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09 15:15:49

AH-1Z 바이퍼

파일:f0205060_535864f4419db.jpg
Bell AH-1Z Viper

1. 개요2. 개발3. 특징4. 제원5. 운용
5.1. 미 해병대 감축5.2. 대한민국 해병대의 도입 시도
6. 기타7. 둘러보기

1. 개요


Bell AH-1Z 바이퍼미 해병대에서 주력으로 사용하는 공격 헬리콥터로, AH-1 휴이 코브라 공격헬기 계열 가운데 최신형, 최후기형이다.

2. 개발

1996년 미 해병대는 노후된 UH-1N과 AH-1W를 개량하는 H-1 업그레이드 계획을 추진하였고, Bell사에 기존 AH-1W의 작전행동반경의 증대와 기동성 및 생존성, 화력, 함상 운용성 등을 요구하였으며, 그 요구에 맞춰 완전히 새롭게 개량한 것이 AH-1Z 바이퍼이다. 이후 2000년 12월 9일 초도 비행을 실시하였고, 2003년 10월부터 초도 저율 생산에 돌입했다. 2005년 5월 해상 비행 시험을 완료하였으며, 2005년 10월 15일 미 해병대는 해군 항공 시스템 사령부를 통해 AH-1Z의 납품을 승인하였고, 2006년 개발 시험 평가를 종료하고 2010년 9월부터 본격 양산되기 시작했다.

3. 특징

주요 개량 사항으로는 AH-64D에 장착되는 제너럴 일렉트릭 T700-GE-701C 엔진을 장착하였으며,[1] 메인/테일 로터를 탄소-에폭시 복합섬유를 기반으로 한 4엽 블레이드로 교체하였으며, 로터 허브는 단 2개의 계철로만 제작되어 비행 안정성을 크게 높였다.[2] 애비오닉스의 경우 성능이 크게 개선되었는데, 노드롭 그루만사의 통합 항공전자 시스템[3]을 탑재하였고, 이 시스템에는 임무용 컴퓨터 2대와 자동비행 제어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신형 자동비행 시스템을 도입하여 항공 제어 능력이 향상되었다.[4] 조종석에 8x6인치 MFD LCD 한 쌍과, 4.2x4.2인치 RFD LCD 1기가 탑재되므로 조종석이 글라스 칵핏화 되었다.[5] 록히드 마틴사의 AN/AAQ-30 EO/IR 표적 조준 체계에 포함된 2세대 FLIR 센서가 탑재되어 AH-64D 롱보우 아파치의 TADS/PADS 1세대 광학장비보다 우월한 광학장비로 2배 높은 해상도와 배율을 가지고 최신형 AH-64E 아파치 가디언의 M-TADS/PNVS보다 뛰어난 탐지능력으로 목표 획득 능력이 크게 좋아졌다. 총 200대가 미 해병대에 의해 발주된 상태이다.[6] 엔진과 로터 블레이드가 개량된 만큼 상승력을 포함한 기체 성능도 월등히 올라갔고, 특히 하드포인트가 늘어나 AGM-114 헬파이어 대전차 미사일 16발이나, AIM-9 사이드와인더 공대공 미사일 2발과 ECM, AN/APG-78 밀리파 사격통제 레이더 등을 장착할 수 있다.[7] 그 외의 기술로는 HUMS[8] 기체 모니터링 시스템과 HOCAS[9]가 탑재되어 있다.
파일:1200px-AH-1Z_pilots_with_helmet_mounted_displays.jpg
탈레스사의 탑 아울 HMS/D도 한몫하는데, 주/야간 기능과 40°시야의 양안식 디스플레이를 갖추고 있다. 이 장비 덕분에 생존성 및 목표 조준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헬멧의 중량은 2.6kg인데 AH-1Z 바이퍼의 최대중력한계인 2.8G의 상황에서도 조종사가 무리없이 버틸 수 있는 정도이다. 이 장비는 타이거 같은 공격 헬리콥터는 물론 다목적 UH-1YNH90 헬리콥터에도 채택되었다.

다만 장비가 많아지고 대형화하면서 기존 AH-1W 슈퍼 코브라들보다는 정비 시간이 늘어났다. 그래도 여전히 AH-64 계열보다는 잔고장이 적고 정비하기가 편하다고 한다. 그것이 어느 정도인가 하면 AH-64D 아파치 1기를 점검, 정비할 시간에 AH-1Z 바이퍼 2기를 정비하는 수준이다. 기존의 AH-1W 슈퍼 코브라와 많은 부분이 달라지기는 했으나 기존 AH-1W의 개조로도 조달 가능한 기종인 만큼 부품 공유도 되고, UH-1Y와도 부품이 공유가 된다. 그동안 수십 년을 운용해온 노하우를 통해 개선된 부분, 그리고 거친환경의 해병대 운용조건[10]으로 인해 신뢰성과 정비성을 개발단계부터 신경 썼다고 한다.

4. 제원

Bell AH-1Z Viper
개발사 Bell Helicopter
제조사 Bell Helicopter
초도비행 2000년 12월 8일
생산기간 2000년 ~ 현재
생산댓수 189대 (벨 텍스트론 사의 미 해병대 인도 기준)
배치기간 2010년 9월 30일 ~ 현재
전장 동체: 13.87m
날개 포함: 17.63m
전폭 동체: 0.99m
스텁윙 포함: 3.28m
날개 포함: 14.63m
전고 4.37m
공허중량 5,579kg
탑재중량 2,615kg
최대이륙중량 7,666kg
호버링 최대중량 8,392kg
로터 시스템 메인 로터 4엽, 테일 로터 4엽
엔진 General Electric T700-GE-401C 터보샤프트 엔진 x2기
엔진출력 T700-GE-401C
1,890HP (x2 3,780HP)
순항속력 265km/h
최고속력 296km/h
한계속력 411km/h
전투행동반경 234km[11]
334km[12]
최대작전거리 685km[13]
분당상승률 2,790ft/min (14.2m/s)
실용상승한도 6,400m
항전장비 레이더 AN/APG-78 사격통제 레이더 (스텁윙팁에 장착)
추적장비 AN/AAQ-30 Hawk Eye XR 목표탐지시스템
경보 / 대응장비 AN/AVR-2B(V) 레이저 경보 장치
AN/APR-39(V) 레이더 경보 장치
AN/ALE-47 채프/플레어 사출기[4]
AN/ALQ-212(V) ATIRCM/CMWS[15]
하드포인트 총 6기
무장 고정 A49E-7(V) UTS turret
M197 20mm 3열 기관포 x1기
750발
로켓 LAU-68C/A 7발 런처 or LAU-61D/A 19발 런처
Hydra 70 70mm 무유도 로켓 or APKWS II 유도 로켓 탑재
미사일 AIM-9 사이드와인더
2발 탑재
스팅어
2발 탑재
AGM-114K 헬파이어 II
16발 탑재
승무원 2명 (조종사, 무장관제사)

5. 운용

  • 미 해병대: 총 189기 인도
  • 체코 공군: 총 10기 도입예정. 4기를 구매했으며, 6기는 미국에서 공여. 2023년까지 도입 완료 예정
  • 바레인 왕립 공군: 총 12기 도입예정, 2022년까지 도입 완료 예정.
  • 파키스탄 육군 항공대: 총 15기 도입예정, 현재 9기 운용 중.

5.1. 미 해병대 감축

하지만 2020년 3월, 데이비드 버거 미 해병대 사령관은 해병 소속 전차부대와 해병 소속 AH-1Z 비행대, 해병 소속 CH-53 비행대, 그리고 해병 소속 오스프리 비행대를 감축시킨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AH-1Z 비행대는 7개에서 5개, CH-53 비행대는 8개에서 5개, MV-22 비행대는 17개에서 14개로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미 해병대가 운용하는 전체 AH-1Z 189기 중 27기가 조기 퇴역한다.[16] 2021년 5월 중순, 데이비드 몬산 공군기지 AMARG에서 AH-1Z 27기에 대한 장기 보관 작업이 진행되었다. 미 해병대는 이 27기의 정확한 처분을 아직 결정하지 않았으며 부품 동류전환, 비무장화 후 산림청과 같은 타 기관으로 양도, 동맹국에게 판매하는 방안이 언급되고 있다. #

5.2. 대한민국 해병대의 도입 시도

해병대 공격헬기 사업에 도전하는 AH-1Z 바이퍼 공격전용헬기의 제조공정 등 소개 영상
해병대 상륙공격 헬리콥터 사업은 2000년대 초부터 언급되었으나, 예산 문제로 오랫동안 미뤄졌다. 그러다 2017년부터 본격화되기 시작하였고, 2018년 1월에 대한민국 해병대는 중기 계획으로 공격헬기 대대를 창설할 것이라고 밝혔다. #

지난 2019년 1월 14일 국방기술품질원에서 상륙공격 헬리콥터 사업 비용분석을 입찰 공고했다. 국방기술품질원의 상륙공격 헬리콥터 사업 선행연구에 국내외 업체 5곳이 정보를 제공했으며, 기종 후보로는 Bell의 AH-1Z 바이퍼, Boeing AH-64E 아파치 가디언, TAI T-129, Sikorsky S-70I, KAI 마린온의 무장 탑재형이 제안되었다. 도입 예산은 1조원 내외로 책정될 수도 있다고 하며, 또한 도입 규모는 상륙공격 헬리콥터 24대를 도입할 예정이다. 2021년 창설될 예정인 해병대 항공단은 2개의 상륙기동 헬리콥터 대대와 1개의 상륙공격 헬리콥터 대대로 구성된다. 2019년 10월 15일 경기 화성 해병대사령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 업무보고를 통해 공중돌격엄호와 항공화력지원을 담당할 상륙공격 헬리콥터 도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또한 도입 여부를 결정할 한국국방연구원의 전력소요분석은 오는 12월까지 진행되며, 분석이 완료된 이후 방위사업청에서 국내개발 또는 해외에서 도입할 것인지에 대한 획득 방식을 검토할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상황으로는 외산보다는 국내 개발이 운영과 정비등을 고려하여 비용 대비로 나은편이라던가 선행연구를 통해 국내개발을 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서 마린온 무장형으로 가닥이 났다는 소식이 전해졌으나, 아직 최종적으로는 결정된 바가 없기에 또 어떻게 될일인지는 모른다. 다만 앞서 언급한 것처럼 예산의 영향으로 인해 결정이 한몫 하는것은 사실이기에 이것 또한 두고 볼일이다.

또한 위에 나온 것처럼 미 해병대의 대규모 조직 개편에 따라 퇴역할 바이퍼 27대를 한국 해병대가 구매해오자는 주장도 있다. 그 외에도 대한항공에서 중고 AH-1W를 개량하여 배치하는 방안도 제안되기도 했었다.

이후 무장형 수리온의 선정이 기정사실화되는 듯 여겨졌다. 그런데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후인 2022년 9월, 대한항공 측이 벨 사와 함께 바이퍼와 와일드캣의 라이센스 생산 의사를 방사청에 전달할 것이라고 밝혀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 보도에 따르면, 이미 해당 입장을 2021년 11월 방사청에 이메일로 밝혔지만 유효한 제안으로 인정받지 못했다고 한다.[17]

그러나 2022년 9월 말에서 10월 초경에 정식으로 제안서를 보내와 이제는 그냥 생산 의사 정도가 아니라 정식 라이센스 생산 요청이 되어버렸기 때문에 가격만 맞출 수 있다면 충분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2022년 10월 28일, 마린온 무장형의 상륙공격헬기 개발이 정식으로 방위사업청KAI 사이에 계약 체결되어 대한민국에서 바이퍼를 볼 일은 없어졌다. #

6. 기타

1/35 비율로 아카데미과학에서 프라모델로 만들었다. 다른 회사 상품으로는 조종사, 에칭이 있다. 가성비와 디테일이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는다.

배틀필드 3에서 협동전과 멀티플레이에 나온다.

7. 둘러보기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00518a>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USN
회전익기 CMV-22B, MH-60R/S/H, MH-53E, CH-46R, AH-1(W/Z), UH-1(N/Y)
전투기 <colbgcolor=#00518a> 4세대 / 4.5세대 F-14(A/B/D)R, F/A-18(A/BR, C/D해병), F/A-18E/F
5세대 F-22N, F-35(B해병/C)
6세대 {F/A-XX}
공격기 A-12, AV-8(B/B+)해병
수송기 UC-12, C-26D, 걸프스트림 V, C-40, C-2A, PC-12NG, C-130T
지원기 조기경보기 E-2(C/D), E-6
대잠초계기 P-3C, P-7, P-8A, S-3R, S-2R
정찰기 HC-144해경
공중급유기 KC-130
전자전기 EA-6BR, EA-18G, EP-3
훈련기 프롭 DHC-3, T-34, T-44A, T-6 II
제트 T-45, T-45C, T-2 벅아이, 걸프스트림 G100, T-38A/C, TAV-8B해병
헬리콥터 TH-57, UH-72
가상적기 F-21AR, F-16(A/B), (T)F-16N
다목적기 UC-35D
무인기 MQ-4C, RQ-7, MQ-8B, 스캔이글, RQ-21 블랙잭, {MQ-25}
※ 윗첨자해병: 해병항공대 운용 장비
※ 윗첨자해경: 해안경비대 운용 장비
※ 윗첨자R: 퇴역 항공기
※ 윗첨자M: 개조/개량 항공기
※ 윗첨자U: 업그레이드/업그레이드 예정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항공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현대 체코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7cb9e8> 체코 공화국군 (1993~현재)
Armáda České Republiky
회전익기 <colbgcolor=#7cb9e8> '''
다목적 헬기
'''
UH-1Y 베놈 | W-3A 소쿠우 | Mi-17 · Mi-171Sh | Mi-8PR
공격헬기 AH-1Z 바이퍼 | Mi-24(D/V)R
'''[[전투기|
전투기
]]'''
'''[[3세대 전투기|
3세대
]]'''
MiG-21(MF/MFN)R | MiG-23(MF/ML)R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JAS 39(C/D) 그리펜L | MiG-29(A/UB)R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 라이트닝 II}
공격기 L-159A ALCA | Su-22M4R | Su-25KR | MiG-23BNR
'''[[정찰기|
정찰기
]]'''
전술 L-410FG | An-30FGR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295(M/MW) | L-410UVP(-E) 터보레트 | An-26R | An-24(B/V)R
전술 {C-390 밀레니엄} | An-12BPR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3A 센트리NAEW&CF, {E-7}NAEW&CF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A330 MRTTMMF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RQ-20(A/B) 푸마 | RQ-12 와스프 AE | RQ-11B 레이븐 | 스카이라크 I-LEX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소이카 III/R
'''[[훈련기|
훈련기
]]'''
프롭 Z 43 | Z 142C AF | EV-97 유로스타 | L-200 모라바R
제트 {L-39NG} | L-159(T1/T1+/T2) | L-39(C/ZA) 알바트로스 | L-29 델핀R | MiG-23UMR | MiG-21UMR
헬기 엔스톰 480B-G | Mi-2R
VIP 탑승기 ACJ319-115X | 챌린저 CL601-3AR | Yak-40KR | Tu-154MR | Tu-134A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MMF: NATO MM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현대 바레인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바레인 국방군 (1968~현재)
قوة دفاع البحرين
<colbgcolor=#c81025>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 벨 212, UH-60M, S-92
공격헬기 AH-1E/F, AH-1Z
전투기 4세대 / 4.5세대 F-16C, {F-16V}
수송기 세스나 208, C-130J-30
훈련기 AH-1P, Bo 105, 호크 129, F-5E/F, F-16D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도입 취소 기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UH-1Y도 같은 엔진을 장착하게 되었다.[2] 기존 로터 허브에 비해 단 2개의 계철로만 제작함으로써 베어링, 경첩, 진동 흡수장치를 포함한 부품이 필요 없어짐에 따라 약 75% 감소한 부품으로 구성되어서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게 되었다.[3] integrated avionics system, IAS[4] Automatic Flight Control System, AFCS[5] 특히 MFD LCD의 경우에는 전술 항공 이동지도능력인 TAMMAC이 탑재되어 조종사의 전술상황인지에 큰 도움이 된다.[6] 이중 163기가 신규생산분이고, 나머지 37기는 기존 AH-1W를 개조한 형태이다. 2021년까지 생산할 예정이다.[7] AH-1Z 시험 조종사의 증언에 의하면 AGM-114 16발을 달기에는 AH-64에 비해 엔진이나 동체에 약간의 무리가 있다고 한다. 한마디로 달고 이륙은 할 수 있지만, 상승력을 포함한 기동성이 떨어지고 출력이 버거워진다는 의미다.[8] Health Usage Monitoring System[9] Hands On Collective And Stick[10] 아무래도 해상운용 관련하여 염분이라든지, 모래라든지 정비와 관련된 요소가 많을 수밖에 없고, 기상상황이 안 좋은 날이 많으므로 신뢰성이 중시될 수밖에 없으며, 자주 정비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11] 1,134kg의 무장 탑재시.[12] 291L의 외부 연료 탑재시.[13] AGM-114 8발, 14기의 로켓, 650발의 탄약 탑재시.[4] APR-39B(V)2 레이더 경고 수신기와 AAR-47(V)2 미사일 경고/레이져 탐지 시스템이 조합되어서 미션 컴퓨터에 정보를 제공하고 컴퓨터가 탐지하면 ALE-47 카운터매스 발사 서브시스템을 이용해서 플레어랑 채프를 자동 사출하는 방식. 그러한 이유로 AH-1W까지 장착되었던 AN/ALQ-144A IRCM은 AH-1Z에 없다. 파일럿은 자동과 수동을 설정가능.[15] Advanced Threat Infrared Countermeasures/Common Missile Warning System, 적외선/미사일 경보 장치[16] 애초에 아직 벨사는 미 해병대용 신품 AH-1Z도 생산하고있다.[17] 전혀 다른 담당자에게 그냥 이메일로 보낸데다가, 내용도 "그럴 수도 있다"는 식의 두루뭉술한 표현이었기에 현실성이 없는 그냥 건내는 말 수준으로 판단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