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52 | M52TU |
1. 개요
BMW의 직렬 6기통 가솔린 엔진군2. 상세
- 블록 구조 : 알루미늄 합금, 클로즈드 데크
- 실린더 스페이싱 (mm) : 91
- 밸브트레인 : 체인 구동 DOHC 기통당 4밸브
M52
- 니카실 코팅 주철 라이너
M50엔진 대비 알루미늄 합금 블록으로 경량화에는 성공했으나, 실린더의 코팅이 연료의 황과 반응하여 손상되기도 한다. 휘발유 품질이 열악했던 당시 미국에서 이 엔진과 M60 엔진이 실린더 내벽이 일찍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했고, 북미시장에 한해 M50의 주철블록을 조합하여 생산한 M52엔진이 공급되었다. 한국은 일찍부터 정유공장에서 탈황처리된 저유황 휘발유가 공급됐고, 정부가 전국적으로 석유 품질을 고르게 관리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 큰 걱정 안해도 된다.
환경규제 때문에 출력이 많이 감소했다. 단적으로 흡기 매니폴드만 봐도 전작 M50보다 내경과 용적이 확 줄어들었다.
이때부터 촉매 후단에 산소센서가 추가됐다. 배출가스 등급은 유로 3이다.
M52TU
대폭 설계 변경하여 아에 다른 엔진이 되었다. 니카실 코팅이 황 성분으로 벗겨지는 사안으로 인해 주철 라이너로 회귀시켰다.
우선 기존의 페달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케이블식 스로틀바디에다 보조 스로틀바디를 추가해서 출력제어를 하던 트랙션컨트롤(ASC)을 버리고 하나의 전자 제어 스로틀로 합쳐졌다. 이에 따라 트랙션컨트롤도 ABS와 통합되며 DSC로 업데이트 되었다. 전영역의 토크 개선을 위해 배기캠에도 VANOS를 추가하고, DISA를 채용하였다.
촉매가 배기 매니폴드와 일체화되어 냉간시 빠른 예열이 되도록 하였고 유로 3를 만족하였다. 후속인 M54는 M52TU와 외관상으로나 매커니즘 측면이나 매우 유사하다. 생산기간이 1998~2000년으로 짧지만, 내구성과 효율이 조화를 이룬 가장 이상적인 실키식스라는 평가를 받는다.
3. 형식
형식명 | 사양명 | 배기량 (cc) | 보어 × 스트로크 (mm) | 사양 |
206S3 | B20 | 1,991 | 80 × 66 | |
206S4 | B20 | |||
256S3 | B25 | 2,494 | 84 × 75 | |
256S4 | B25 | |||
286S1 | B28 | 2,793 | 84 × 84 | |
286S2 | B28 |
4. 적용차종
- BMW E36 320i, 323i, 328i
- BMW E46 320i, 323i, 328i
- BMW E38 728i/iL
- BMW E39 520i, 523i, 528i[1]
- BMW Z3 2.0i, 2.8i
5. 둘러보기
<colcolor=#fff>{{{#!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 분류 | 가솔린 | 디젤 |
3기통 | B38 | B37 | |
4기통 | B46 · B48 · N20 N42 · M44 · M43 M40 · M10 | B47 · N47 · M47 · M41 | |
6기통 | B58 · N55 · N54 N52 · M54 · M52 M50 · M30 · M20 | B57 · N57 M57TU2 M57 · M51 · M21 | |
8기통 | N63 · N62 M62 · M60 | M67 | |
10기통 | - | - | |
12기통 | N74 · N73 M73 · M70 | - | |
갈색 글씨 - 단종된 엔진 | |||
[1] M52:1996~1998, M52TU:1998~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