도 국제적 인지도를 가지게 되는 경우도 더러 있다. 타국군의 사례이긴 하지만, 미합중국 해군의 제103전투공격비행대대 졸리 로저스(Jolly Rogers)나 미합중국 공군의 제8전투비행단 울프팩(Wolfpack) 같은 경우가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국군의 사례를 들자면 대한민국 육군 제3보병사단 백골부대와 같은 사례가 있다.
3.1.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에서 고유명칭, 통상명칭과 다르게 이쪽은 상대적으로 잘 변동되는 경향이 있다. 가령 제22보병사단은 원래3.2.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군은 군의 규모가 워낙 작기에 상징명칭으로 부르지 않는다. 그냥 작전사, 제1함대, 제2함대, 제3함대 등으로만 부른다.[1] 대한민국 해병대는 일제히 '○룡부대'라고 부른다.3.3. 대한민국 공군
대한민국 육군에서 각 사단, 여단 등에 ○○부대라고 짓는 것과 비슷한 개념으로 대한민국 공군은 거의 ○성대라는 양식으로 지어진 명칭이 있다.[2] 그런데 공군에서 쓰이는 상징명칭은 엄밀히 말해서는 특정 부대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부대가 주둔한 기지를 일컫는다.예를 들어 천성대는 제17전투비행단의 상징명칭으로 알려져 있는데 같은 기지에 주둔한 제6탐색구조비행전대, 제29전술개발훈련비행전대에도 천성대에 있는 부대라는 표현을 써도 문제가 없다. 즉 17비 보다는 청주기지를 부르는 명칭이라고 보는 것이 옳다. 각 공군기지에 세워진 성당의 이름도 상징명칭을 써서 ○성대성당이다. 가장 익숙한 이름은 아무래도 공군교육사령부에 있을 때 한번쯤은 가봤을 비성대성당.
[1] 함대편제의 경우 부대구호가 상징명칭과 비슷하다. 각각 함대마다의 구호는 선봉함대, 필승함대, 상승함대. 다만 어디까지나 부대구호일 뿐이므로 함대 자체 명칭으로 쓰이진 않고, 일반적으로는 고유명칭과 함께 사용한다. (예시: 필승함대 2함대)[2] 대표적으로 광성대. 예외로 공군사관학교는 성무대라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