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23:25:37

허기 워기

Huggy Wuggy에서 넘어옴
파일:허기원.png
허기 워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Poppy_Playtime_Logo.png
파피 플레이타임의 챕터별 보스
(스포일러 주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373a3c> CHAPTER 1: A TIGHT SQUEEZE CHAPTER 2: FLY IN A WEB CHATER 3: DEEP SLEEP
허기 워기 마미 롱 레그 캣냅
<rowcolor=#373a3c> CHAPTER 4: SAFE HAVEN CHAPTER 5: ???
도이 더 도우맨 미정
챕터별 중간 보스 일람
}}}}}}}}}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프로토타입 흰색.png프로토타입의 사도
목록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수장급 사도
허기 워기 마미 롱 레그 캣냅 박시 부 박사
휘하 부하들
- 번조 버니 딜라이트 선생님 - 야나비
작은 허기들 양산형 동물들: 웃는 동물들 피아노사우루스
PJ 퍼그 어 필러 양산형 동물들: 나이트메어 크리터즈
}}}}}}}}} ||
<colcolor=#F6DC82><colbgcolor=#58a0dc> 허기 워기
Huggy Wuggy

파일:허기 워기 전신.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실험체로 변이된 모습 (공포 주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허기 워기 전신 2.png

}}}}}}}}}
별칭 실험체 1170
Experiment 1170
번호 1170 (No.1170)[1]
제조일 1984년 (장난감)
1990년 (실험체)
제조사 플레이타임 사
종족 장난감 (前 인간)
소속 프로토타입의 사도
성우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재커리 프레시아도 (챕터 1 ~ 챕터 2)[2]
마이카 프레시아도 (챕터 3)[3]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황창영[4]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불명
등장 챕터 챕터 1 (메인 빌런, 추격자)
챕터 2 (흔적)
외전 (플레이어블, 추격자)
챕터 3 (환각, 비디오 테이프)
챕터 4 (히든 보스, 에필로그)
챕터 5 (추격자)
테마곡 Huggy Wuggy
Oh, Hey Huggy!(오, 안녕 허기!)[5]
No More Hugs(포옹은 더 이상 없다)[6]
Complexus(컴플렉스)[7]
Happy Room(행복한 방)[8]

1. 개요2. 특징3. 작중 행적
3.1. 챕터 13.2. 챕터 23.3. 챕터 33.4. 챕터 43.5. PROJECT: PLAYTIME
4. 목적5. 평가6. 대사
6.1. 챕터 26.2. 챕터 3, 챕터 4
7. 기타
7.1. 작품 내7.2. 작품 외7.3. 밈화 및 2차 창작

[clearfix]

1. 개요

His name is Huggy, Huggy Wuggy♪
그의 이름은 허기, 허기 워기♪

When he hugs you he'll never stop♪
너를 껴안으면 멈추지 않을 거야♪

(Laugh)
흐흐허허허~[9]

Your friend Huggy, Huggy Wuggy♪
너의 친구 허기, 허기 워기♪

He'll squeeze you until you pop!♪
너를 빵 터질 때까지 쥐어짜 줄 거야![10]
― 허기 워기의 소개 문구 밑의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주제가#
게임 파피 플레이타임의 등장인물로, 챕터 1의 메인 빌런이자 최종 보스.

2. 특징


파일:허기원.png
파일:허기 워기 포스터.png
공식 아트워크 공식 포스터[11]
허기 워기 (1984) - [12]
플레이타임 사는 수백 개의 독특한 장난감을 디자인했지만, 허기 워기만큼 사람들과 어울린 것은 없었습니다. 우리의 설립자인 엘리엇 루드윅은 여러분을 영원히 안아줄 수 있는 장난감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언제나 사실인 것처럼, 플레이타임 사의 '가장 진짜 같은 장난감을 만드는 4단계 과정'은 성공적이었습니다!

허기 워기 구조물 앞에 있는 소개 문구
1984년 플레이타임 사에서 출시된 장난감 인형으로, 모티브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인지도도 높으며 바리에이션도 다양한 손바닥에 벨크가 붙은 인형.[13] 쿠키 몬스터 혹은 그로버를 떠올리게 하는 푸른 털로 뒤덮인 몸에 키가 18ft/5.5m나 될 정도로 굉장한 장신이고[14] 팔다리가 길며 움직일 때 몸이 흐느적거린다. 이는 모든 허기워기의 파생형들의 특징이다.

파피 플레이타임 게임의 마스코트 캐릭터이다. 작중 플레이타임 사와 현실 파피 플레이타임 공식 굿즈 샵에서도 가장 잘 팔리는 장난감으로, 챕터 1에서 등장하는 허기 워기는 인형을 바탕으로 만든 조형물[15]이며, 공장 로비 홀에 전시되어 있었다.

3. 작중 행적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3.1. 챕터 1

초반에는 공장 로비 홀에 인사하는 듯한 자세로 미소 지으며 서있지만 배전실 작업을 끝낸 후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제대로 모습을 드러내기 전에도 플레이어들에게 인상을 남긴다. 허기 워기와 처음 만나는 홀에서 주인공이 전기가 나가 기계문이 열리지 않아 길이 막혀 고전하는데, 처음 봤을 때는 간판을 제외하고 아무것도 들고 있지 않던 허기 워기의 손에 짤그랑거리는 소리와 함께 이걸 찾냐는 듯이 손에 배전실 열쇠가 들려져 있다.

또한 처음 들어갈 때 잘 보면 허기 워기가 플레이어를 바라보고 있다가 플레이어가 본격적으로 룸에 들어가면 슬쩍 하늘을 보고 있다. 게다가 진행 중 자세히 보면 크레인이 있는 방의 입구 문에서 허기 워기가 팔만 내밀고 있다가 주인공이 다가가면 스르륵 들어가고, 크레인을 조작하는 퓨즈를 다 모은 뒤 패널에 도달하기 전 2층의 저편 환풍구에서 머리만 내민 채 주인공을 지켜보다 크레인 패널에 도착하면 문을 닫고 숨는다.[16] 그리고 완전자동으로 장난감을 만들어내는 장치, '너만의 친구 만들기'라는 기계의 퍼즐[17]을 푸는 데 성공하면 닫혀있던 문이 열리며, 아까 크레인 방으로 갔을 때 지나갔던 홀로 이어지는 복도가 나타난다.

하지만 아까와는 달리 어두컴컴한 통로로 진입하려는 순간...

파일:Poppy_Playtime_Logo.png
파피 플레이타임의 챕터별 보스
(스포일러 주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373a3c> CHAPTER 1: A TIGHT SQUEEZE CHAPTER 2: FLY IN A WEB CHATER 3: DEEP SLEEP
허기 워기 마미 롱 레그 캣냅
<rowcolor=#373a3c> CHAPTER 4: SAFE HAVEN CHAPTER 5: ???
도이 더 도우맨 미정
챕터별 중간 보스 일람
}}}}}}}}} ||
[ 클릭 시 주의 ] 추격전 시 모습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허기워기3.png
팔이 양옆으로 잡는 형태인 이유는 컨베이어 벨트 통로 안에서 추격전을 하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
느닷없이 앞길을 막아서며 나타나 플레이어를 비척거리는 걸음걸이로 추격해온다. 이전의 친근한 모습과 달리 입을 벌리며 안에 수많은 날카로운 이빨이 돋고 침이 늘어난 모습으로 변한다. 자세히 보면 입 안에 또 다른 입이 있다. 확대된 동공, 길고 유연한 팔과 다리로 기괴함을 드러낸다. 천천히 플레이어를 쫓아가며 압박하고 플레이어는 사이렌이 울리는 장난감 운송용 벤트로 들어가게 되지만, 처음의 느릿느릿한 모습과는 다르게 비좁은 벤트를 따라 몸을 비틀며 빠른 속도로 추격해온다.[18]
[ 클릭 시 주의 ] 데드씬 GIF 이미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nopad>파일:추격전 with huggy.gif}}}}}}}}}
게임 구조상 운송용 벤트에 들어간 직후 문이 닫히기 때문에 얼마 동안은 안전하다. 중간에 철창 건너편에서 허기 워기가 급하게 다가오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연출이다.[19] 직후 오르막길을 오르면 느닷없이 반대편에서 허기 워기가 등장하고, 허기 워기랑 추격전이 시작되는 건 이때부터다. 수그려서 가야 하는 구간 직후도 오지 못해 안전하다. 그래도 모습을 직접 보지 않아도 벤트 벽을 두드리며 빠른 속도로 추격해오는 소리만으로 플레이어를 압박해 생각이 필요한 부분에서[20] 플레이어의 판단력을 흐리게 한다. 허기 워기에게 붙잡히면 플레이어를 안은 채로 이빨을 드러내며 포식하듯 머리를 박는다.
[ 클릭 시 주의 ] 추락하는 허기 워기 GIF 이미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nopad>파일:허기워기 데드신.gif}}}}}}}}}
어찌저찌 벤트를 나오면 닫힌 벤트 문을 열기 위해 문을 두드리며 부수려고 하는데, 완전히 부술 때까지 방치하면 그대로 주인공에게 달려들어 게임 오버가 되기에 위쪽에 있는 큰 나무 상자[21][22]를 그랩팩으로 붙잡아서 떨어뜨려야 한다. 상자를 떨어뜨리는데 성공하면 타이밍 좋게 문을 부수고 나온 허기 워기에게 나무 상자가 직격으로 떨어지고, 주인공과 허기 워기가 서 있는 다리가 무너지면서 같이 추락하는데 주인공은 안정적으로 아래 발판에 착지한 반면 허기 워기는 나무 상자에 맞고 난간에 부딪혀 그대로 떨어져, 끝이 보이지 않는 공장바닥으로 추락한다. 이때 허기 워기가 떨어지면서 파이프, 난간 울타리, 철골 순으로 머리를 연속으로 세 번 정도 부딪히는데, 자세히 보면 허기 워기가 떨어질 때 부딪힌 곳에 피가 묻어있다. 이로서 허기 워기가 보통 장난감이 아닌, 모종의 방법으로 창조 또는 개조된 생명체임이 드러나는 순간이다.

3.2. 챕터 2

챕터2 트레일러 영상에서 마미 롱 레그가 허기워기 인형을 집어간다. 하지만 이때 허기워기 인형이 바닥에 널부러져 있는 자세가 어디서 떨어진 듯한 자세이기에 이 인형은 챕터1에서 주인공이 떨어트린 허기 워기이며 마미 롱 레그가 이를 살리거나 먹으려는 것을 암시한다는 추측이 있다.[23] 하지만 트레일러에서 나온 허기워기는 마미 롱 레그가 한 손에 몸통을 쥘 정도로 작은 크기였다. 처음에는 이를 보고 마미가 엄청나게 거대한 크기가 아니냐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본편에 나온 마미는 팔 다리가 길뿐, 실질적인 체구는 허기워기와 엇비슷하다.

어떻게든 재등장하리라는 추측이 무색하게 패널이나 아트워크, 완구, 목소리로만 간접 출현한다. 대신 작은 허기워기들과 짝인 키시 미시가 등장한다. 그러나 챕터 2 장난감들이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가 있는 곳 벽에 여기저기에서 푸른 털과 그 주변의 핏자국들이 많이 보이기 때문에 허기 워기가 워터 트리트먼트에 떨어져 살았다는 가설이 있다.

이후 녹음 테이프에 따르면, 허기 워기는 실험체 '1-1-7-0'으로 불렸으나, 충분한 지능과 순종적인 성격을 갖고 있었다고 한다. 이 정보는 챕터 1에서 은근히 플레이어를 가지고 놀았던 행적과 일치하나 순종적인 성격이라는 것을 보면 누군가의 지시나 개입이 있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참고로 챕터 2에도 허기 워기가 등장은 하는데 플레이어가 볼 수 없는 곳에서 더미로 남아 있다.

3.3. 챕터 3

2022년 8월 7일에 올라온 트레일러에서 바닥에 널브러져 있는 모습이 나온다. 마미 롱 레그와 브론이 절단되어 있는 모습으로 나오지만, 정작 본인만은 훼손이 되지 않았다. 아마 허기는 추락, 브론과 마미는 절단된 것을 의미하는 듯.

2023년 1월 23일 올라온 영상에서 1992년 6월 18일 시설을 탈출하였다가 실패한 것을 볼 수 있다. 허기 워기의 탈출은 실패했지만 이 과정에서 플레이타임 직원 11명(5명 사망, 6명 실종)이 허기 워기가 도주한 곳을 수색하던 중 희생당했다고 한다. 이후 게임 플레이 트레일러 영상에서 비디오 테이프 속에 입이 찢어지고 눈이 파인채 웃고있는 허기 워기의 모습이 나와 재등장을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 클릭 시 주의 ] 붉은 연기의 악몽 속 허기 워기의 모습[2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NightmareHuggyTEMPORARY.png
}}}
TV에서 나오는 모습 + 추격전 영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nopad>}}}}}}}}}
If he came back after several years... it would be because he couldn't overcome his conscience.
You will sink into darkness and dust.
All that awaits is an incomprehensible horror, eager for your return and desperate to find you. It might smile from the shadows... it'll reveal flesh, plastic, and teeth and watch to greet you warmly.
They may not even give you time to figure out your situation in the world that you left behind and is now theirs...
Welcome home.
만약 수 년이 지난 후에 돌아온다면... 도저히 양심의 가책을 이기지 못한 탓이겠죠.
당신은 어둠과 먼지 속으로 빠져들 것입니다.
기다리고 있는 건, 오직 이해할 수 없는 공포 뿐이며, 당신이 돌아오길 고대하고 찾아내려 안달이 나있을 겁니다. 그림자 속에서 미소를 지을 지도요... 살점과 플라스틱, 빼곡한 이빨을 드러내고 당신을 따스히 맞이하기 위해 가만히 지켜볼 겁니다.
당신이 떠나고 이젠 그들의 것이 된 세상에서 당신의 처지를 파악할 시간조차 주지 않을 지도요...
집에 온 걸 환영합니다.
일명 '할루시네이션 허기 워기(The Hallucination Huggy Wuggy)', 또는 나이트메어 허기워기(Nightmare Huggy Wuggy). 본편에서의 허기워기는 캣냅의 붉은 가스에 의한 환각으로 진짜 허기 워기는 아니다.[25] 비디오를 재생하면 영상이 끝날 즈음 TV에서 천천히 튀어나와 주인공을 공격한다. 참고로 이때는 허기 워기에게서 도망치는 것이 아예 불가능하며[26], 잡혀서 점프 스케어를 봐야만 스토리가 계속 진행된다.

중간에 키시 미시와 파피를 다시 만났을 때 파피가 주인공의 활약을 언급하면서 죽은 인물 중 하나에 포함되었으나, 마미 롱 레그와는 달리 계속해서 주인공의 악몽과 환각 속에서 나타난다.[27] 최후반부에는 파피가 진실을 알려주겠다며 틀어준 기쁨의 시간이란 이름의 비디오에서 재등장한다. 다른 장난감들과 같이 직원들을 학살하는데[28], 그 역시 마미 롱 레그, 캣냅과 같이 프로토타입을 따르는 사도라고 한다.

3.4. 챕터 4

2024년 4월, 챕터 4와 관련된 모브 엔터테인먼트 회장 잭과 세스의 인터뷰가 공개되었다. 그들은 팬들이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가 돌아올 것이라고 언급했으며, 이를 통해 챕터 4에 재등장하게 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으며, 차후 트레일러에 공개가 될 것 같다. 하지만 강력한 후보는 야나비이며, 상술한 말은 페이크라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밝혀진 정보에 따르면 허기워기는 모든 챕터에 등장한다고 한다.
[ 클릭 시 주의 ] 최후반부에서 등장하는 허기 워기의 모습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허기 워기 4편.png
}}}
레이스 피에르: 안녕하세요. 전 레이스 피에르입니다. 플레이타임 사의 혁신 팀을 이끌고 있죠.
이걸 보고 계시다면 길을 완전히 잃은 모양이군요. 뭐, 안심하세요. 바로 앞쪽에 최첨단 연구실이 있습니다.
들어가서 우리 과학자들의 어깨라도 톡톡 쳐보세요. 길을 잃었다고 하면, 기꺼이 도와줄 겁니다.
(웃음)그래요, 농담입니다. 솔직히 말하죠. 여기 계시면 안됩니다.
이 공장에서 가장 경비가 삼엄하고 높은 출입 권한이 필요한 구역이거든요.
여기 있다가 발각되면 사살됩니다.
혹시나 해서 하는 말인데, 몰래 빠져나갈 수도 없습니다.
네, 이 테이프를 넣는 순간 경보가 울렸거든요.
공장에 누가 있다면, 당신 위치를 알 겁니다.
멋지죠? 보안은 중요하니까요.
제가 당신이라면, 뛰겠습니다.
프로토타입에 의해 지하로 추락했던 주인공이 양귀비 재배 시설에 도달하자 레이스 피에르의 기록 녹화 비디오로 가장한 보안 시스템으로 인해 경보가 울리면서[29] 키시가 다가오는 듯했지만... 곧 키시로 보이던 실루엣은 괴성을 지르며 주인공에게 달려들고 문의 작은 창 밖으로 3년 만에 재등장한 허기 워기가 주인공을 향해 포효하며 챕터 4의 대미를 장식한다.[30] 챕터 2와 3에서 키시미시가 그랬듯 일종의 트릭으로, 처음에는 핑크색 조명 때문에 키시 미시의 모습으로 보였다가 곧 허기 워기로 밝혀지는데[31] 챕터 3의 환각과 달리 확실히 챕터 1의 개체와 같은 모습으로 몸 곳곳이 찢어져 있고 대충 응급처치를 한 듯한 부위도 있으며 절단된 왼팔도 자신의 넥타이로 지혈하기 위해 묶어놨다.#[32]

자신을 이 꼴로 만든 주인공이 원망스러운지아니 지가 먼저 위협해놓고 챕터 1의 데드씬보다 울음소리가 더 길어지고 커졌다.[33][34] 다만 해당 연구실의 입구는 만능 손이 없다면 열 수 없기 때문에 당장 허기 워기가 주인공을 해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문제는 달리 나갈 길도 없는데다가 딱 하나 있는 길은 바로 허기 워기가 앞에서 열 받은 상태로 날뛰고 있어서 나갈려면 어쩔 수 없이 허기가 있는 방향으로 가야한다는 것. 그나마 희망이 키시 미시가 구하려 올 수 있다는 점이다.

3.5. PROJECT: PLAYTIME

박시 부(Boxy Boo), 마미 롱 레그와 함께 플레이어블 장난감으로 등장했다. 스킬은 총 2가지로, 돌진과 미니 허기 설치이다.
  • 돌진은 짧은 거리를 빠르게 이동하는데, 생존자가 이에 맞았을 경우 한번에 생존자를 다운 상태로 만드는 준 즉사기이다. 능숙한 실력자가 사용하면 이론상 핵으로 의심받는 수준의 킬 횟수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돌진 이동기로도 쓸 수 있다. 잘 쓰면 매우 좋고, 못 써도 중간은 가는 스킬.
  • Mini Huggies를 설치해 생존자가 지나가면 알려주는 탐지기로 쓸 수 있다. 소리를 지르고 팔을 흔들며, 허기 워기에게도 직접적인 위치를 좌표로 나타내준다. 잘 쓰면 정보전에서 큰 도움이 된다.

장점은 킬 결정력이 뛰어나다는 것과 운영하기 쉽다는 것이다. 상술한 돌진 스킬은 즉사 스킬로 쓸 수 있고, 도주하는 플레이어와의 거리를 조금 좁히는 데에도 쓸 수 있다. 또한 작은 허기들을 통해 정보전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고 경로를 간접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허기 워기의 스킬셋이 박시 부랑 마미 롱 레그에 비해선 난이도가 낮아서 입문용으로는 제일 좋은 편이다.

하지만 이동기가 돌진 스틸 빼곤 사실상 전무하기 때문에 기동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나마 있는 돌진도 낮은 기동성을 보완하기에는 부족하다. 이 때문에 상위권에서는 쉽게 간파당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며, 고수나 고인물등 사이에선 현재까지 있는 모든 장난감들 중 제일 성능이 떨어진다고 평가받는다.

4. 목적

챕터 1의 메인 빌런이지만, 행적을 봤을 때 단순히 주인공을 적대하고 잡아먹는 게 목표인 괴물이라고는 보기 힘들고 언어 구사가 불가능해서 온갖 추측이 떠돌았다.[35] 다만 챕터3 기준 허기가 처한 상황이나 공장의 비극에 대해 대다수의 설정이 공개됐기에 허기가 무엇 때문에 주인공을 살려뒀는지[36] 추측하기보다 결론을 내기 쉬워졌다.

허기는 주인공을 잡아먹기 전에 단순히 주인공을 가지고 놀려했던 것이다. 허기는 일부러 플레이어에게 도움을 주거나 플레이어를 방해한다. 오른쪽 팔 그랩 팩을 꺼내는 장치의 배터리를 하나 빼고 다 숨겨놓고 주인공이 배터리를 겨우 다 찾아 다시 장치 조종대에 오면 기다렸다는 듯이 앞쪽 컨베이어 문으로 머리를 내밀어 주인공을 쳐다보곤 다시 문으로 들어가며 쾅 하는 문이 닫히는 소리와 함께 사라져 주인공을 놀래킨다.[37]

나중에 메이크 어 프렌드에선 주인공이 전기 수리를 마치고 캣비 인형을 만든 다음 스캔하고 문을 열고 복도로 달려가면 허기는 다 알고 있었다는 듯 나타나며 바로 뛰어서 잡아 먹어도 되지만 주인공에게 일부러 시간을 주는 듯 느릿느릿 걸어서 쫓아오고, 주인공에게 도망 갈 길을 열어주는 듯 컨베이어 문이 열리며, 그곳으로 도망치는 주인공을 허기는 별 일 아니라는 듯[38] 어느새 반대편으로 넘어와서 주인공을 추격한다.[39] 그리고 막힌 곳에서 주인공이 안절부절 하는 틈을 타 잡아먹으려 했지만 주인공이 끌어내린 상자에 깔려 밑으로 추락한다.

종합하자면 허기는 고아로서 실험을 당해 강제로 장난감이 됐고, 공장 직원들에 대한 증오심을 품고 몇 번이나 탈출을 시도하였다가 실패하였고 기쁨의 시간 때 대학살을 저지르고 그대로 공장에 갇혀 지냈다. 그러다 주인공이 실종된 공장 직원들을 찾아 공장에 들어온 걸 목격했고 계속 지켜보며 유인하다 역으로 주인공에게 당한 걸로 보인다.[40]

5. 평가

파피 플레이타임에서 가장 흠은 적게, 포스는 잘 보여준 빌런으로 평가받으며 더 나아가 파피 플레이타임의 인지도를 세계적으로 넓히고, 1편 이후로 수많은 캐릭터들이 새롭게 등장했음에도 독보적인 인기를 유지하고 있는 시리즈 전체의 마스코트다. 오죽하면 미국에서는 마스코트 호러의 시초인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의 간판 캐릭터, 프레디와 맞먹거나 그 이상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뉴욕 타임즈에 의하면 유아, 청소년, 성인층 전부에서 수요가 막강하며 영향력은 이미 전 세계적이고, 뉴욕 어디를 돌아다녀도 허기 워기 인형이 보이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한다. #[41] 주요 수요층은 놀랍게도 4 ~ 9세의 어린이들이라고 하는데, 이 때문에 공포스럽게 생긴 캐릭터가 왜 이렇게 아이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끄는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 적도 있었다. #

나름 단순하게 생긴 외형[42]에 게임 내내 특별한 대사도 딱히 없지만, 특유의 기괴하고 긴장을 놓을 수 없는 공포감을 조성하는 데 탁월했던 최종 보스라는 평가가 많다. 특유의 기괴한 비주얼 때문에 단순히 시각적인 공포감만을 만들어낸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추격전 시 환풍구와 컨베이너 벨트를 뛰어오는 긴박한 발소리로 청각적인 공포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였고 외딴 곳에서 정체를 알 수 없는 존재에게 위협을 받는다는 설정으로 서사적인 공포감까지 확실하게 사용한 최종보스이다. 서브 빌런과 조력자, 설정, 설명, 스토리가 늘어난 2 이후와 달리 챕터 1은 스산한 공장에서 거의 허기만 나온데다 아무 의사소통도 없었고 카드보드도 아직 없었기에 더욱 인상을 몰아줄 수 있었다.

추격전 시, 그동안 보여준 귀여운 모습과 완전히 상반되어 수많은 이빨들을 드러낸 기괴한 생김새도 인상적이지만, 넓은 곳에선 긴 팔다리를 휘적이며 느릿느릿 움직이다가 비좁은 환풍구에서 온몸을 구겨가며 무시무시한 속도로 쫓아오는 추격신은 정말 인상적이라는 평.[43] 때문에 챕터 2에서 허기워기 추격전의 브금이 흘러나오며 키시 미시가 나오거나 비좁은 환풍구를 다시 들어가게 하는 구간이 나왔는데, 이 구간에서 허기워기의 추격전을 떠올리며 많은 플레이어들을 긴장시켰고, 이후 챕터 3에도 비좁은 곳에서 길을 찾아가며 쫓긴다는 비슷한 루틴을 지닌 도그데이의 추격전이 추가되어 다시 한번 떠올려지게 되었다. 오랜만에 돌아온 챕터 4에서는 신규 캐릭터들보다도 환영받는 분위기지만 공포 연출이 갈수록 약해지다 보니 5에서 보여줄 분량에 대해서 염려하는 반응이 있다.

6. 대사

6.1. 챕터 2

(Laugh)
(웃음)
Did someone need a hug?
안기고 싶은 사람?
Give me a big squeeze! I promise I won't bite.
날 꽉 안아줘! 물지 않겠다고 약속할게.[44]
Come closer, friend.
가까이 오렴, 친구야.
I'll squeeze you until you.. *static*
꽉 안아줄게... 네가... (노이즈) 때까지... (노이즈)[45]

6.2. 챕터 3, 챕터 4

A hug a day keeps the monsters away!
한번 끌어안으면 괴물을 물리치고!
Two hugs a day is better in every way!
두 번 끌어안으면 모든 게 좋아져!
Hugging forever, hugs are nonstop.
영원히 껴안자, 안는 걸 멈추지 마.
I'm gonna hug you until you pop.
네가 터질 때까지 안아줄게.
(Laugh)[46]
(웃음)[47]

7. 기타

7.1. 작품 내

  • 초반에 처음 등장했을 때 인형 눈에 사람 눈처럼 생긴 무언가가 보여 허기 워기의 정체가 사람이거나 또는 시체가 들어있는 인형탈 같은 것이냐는 말이 있었으나, 사실 환영방 바닥이 눈에 반사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과는 별개로 현재 파피 플레이타임 세계관의 거대 장난감들은 사람을 이용해 만든 것임이 확인되었기에 허기 워기도 원래는 인간이었음이 확실해 보인다.
  • 회사의 베스트셀러이자 간판 스타급 제품이다보니 마스코트급 대우를 받고 있다. 아예 공장 로비에 거대한 허기 워기가 세워져 있거나, 챕터2의 마미 롱 레그의 포스터나 기차 포스터 등 플레이타임 사의 포스터와 모든 서류 양식에도 허기 워기의 얼굴이 디자인되어 나오는 등, 파피 플레이타임 세계관에서도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48]
  • 플레이타임 공장 장난감들이 대부분 3단계 과정으로 제작하는데 허기워기만 4단계 과정으로 제작한다고 소개문에 적혀있다.
  • 마치 지능적으로 먹잇감을 쫓는 짐승처럼 행동한다. 환영방에 입장할 때 가만히 서있음에도 호흡을 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 말인 즉슨 그는 계속 플레이어를 지켜보고 있었으며 언제든 공격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유가 무엇이건 자의로 하지 않았다는 뜻. 이후 행적 또한 주변을 서성거리며 플레이어를 지켜보다 방심했을 때 어둠 속에서 튀어나오더니 벤트 안에서는 더욱 포위망을 조여오며 뛰어오는데, 이것은 더더욱 포식자의 행동을 연상시킨다. 덤으로 오피셜 가이드북에 의하면 본편의 허기 워기는 팔다리를 휘둘렀을 때 그 완력이 금속을 움푹 들어가게 할 정도라고 한다.
  • 허기 워기도 마미 롱 레그처럼 포스터나 그림에서는 리본이 노란색이나 인게임에서는 하늘색이다. 굿즈 또한 하늘색 리본을 매달고 있다.
  • 허기 워기가 가만히 서 있던 홀의 중앙 단상 주변에는 허기 워기 인형이 들은 장난감 상자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상자 구석에 쭈그려진 채 기괴한 웃음을 지으며 일그러져 있다. 이는 허기 워기의 괴물화를 암시하는 복선으로 볼 수 있다.
  • 3편에서 환각으로도 나타나고, 허기 워기와 관련된 악몽까지 꾸는 등 주인공에게는 허기 워기가 가장 큰 트라우마로 남은 것으로 보인다.[50] 이건 전세계의 모든 파피 플레이타임을 한 플레이어들이 그럴 것이다.
  • 챕터 4에서 허기 워기의 생존이 확인됨에 따라 챕터 4 기준 챕터별 최종 보스 중 유일하게 등장 챕터 내에서 죽지 않고 컴백까지 한 캐릭터가 되었다.

7.2. 작품 외

  • 파피 플레이타임 모바일 버전으로 플레이하면 그래픽 때문에 허기 워기가 PC판보다 섬뜩한 모습으로 보인다.
  • 맵을 뜯어보면 복도가 있고 그 복도 끝에 있는 문을 열면 허기워기가 튀어나오는 공간이 있다. 그 허기워기는 웃는 표정과 T포즈를 유지하며 이동한다. 닿아도 죽진 않는다.
  • 버그로 허기워기가 벤트에서 추격할 때 중간에 문이 닫혔다 열리는 문에 몸을 잘 비비면 허기워기 뒤로 지나가진다. 허기워기가 주인공을 잡기 위해 문을 부수고 나온 이후엔 플레이어의 위치에 관계없이 죽이는 방식이기에 실용성은 없다.
  • 한국 한정 별명으로 이름을 한국인처럼 바꾼 허기원 씨라는 별명이 있다. 작중의 임팩트 있고 무서운 모습과는 달리 뭔가 구수한 느낌의 이름이고 어감마저도 적절해서 그런지 한국 팬덤 내에서는 꽤나 많이 쓰이는 별명이며, 이 문서 또한 허기원으로 검색해서 들어올 수 있다. 바리에이션으로 허기욱 씨도 존재한다. 본인의 여자친구인 키시 미시도 한국 별명이 있지만[52] 자주 쓰이지는 않는다.
  • CG5가 작곡한 공식 뮤비 Sleep Well을 보면 자기 여자친구인 키시 미시와 같이 있는 장면이 몇번 나오는데 마냥 연인 관계라는게 설정만은 아니었을지도 모른다.[53]
  • 챕터 2와 챕터3 트레일러/예고 사진에서도 재등장했는데, 마미에게 끌려가고, 발톱에 쥐어뜯기는 등 상당히 고통받는 캐릭터이다.(...)

7.3. 밈화 및 2차 창작

특유의 강렬한 임팩트 덕분에 캐릭터 자체가 2021년 10월 말부터 전 세계적인 인터넷 밈으로서 유행하였다. 2022년 5월에 출시된 챕터 2의 메인 빌런인 마미 롱 레그 역시 이러한 유행의 연장선상으로 단번에 전 세계적인 밈으로 급부상하여 2022년 5월부터 9월까지, 4개월에 가까운 시간동안 전 세계의 유튜브를 휩쓸었다.
  • Friday Night Funkin'
    Friday Night Funkin'에 Huggy Wuggy와 대결하는 모드가 제작되어 인기가 더 상승했다. 모드는 여기에서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난이도는 쉬운 편. 다만 곡의 길이가 3분이 넘는데, 그마저도 계속 같은 멜로디의 반복이라 지루할 수 있다.



[1] 위에서 서술한 '실험체 1170'이라는 별칭 또한 이것을 의미하는 것이다.[2] 부기 봇이랑 번조 버니하고도 성우가 같다. 비교적 활기차고 발랄한 번조 버니랑은 다르게 마치 디즈니구피심슨 가족호머 심슨 같은 특유의 나긋나긋하면서도 익살스러운 느낌으로 연기한 게 특징.[3] 챕터 2에서 브론PJ 퍼그 어 필러를 맡았고, 챕터 3 버바 버바펀트와 중복이다.[4] 남도형의 블루클럽에서 밝혀졌다.[5] 변이된 모습 첫 등장시 나오는 BGM.[6] 벤트 추격전 시 나오는 BGM. 잘 들어보면 허기의 주제곡인 Huggy Wuggy를 어레인지 했음을 알 수 있다.[7] 허기 워기를 상자로 떨어트릴 시 나오는 BGM. 허기워기가 문을 부수는 효과음과 파이프에 부딪히는 효과음 때문에 마지막 부분을 제외하면 잘 들리지 않는다. 다만, 헤드셋 등을 끼면 효과음과 같이 들리긴 들린다.[8] 캣냅의 환각 속에서 추격전을 벌일 때 나오는 BGM.[9] 허기워기의 웃음소리. 챕터 2에서 허기 워기의 팻말을 누르면 이 소리와 비슷한 웃음소리가 난다.[10] 이 가사 이후에 입으로 낸 것 같은 빵 소리가 난다.[11] ‘잠시 휴식을 취하는거 잊지마세요’라고 적혀있는 직원 알림용 포스터. 단 밑에 조그만 글씨로 ‘10분 이상의 휴식시간은 허용되지 않음’이라고 써있다. 미국의 일반 직장이 대부분 10분 이상의 휴식시간이 보장되어 있음을 고려하면 굉장히 박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공식 설정집에선 프로젝트 플레이타임에 나오는 휴게실(캐비넷)에선 휴식시간이 5분으로 나왔다.[12] 이 하이픈은, 흔히 어떤 사람을 소개할 때 생몰년도를 표기하기 위한 하이픈이다. 즉, "(1984) - " 라고 써있다는 것은 1984년에 "태어났음을 의미" 하며, "아직 사망하지 않고 살아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미국 한정으로 특정 제품이나 건물등의 물건의 수명이나 판매기간을 표시하는 용도로도 쓰인다. 간단히 말하자면 'n년 부터 현재까지 유지 중.'이라는 의미.[13] 허기워기의 모델링에서도 손바닥에 있는 벨크로를 확인할 수 있다[14] 기린보다 키가 크다. 단 인게임에서는 이보다 많이 작고 챕터1 후반부는 초반부보다도 조금 작아 보인다.[15] 커다란 신체 계획 실험체 1-1-7-0[16] 한 유튜버가 파일을 뜯고 확대해서 이리저리 관찰해보니, 허기 워기는 팔을 내밀어 주인공을 유인했을 때부터 이빨을 드러내고 실실 웃고 있었고, 환풍구에서 몰래 지켜보고 있을 때도 이빨을 드러내고 있었다.[17] 사실 퍼즐이라 할 것도 없이, 그냥 레버를 당겨 장난감의 부속 파츠만 넣으면 스스로 도색, 조립, 검수까지 끝마치기에 아주 손쉽게 장난감을 얻을 수 있다. 기계 그 자체보단 그랩팩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루트를 만드는 과정에서 소위 '뇌지컬'이 필요한 편.[18] 참고로 처음 등장 시 플레이어의 바로 앞에서 플레이어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캣 비로 열은 공간 안에서는 허기 워기한테 닿아도 밀고 갈 뿐 죽지 않는다. 이 출구에서 완전히 나온 순간부터 사망 판정이 생긴다.[19] 다가오다가 왼쪽으로 유턴한다.[20] 추격전 도중 점프를 해야 하는 구간이나 갈림길이 존재한다.[21] 여담으로 이 상자에는 세 종류의 손바닥 자국이 있는데, 파란색 왼손, 빨간색 오른손, 그리고 초록색 오른손이다. 이 중 초록색 오른손은 챕터 2에 추가되는 손으로, 다시 말해 챕터 2의 떡밥이다.[22] 버그가 있는데 박스에 있는 손자국이 떨어뜨릴 때는 사라진다.[23] 마미 롱 레그의 서식지로 추정되는 곳에 브론 인형들이 처참하게 놓여있기에 후자가 가능성이 더 높다.[24] 인게임 내에서 나오는 환각 허기와는 조금 다른데, 털이 묘사되어 있는 인게임과 달리 설정화는 완전 매끈한 헝겊 재질이다.[25] 외형이 상당히 기괴해졌는데, 이빨이 빼곡하고 날카로우며, 기괴하게 찢어진 웃음을 짓고 있으며 눈이 검게 파였고 손가락과 발가락이 묘사되어 있으며 길쭉길쭉하다.[26] 달리기가 불가능하여 빠른 속도로 다가오는 허기워기를 피할 수 없다. 설령 끝까지 도망친다 해도 그 끝은 막다른 길이기에 결국엔 허기 워기에게 무조건 잡히는 구조이다. 그러나 버그를 통하면 허기 워기에게 살아 남을 수 있는데 일부러 잡히게 만든 장면이라 그런지 복도 끝까지 가면 그냥 벽을 뚫고 가버린다.[27] 확실하게 사망한 마미 롱 레그와는 다르기 때문에 언제 다시 나타날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28] 첫 등장 때처럼 홀에서 가만히 서서 직원들을 방심시킨 후 급습하여 목을 뜯어먹는 식으로 집요하게 쫓는다.[29] 허기 워기가 1편에서 추격을 시작했을 때 울렸던 경보 소리와 똑같다.[30] 복선은 있었는데 챕터 2에서 사망한 마미 롱 레그의 경우 사망했기에 마미 롱 레그의 등신대에서 아무런 음성도 나오지 않지만 챕터 4 후반부에 뜬금없이 등장한 허기 워기의 등신대는 음성이 나온다. 챕터 4에서의 허기 워기의 재등장을 암시했던 셈.[31] 짧은 시간이지만 복선은 있었는데, 키시미시는 혼자 다니는 허기워기와는 달리 주로 파피와 같이 다니며 절단된 팔도 왼팔이 아니라 오른팔이다. 물론 게임에 집중하느라 체력이 다 닳아있을 대다수의 플레이어들은 알아보지 못하겠지만.[32] 미심쩍게도 챕터 1에서 추락하면서 퇴장했음에도 손톱이나 칼 같은 예기로 생기는 자상절단상을 당한 모습으로 나타났는데 현재 플레이타임 사 내부는 맘에 안 들거나 수틀리거나 배고프면 서로 죽이고 고문하는 것은 기본에 동족상잔까지 하는, 그야말로 무정부상태 세기말 개판이기에 플레이어가 모르는 새에 어딘가에서 찢기거나 해서 다쳤다면 이해가 안되는 것은 아니다.[33] 아이러니하게도 챕터 1 제목의 한국어 번역인 진퇴양난과 아주 딱 맞는 상황이다. 다른 문이 잠겨 있어서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갈 수도 없고, 허기워기가 막고 있어서 되돌아가는 것도 불가능하며, 설상가상으로 재배 시설에 있는 방을 열면서 만능손의 사용 횟수를 전부 써버려서 정말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처지에 놓였다. 게다가 만능손으로 돌아왔던, 그리고 지금은 불능이 되어버린 빨간 그랩팩 덕분에 챕터 1의 추격전이 완벽히 재현됐다. 즉 이로써 하나 확실해진 것은 지금까지 전 챕터에서 멈춘 부분이 다음 챕터의 시작지점인 것을 생각할 때 챕터 5는 시작부터 추격전으로 시작할 것이 예상되는 부분이다.[34] 여러모로 주인공 입장에도 곤혹스러운게 주인공이 제일 무서워했던 장난감은 허기 워기이기 때문에 여러모로 굉장히 난처해졌다.[35] 의도적으로 주인공을 도와주며 마지막에는 갑자기 죽이려들기에 이중인격이나 프로로타입에게 조종당해 폭력성을 드러냈다라는 추측이 많았다.[36] 그냥 주인공을 죽이는 게 목적이었다면 다른 괴물의 개입도 없던 챕터 1 시점에서 몇 번이고 기회가 있었다. 첫 등장은 물론이고 주인공이 배전실에 들어왔을 때도 충분히 그를 죽일 수 있었다.[37] 버그를 써서 그쪽으로 가 허기워기의 머리를 가까이 볼 순 있지만 공격하진 않는다.[38] 게임 시스템상으론 순간이동.[39] 그러나 통로 끝이 막혀 있다는 것을 아는지 여기서도 주인공을 가지고 노는 듯 주인공의 속도에 어느 정도 맞춰서 추격한다. 그리고 그냥 서서 걷는 것보다 통로 안에서 움직임이 더 빠른데, 허기가 자신에게 유리한 장소가 컨베이어 통로라 유인했을 수도 있다.[40] 마찬가지로 고아였던 캣냅, 딜라이트가 주인공을 알아보고 죽이는 걸 꺼렸던 걸 생각해 볼 때 허기 또한 주인공을 알고 있었고 주인공이 죽기를 원했지만 증오심까지는 품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41] 다만 인기가 너무 많아지다 보니 Mob Entertainment의 허락을 받지 않고 불법으로 인형을 찍어내는 경우도 상당히 발생하고 있다.[42] 오히려 디자인만 보면 귀엽다는 의견도 많이 보인다.[43] 말 그대로 한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는 매우 좁은 벤트였기에, 도망칠 길이 없는 곳에 괴물과 함께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허기워기의 특성과 합쳐져 더욱 공포감을 높여주었다.[44] 해당 대사는 마치 전작인 챕터 1 추격씬에서의 상황을 의식하는 듯한 대사가 특징이다.[45] 압사를 말하는 것 같다.[46] 2초간의 정적이 흐르고 웃는 소리가 들린다.[47] 4편에서도 카드보드 대사가 이대사 그대로 삽입 된게 확인되었다.[48] 플레이타임 사의 징계 사유서에는 키시 미시의 우는 얼굴이 디자인 되어 있는데 허기 워기 부류의 제품이 베스트셀러라는 방증이기도 하다.[49] 캣냅은 프로토타입에게 구조된 기억이 있어 완전히 그를 믿는 광신도가 되었고 마미 롱 레그는 죽는 순간에 내뱉는 유언을 통해 프로토타입을 두려워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50] 파피가 주인공에게 비극을 호소하는 환각의 마지막 부분에서 허기 워기가 화면을 응시하는데, 가장 처음 만난 장난감이기도 하고 다른 장난감들과 달리 좁은 공간에서 추격적을 벌였기에 더욱 기억에 남았을 것이다. 게다가 마미 롱 레그와는 달리 정말로 죽었는지 확실치가 않았으니...[51] 이 때문에 파피의 한국어 더빙을 맡은 성우마저 캐스팅 제의를 받고 인터넷에 검색했을 때 허기워기의 일러스트가 제일 상단에 뜬 걸 보고, 파피로 착각해서 허기의 톤을 연습하다 스태프가 파피의 사진을 보내주고 나서야 알아차렸다고 한다.[52] 김시민 씨[53] 하지만 파피가 키시미시 앞에서 플레이어에게 "넌 허기 워기와 마미 롱 레그를 죽였다" 라고 언급 했을 때 키시 미시가 별로 반응하지 않았던 것을 고려하면 그냥 설정일 가능성이 높다.[54] 어디까지나 2차 창작이며, 원작에서는 아직 허기 워기의 과거가 밝혀지지 않았기에 공식 스토리가 아니다. 게다가 허기 워기가 1-0-0-6으로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6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