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 문서: DetonatioN FocusMe/리그 오브 레전드/2024 시즌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68a48> | LCP 참가팀 |
'''{{{#!wiki style="color: black;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PSG Talon | GAM Esports |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 CTBC Flying Oyster | |
The Chiefs | DetonatioN FocusMe | Team Whales | Vikings Esports | |
PCS 참가팀 | VCS 참가팀 | LJL 참가팀 |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colbgcolor=#000><colcolor=#2462ff> 데토네이션 포커스미 | ||||
DetonatioN FocusMe | ||||
창단 | 2013년 4월 13일 | |||
소속 리그 | LCP | |||
CEO | 우메자키 노부유키 LGraN | |||
매니저 | Nokuto | |||
감독 | 권노훈 Hoon | |||
코치 | [[한기훈|한기훈 viviD ]] | |||
분석 | [[아오키 하루히코|아오키 하루히코 Gismo ]] | |||
약칭 | DFM | |||
우승 기록 | ||||
LJL (16회, 최다) | 2014 스프링, 2014 서머, 2014 그랜드 파이널, 2015 시즌 1[전승우승], 2015 그랜드 파이널, 2016 스프링[전승우승], 2018 서머,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2021 스프링, 2021 서머, 2022 스프링, 2022 서머, 2023 스프링, 2023 서머 | |||
RR (1회) | 2017 | |||
JCG Premier (4회, 최다) | 2013 시즌 2, 2013 시즌 4, 2014 시즌 3, 2014 그랜드 파이널 | |||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2462ff> TOP | [[시노하라 미나토|시노하라 미나토 RayFarky ]] | ||
JGL | [[문건영|문건영 Steal ]] | |||
MID | [[이가을|이가을 Aria ]] | |||
BOT | [[스기우라 유타|스기우라 유타 Yutapon ]] | [[나카모토 료|나카모토 료 Milan ]] | ||
SPT | [[이지융|이지융 Harp ]] | }}}}}}}}} | ||
팀 컬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colbgcolor=#fff,#191919>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
DetonatioN FocusMe | DetonatioN FocusMe |
[clearfix]
1. 개요
DetonatioN FocusMe |
2. 상세
24번의 LJL 시즌에서 원년 시즌인 2014 LJL 원터 시즌을 제외한 모든 LJL 대회에서 결승에 진출했으며, 무려 23회 결승 진출, 16회 우승으로 전세계 자국 리그 최다 우승 기록을 지닌 명실상부한 일본 LoL e스포츠 최고 명문팀이다.2016년에는 스베누에서 캐치와 비비드를 영입하며 이 둘의 운동선수 비자 취득에 성공했는데, 이는 일본에서 프로게이머가 법률적으로 ‘운동 선수’로서 인정받은 최초의 사례이기도 하다.
2021 MSI에서 C9을 격침시키고 담원까지 꺾을 뻔 하는 등 선전을 보였고, DFM의 프랜차이즈 스타 에비의 호감 있는 모습 등으로 인해 국제 무대의 마이너리그 팀들 중 한국인 팬덤에게 가장 관심을 많이 받는 팀이다. 커뮤니티에서 국제무대에 DFM이 나타났다 하면, 매 커뮤니티에서 DFM을 언급할 만큼 유명팀이 되어가는 중. 보통 국제대항전 느낌이 강한 다른 여타 스포츠팀들은 국적이 일본이라면 한국인들에게는 거의 무조건 거부감이 드는것이 사실인데 DFM은 정반대로 호감을 가지고 응원하는 팬들이 많다는것도 굉장히 이례적이다. 2021 월즈 시점에서 혹자는 LCK 5시드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4][5]
2020년 이전까지는 LJL에서는 이견의 여지가 없는 최강팀이지만 워낙 낙후된 LJL의 선수 풀로 인해 국제대회에서는 유의미한 성과를 내지 못했으나, 2021 MSI에서 LCS 스프링 우승팀 C9을 잡아내는 등 점차 발전의 기미를 보이기 시작한 이래로 결국 2021 월즈에서 LJL 팀 최초로 그룹 스테이지 진출, 그것도 MSI에서 한 번 꺾어본 적이 있는 C9에게 다시 한 번 승리하며 플레이-인 스테이지 조 1위라는 당당한 성적으로 자동 진출에 성공, 세계에 자신들의 이름을 알렸다. 비록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6전 전패하며 조 4위로 탈락했지만 그 와중에도 간간히 매서운 모습을 보이는 등 자신들의 포텐셜을 증명하면서 박수를 받으며 월즈에서 퇴장했다.
3. 주요 기록
우승 기록 | ||||
LJL 2014 Spring 우승 LJL 2014 Summer 우승 LJL 2014 Grand Finals 우승 LJL 2015 Season 1 우승 | ||||
Rascal Jester | → | DetonatioN FocusMe | → | Ozone Rampage |
LJL 2015 Grand Finals 우승 LJL 2016 Spring 우승 | ||||
Ozone Rampage | → | DetonatioN FocusMe | → | Rampage |
2017 Rift Rivals Purple Rift 우승 | ||||
대회 개최 | → | LJL[6] | → | OPL[7] |
LJL 2018 Summer 우승 LJL 2019 Spring 우승 LJL 2019 Summer 우승 LJL 2020 Spring 우승 | ||||
PENTAGRAM | → | DetonatioN FocusMe | → | V3 Esports |
LJL 2021 Spring 우승 LJL 2021 Summer 우승 LJL 2022 Spring 우승 LJL 2022 Summer 우승 LJL 2023 Spring 우승 LJL 2023 Summer 우승 | ||||
V3 Esports | → | DetonatioN FocusMe | → |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
준우승 경력 | ||||
2015 LoL Japan League Season 2 준우승 | ||||
DetonatioN RabbitFive | → | DetonatioN FocusMe | → | Ozone Rampage |
LJL 2016 Summer 준우승 LJL 2017 Spring 준우승 LJL 2017 Summer 준우승 LJL 2018 Spring 준우승 | ||||
Rampage | → | DetonatioN FocusMe | → | Unsold Stuff Gaming |
LJL 2020 Summer 준우승 | ||||
Sengoku Gaming | → | DetonatioN FocusMe | → | V3 Esports |
LJL 2024 Spring 준우승 LJL 2024 Summer 준우승 | ||||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 → | DetonatioN FocusMe | → | 미정 |
4. 역사 및 역대 시즌
DetonatioN FocusMe | DetonatioN FocusMe | DetonatioN FocusMe |
데토네이션 포커스미 | 데토네이션 포커스미 | 데토네이션 포커스미 |
2013 2014 2015 | 2016 2017 |
5. 플레이 스타일
전체적으로 한국 용병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일본리그 기준으로는 강한 초반 라인전과 이를 매우 안정적으로 굴리는 운영 능력을 갖춘 일본 리그 제일의 강팀이다. 캐치 시절에는 LCK식 운영만으로 압살했고 이후에도 데이드림, 쉬림프, 스틸 등 다양한 한국 정글러를 기용해서 갱킹능력을 극대화하는 판을 깔아준 적이 많았다. 2~3팀 말고는 와일드카드 내에서조차 아무도 관심주지 않는 수준이라 평가받는 일본 리그라서 양학에는 아주 최적화된 팀. 그러므로 결승전에 직행이 당연하다고 느껴질 정도이다.하지만 심각한 문제는 언제나 결승에서 발생했다. 기본적으로 SKT - TSM식 라인 컨트롤 기반 운영을 추구하지만 시즌을 결산하는 결승에서 자신들의 개인기량 측면이 리그의 상대적 차이를 감안해도 그만큼 빼어나지는 않은 편이다. 이런 상황에서 라이벌 램페이지-펜타그램이 다소 정석적이지 않은 슈퍼플레이로 흔들면 기존의 시나리오를 벗어났을 때 급격히 대처능력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더 문제는 한타. 국제대회마다 이것만큼은 최하위 수준의 한타능력을 보여주는 램페이지를 한타의 램페이지로 만들어준 팀이 바로 데토네이션이다. 한국 선수들을 쓰지만 다라, 터슬 부럽지 않게 LJL에 말뚝을 박은 비비드라던가 덕력 있는 데이드림 등을 썼는데도 운영단계 콜에 비해 심각하게 한타에서 합이 맞지 않는 느낌이 든다. 그 결과 언젠가부터 정규 시즌 1위를 차지하고도 귀신같이 RPG - PGM에게 우승컵을 넘겨주기 시작했다.
2018 서머 시즌에는 평소와 같이 정규 시즌 1위를 차지하고 결승에 선착해 상대를 기다리고 있었는데, 전통의 라이벌이던 PGM이 USG와의 준결승에서 탈락해버렸다. 처음으로 결승에서 USG를 상대했고, 마침내 5시즌 만에 우승컵을 차지하며 롤드컵 플레이 인 스테이지 진출.
그리고 롤드컵 플레이 인 스테이지에선 위의 혹평이 무색하게, 불리한 구도에서도 라이너들의 기량을 믿고 쫄지 않고 받아치는 등 오히려 교전을 즐기는 듯한 플레이로 카붐을 잡아내고 C9을 몰아붙이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C9이 4강까지 오르며 이들의 분투 또한 재평가를 받았다.
21 롤드컵에서는 마이너리그 중에서는 최상위권의 기본기를 바탕으로 정석적인 운영을 하는 팀으로 평가받고 있다. 다만 스노우볼 굴리는 능력이 다소 미흡하다고도 이야기된다.
6. 멤버
6.1. RayFarky(레이파키, 시노하라 미나토)
자세한 내용은 시노하라 미나토 문서 참고하십시오.
6.2. Steal(스틸, 문건영)
자세한 내용은 문건영 문서 참고하십시오.
6.3. Aria(아리아, 이가을)
자세한 내용은 이가을 문서 참고하십시오.
6.4. Yutapon(유타폰, 스기우라 유타)
자세한 내용은 스기우라 유타 문서 참고하십시오.
6.5. Milan(밀란, 나카모토 료)
자세한 내용은 나카모토 료 문서 참고하십시오.
6.6. Harp(하프, 이지융)
자세한 내용은 이지융 문서 참고하십시오.
7. DFM Academy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c6d7><tablebgcolor=#00c6d7> | PCL 참가팀 |
'''{{{#!wiki style="color: #1a2745 ;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파일:Deep_Cross_Gaminglogo_squarewhite.png | |||||
CFO Academy | Impunity Alternative | FAK Academy | Chienhsin Bear | DCG Academy | ||
PSG Academy | Hungkuang Falcon | WPE Academy | TNU Eagle | AXC Academy | ||
DFM Academy | BCT Academy | V3 Academy | ||||
PCS 참가팀 |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colbgcolor=#000><colcolor=#2462ff> 데토네이션 포커스미 아카데미 | ||||
DetonatioN FocusMe Academy | ||||
창단 | 2021년 8월 28일 | |||
소속 리그 | PCL | |||
감독 | 우라타 히로 Tobi | |||
약칭 | DFMA | |||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2462ff> TOP | 토비타 소라 Momo | ||
JGL | 세라 료스케 Ham | |||
MID | yuji | Ligen | ||
BOT | 루 윈하이 Deant | |||
SPT | 호소카와 마사무네 kurahuto | }}}}}}}}} | ||
팀 컬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2021년 8월 28일, 새로 출범한 LJL Academy League를 위해 DetonatioN FocusMe 산하에 창설된 팀이다.
8. 전 멤버
- 강경민(Daydream/JGL): SCARZ로 이적.
- 이병훈(Shrimp/JGL): Team Dignitas로 이적.
- 사사키 시로(Paz/TOP): PENTAGRAM으로 이적.
- 한기훈(Vivid/SPT): V3 Esports로 이적.
- 나카무라 카이(Nesuty/JGL): 2020년 12월 7일 계약 종료. 이후 아카데미 멤버로 복귀.
- 아이노 후미야(Ino/TOP): 2020년 12월 23일 계약 종료. AXIZ로 이적.
- 스즈키 카즈타(Kazu/SPT): 2021 서머 시즌 중 현역 은퇴 후 코치로 전향.
- 오자와 오사무(Ramune/MID):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으로 이적
- 양광우(Gaeng/SPT): 2022년 1월 13일 현역 은퇴 후 코치로 전향.
- 요시다 쿄헤이(Ceros/MID): 2022년 2월 6일 현역 은퇴 후 코치로 전향.
- 이찬주(Yaharong/MID): 2022년 11월 26일 계약 종료.
- 무라세 슌스케(Evi/TOP): Team Heretics로 이적.
- 시바타 하루키(tol2/TOP): Burning Core Toyama로 이적.
- 오다기리 료(apaMEN/TOP): 2024년 1월 18일 현역 은퇴 후 코치로 전향.
8.1. Pink Bean(핑크 빈, 카토 케이야)
서브 원딜이다. 한경기도 출전하지 않았다.
9. 논란 및 사건사고
9.1. tol2 폭언 사건
자세한 내용은 시바타 하루키 문서 참고하십시오.2023년 8월 16일, LJL 사무국 측은 조사 결과 및 징계를 발표했는데, 톨투를 포함한 코칭스태프 2명(가해자인 카즈와 세로스로 추정) 및 매니저를 포함한 DFM의 구성원 11명과 청문회를 가졌고 그 결과 괴롭힘에 대한 혐의를 확인, 데토네이션 측의 조치 역시 미흡했음을 밝혔다.
징계 결과 | 스즈키 카즈타(前 감독), 요시다 쿄헤이(前 코치)[8] | 2023년 8월 16일부터[9] 2024년 2월 16일까지 6개월간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와 관련된 모든 활동 금지 |
우메자키 노부유키(DFM CEO)[10] | 괴롭힘 방지 교육을 제3자에게 받은 뒤 4개월 안으로 LJL 사무국에 증빙자료 제출 | |
DetonatioN FocusMe | 괴롭힘 행위 사건 발생 및 방지 실패에 대한 벌금 200만엔 로스터 규정 위반[11] 벌금 150만엔 | |
피해자 | 시바타 하루키 | 대리인과 협상을 통해 2023년 8월 15일부로 DFM과 계약 종료 |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d1b30><tablebgcolor=#ed1b30> |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역대 우승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4 윈터 | 2014 스프링 | 2014 서머 | 2014 그랜드 파이널 |
Rascal Jester ★ | DetonatioN FocusMe ★ ★ ★ | |||
2015 시즌 1 | 2015 시즌 2 | 2015 그랜드 파이널 | 2016 스프링 | |
DetonatioN FocusMe ★ ★ ★ ★ | Ozone Rampage ★ | DetonatioN FocusMe ★ ★ ★ ★ ★ ★ | ||
2016 서머 | 2017 스프링 | 2017 서머 | 2018 스프링 | |
Rampage ★ ★ ★ ★ | PENTAGRAM ★ ★ ★ ★ ★ | |||
2018 서머 | 2019 스프링 | 2019 서머 | 2020 스프링 | |
DetonatioN FocusMe ★ ★ ★ ★ ★ ★ ★ ★ ★ ★ | ||||
2020 서머 | 2021 스프링 | 2021 서머 | 2022 스프링 | |
V3 Esports ★ | DetonatioN FocusMe ★ ★ ★ ★ ★ ★ ★ ★ ★ ★ ★ ★ ★ | |||
2022 서머 | 2023 스프링 | 2023 서머 | 2024 스프링 | |
DetonatioN FocusMe ★ ★ ★ ★ ★ ★ ★ ★ ★ ★ ★ ★ ★ ★ ★ ★ |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 | |||
2024 서머 | 2025 스프링 | 2025 서머 | 2026 스프링 | |
[전승우승] [전승우승] [3] DetonatioN Gaming의 다른 종목 팀들은 DetonatioN Gaming이라는 팀명을 그대로 썼지만 롤팀만 유일하게 고유의 팀명을 사용했다. 이는 2팀이였던 DetonatioN Rising(現 Burning Core)도 마찬가지였다. 모기업이 DetonatioN 주식회사인지라 국내의 기사들을 찾아보면 데토네이션FM이라는 표기를 더 많이 찾을 수 있다. 2022년 12월 DetonatioN Gaming이라는 팀명을 롤팀을 따라 바꾸게 되면서 하위 팀이 상위 팀의 팀명을 바꾸게 되었다.[4] 여기에는 여러 배경이 겹치게 되는데, 우선 일본팀이지만 한국인만 3명이 뛰고 있고, 선수 개개인으로나 팀적으로나 구설수가 거의 없는 팀이고, 에비, 유타폰, 세로스같은 일본선수들도 꾸준히 국제대회에 나와서 자신의 입지를 쌓았고, 일본은 리그오브레전드 내에서 언더독의 위치를 가진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응원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는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5] 그러나 무엇보다도 가장 큰 배경이라면 E스포츠 자체가 다른 스포츠와는 다르게 세계화가 되었다는 점이다. 적어도 한국인들에게는 반일감정 이상으로 반중감정이 심하지만 한국인들이 LPL을 챙겨보고 일부팀을 응원하는 팬들에 대해서 이상하게 보는 시선은 없고, 다른 메이저 지역인 유럽, 북미팀을 응원하는 팬덤도 점차 늘어나고 밈까지 만들어지는 현상을 당연시하게 생각하는걸 보면..[6] DetonatioN FocusMe, Rampage, Unsold Stuff Gaming[7] Dire Wolves, Chiefs Esports Club, Legacy Esports[8] LJL 사무국의 징계와 별개로 2023년 7월 7일에 팀 자체 징계로 계약 해지.[9] 징계 발표 당일 기준.[10] LJL 사무국의 징계와 별개로 팀 자체 징계로 1년 연봉 50% 삭감.[11] 2023년 6월 24일 오후 5시 이후 로스터 변경 및 서브 멤버 미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