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20:42:53

PT-76/운용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PT-76
ПТ-76 «Плавун»
파생형 실전 운용국 미디어 모형

1. 개요2. 유럽
2.1. 동유럽
2.1.1. 소련2.1.2. 러시아2.1.3. 우크라이나2.1.4. 벨라루스
2.2. 서유럽
2.2.1. 영국
2.3. 중부유럽
2.3.1. 동독2.3.2. 체코슬로바키아2.3.3. 폴란드2.3.4. 헝가리
2.4. 북유럽
2.4.1. 핀란드
2.5. 남부유럽
2.5.1.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2.5.1.1. 슬로베니아2.5.1.2. 크로아티아2.5.1.3.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5.1.4. 스릅스카 공화국2.5.1.5.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3. 아시아
3.1. 동아시아
3.1.1. 중국3.1.2. 북한
3.2. 동남아시아
3.2.1. 인도네시아3.2.2. 베트남3.2.3. 라오스
3.3. 서아시아
3.3.1. 이라크3.3.2. 시리아3.3.3. 이스라엘
3.4. 남아시아
3.4.1. 인도3.4.2. 방글라데시
4. 아프리카
4.1. 서아프리카
4.1.1. 말리
4.2. 중앙아프리카
4.2.1. 앙골라
4.3. 남아프리카
4.3.1. 남아프리카 공화국
4.4. 북아프리카
4.4.1. 이집트
5. 아메리카
5.1. 북아메리카
5.1.1. 미국
5.2. 카리브
5.2.1. 쿠바

1. 개요

소련에서 냉전기 개발한 수륙양용경전차 PT-76의 운용국 일람 문서.

해당 전차는 저렴한 가격에 세계 각지로 뿌려졌기에 제2세계, 제3세계 뿐만 아니라 제1세계 일부 국가도 운용 중에 있다.

2. 유럽

2.1. 동유럽

2.1.1. 소련

파일:PT-76_URal.jpg
우랄 전투 영광 박물관 소장 소련 해군 보병대 소속 PT-76B
원조 사용국으로, 냉전 최후반까지 헌역으로 사용하였으며, 사실상 소련에서 제작된 전투 차량들 중 가장 최장수로 1선에서 활용되었다고 봐도 과언이 전혀 아니다.
소련 해군 보병대 소속 PT-76B 운용 영상
상기의 영상에서 해군 보병대가 운용하는 장면을 볼 수 있다.

2.1.2. 러시아

파일:Park_Patriot_PT-76B.webp
애국 공원 소장 러시아 연방 육군 소속 PT-76B
소련 붕괴 이후로도 다수의 차량들이 헌역으로 남아있었으며, 총 9대가 체첸 분쟁에 투입되기도 하였다.

2006년에 퇴역하였으며, 몇몇 소수의 개체가 의장용 및 훈련용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2.1.3. 우크라이나

파일:Kiev_PT-76.jpg
키이우 대조국전쟁 박물관 소장 우크라이나 육군 소속 PT-76B
소련 붕괴 이후 우크라이나에서도 소수를 사용하다 현재는 전량 퇴역하였다.

2.1.4. 벨라루스

파일:Belarus_Pt-76.jpg
핀스크 야외 전시 벨라루스 육군 소속 PT-76B
소련 붕괴 이후로도 한 동안 헌역으로 사용되다 퇴역하였다.

이 밖에도 벨라루스에서는 2015년과 2017년에 걸쳐 30mm 쉬푸노프 2A42 기관포탑과 9M113 콘쿠르스 미사일로 무장을 교체한 PT-76M이라는 명칭의 개조형을 발표하였으나, 이는 설계도면에서만 진행되고 끝난 것으로 추산된다.

여담으로, 스탈린 선 박물관에는 기동 가능한 PT-76B가 소장되어 있는데, 박물관에서 관광객을 태워주고 코스를 주행하는 일종의 관광상품 격으로도 이용 중에 있다.

2.2. 서유럽

2.2.1. 영국

파일:Duxford_Pt-76.jpg
덕스포드 제국 전쟁 박물관 소장 영국 육군 소속 PT-76B
보스니아 전쟁 시기 유엔 평화유지군으로 참전한 영국군 측에서 소수의 차량들을 노획하였으며, 이 중 1대를 덕스포드 제국 전쟁 박물관에 소장 및 동태보존 중에 있다.

2.3. 중부유럽

2.3.1. 동독

파일:Deutsches_Panzermuseum_PT-76.jpg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국가인민군 소속 PT-76 Mod.2
1956년 170대를 소련으로부터 공여받아 동독 멸망 시기까지 헌역으로 사용하였다.

2.3.2. 체코슬로바키아

파일:Czech_PT-76.jpg
체코 육군 군사 기술 박물관 소장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소속 PT-76B
1대를 공여받아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나 테스트 결과가 불만족스러웠는지 추가 요청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2.3.3. 폴란드

파일:50502198687_9ae3cd23be_b.jpg
포츠난 기갑 박물관 소장 폴란드 인민군 소속 PT-76A "8731번차"
다수의 차량을 소련으로부터 공여받았으며, 이 시기 다수의 차량을 PT-76A로 개조하여 사용했다.

2.3.4. 헝가리

파일:Magyar_PT-76.jpg
부다페스트 군사 역사 박물관 소장 헝가리 육군 소속 PT-76B
도합 100대를 구매하여 사용했다가 현재는 퇴역하였다.

2.4. 북유럽

2.4.1. 핀란드

파일:Parola_Tank_Museum_075_-_PT-76_(38513872666).jpg
파롤라 전차 박물관 소장 핀란드 방위군 소속 PT-76B
핀란드화의 영향으로 도합 12량의 PT-76B을 공여받아 1994년까지 사용하였다.

2.5. 남부유럽

2.5.1.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파일:Yugo_Army_no.199_PT-76.jpg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육군 소속 PT-76B "199번차"[1]
유고슬라비아 연방과 소련은 티토-스탈린 결별 이후에 관계가 냉각되었지만, 1960년대에 들어서며 흐루쇼프 정권 시기에 어느 정도 관계가 개선되어 소련으로부터 PT-76 100량 및 SU-100 40문 등 소련 장비 다수를 구매하여 무장하였다.
2.5.1.1. 슬로베니아
파일:vuuel9ie6zj71.jpg
피브카 군사 역사 박물관 소장 슬로베니아 국토방위군 소속 PT-76B
소량을 슬로베니아 독립 전쟁 시기 사용했으며, 종전 후 잠시간 사용하다 퇴역하였다.
2.5.1.2. 크로아티아
파일:Hrvatski_PT-76.jpg
크로아티아 육군 소속 PT-76B
2000년대 중엽까지 도합 10대를 운용하다가 현재는 전량 폐기하였다.
2.5.1.3.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Kozara_museum_PT-76_bosnian.jpg
코자라 군사 박물관 소장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육군 소속 PT-76B
소수의 차량들을 내전 시기 사용하다 종전 이후 퇴역하였으며, 현재 코자라 군사 박물관에 1량이 전시 중에 있다.
2.5.1.4. 스릅스카 공화국
파일:Srpska_army_PT-76.jpg
스릅스카 공화국 육군 소속 PT-76B
스릅스카 공화국 측에서도 소수를 사용하였으며, 육군참모총장이었던 "노비카 시미치"가 한 때 연방군 소속일 적에 지휘하던 차량이기도 하였다.현재는 전량을 폐기처분 하였다.
2.5.1.5.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파일:pt76_17.jpg
군 기지 소장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육군 소속 PT-76B "777번차"
내전 이후에도 소량의 차량들이 계속 사용되다 2000년대 중엽 퇴역하였다.

3. 아시아

3.1. 동아시아

3.1.1. 중국

파일:Chinese_Army_PT-76_test.png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소속 PT-76[2]
1957년 경, 소련으로부터 소수의 PT-76 후기형[3]을 공여받아 여러 테스트를 진행하였던 기록이 남아있다.

당시 중국에서의 PT-76은 매우 고평가 받았는데, 이는 타이완 섬을 언젠가 다시 점령하겠다는 중국 인민해방군의 포부와 더불어, 상륙 작전에서 꼭 필요한 존재인 수륙양용전차는 중국에게는 놓치지 말아야 할 최우선 목표였기 때문이었다.[4]

그러나 중소결렬이 시작되는 1958년 경, 소련 측에서 중국에게 PT-76의 공여를 거부하였으며, 중국 측에서는 자신들이 잠시간 운용해본 PT-76을 60식 경전차라는 이름으로 복제하려 했으나 이는 실패했고, 대신 운용 후 느꼈던 개선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신형 전차 프로젝트에 착수하는데, 그것이 바로 "211 시제전차"로, 이후 63식 전차라는 명칭으로 이어지게 된다.

3.1.2. 북한

파일:attachment/PT-76/pt76b.jpg
남침 모의 훈련 중인 조선인민군 육군 소속 PT-76B "951번차"
1950년대 소련으로부터 PT-76B 사양 다수를 공여받아 현재까지 사용중에 있다.[5]

북한은 6.25 전쟁 당시, 한강 방어선 전투와, 낙동강 전선 당시 도하장비가 없어 지체를 겪었던 경험에서 수륙양용전차나 기갑장비의 도하 장비는 매우 중요하다는 교훈을 얻어 PT-76B가 개발되었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다수를 구매하여 실전 배치 하였다.

특히, 북한에서 근 40여년간 개발된 기갑장비들을 보면, T-62를 베이스로 한 천마호, 폭풍호를 제외하면 거의 다수의 차량들이 수륙양용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것도 PT-76B를 운용 및 수리하며 자체적인 수륙양용전차 개발 능력을 키우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12년 1월 경 조선중앙TV에서 방영한 선전물을 보면 김정은이 이걸 타고 달리며 기동간 사격을 하고 표적마다 백발백중하는데, 어째서인지 발사 장면과 훈련용 표적이 터지는 장면이 따로따로 나온다. 필름 내내 결코 발사와 피격 장면을 한 컷에 찍지 않는다. 솔방울로 수류탄 만들기보다는 그나마 현실적이지만.

3.2. 동남아시아

3.2.1. 인도네시아

파일:PT-76(M)_driving_course_2_(cropped).jpg
기동 중인 인도네시아 해병여단 소속 PT-76(M)
1960년대에 소련으로부터 다수의 차량을 구매하여 운용하다 이후 1990년대에 이스라엘의 도움을 받아 전량 PT-76(M)으로 개수하였으며, 현재까지 86대를 운용 중에 있다.

3.2.2. 베트남

파일:Vietnamese_Pt-76.jpg
탄약 적재 중인 베트남 인민 해군 소속 PT-76B "098번차"
약 300량을 공여받아 현재까지도 1선에서 운용 중이며, 태풍 피해 발생 시에는 대민지원용으로도 사용하고 있다.

3.2.3. 라오스

파일:Laos_PT-76.jpg
열병식 참가 라오 인민 육군 소속 PT-76
PT-76, PT-76B를 포함하여 45대를 파테트라오가 1961년 소련으로부터 공여받아 운용하다 라오스 내전 시기에 25대를 추가로 북베트남으로부터 공여받아 편제하였으며, 현재에 이르러서도 25대를 헌역으로 사용 중에 있다.

3.3. 서아시아

3.3.1. 이라크

파일:Gulf_War_PT-76.jpg
이라크 육군 소속 PT-76B[6]
도합 100여량의 PT-76B를 소련으로부터 구매하여 2003년까지 사용하였다.

이라크 육군의 PT-76B는 상술하였듯이,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에 큰 활약을 하였으며, 이후 걸프 전쟁과 이라크 전쟁에서도 소량이 투입된 것으로 보이나, 활약은 알 수 없다.

3.3.2. 시리아

파일:Syrian_PT-76B.jpg
시리아 육군 소속 PT-76B
다수의 차량을 소련으로부터 구매하여 욤 키푸르 전쟁 시기 사용했으나 부족한 사기 및 운용 방식의 미숙으로 대다수를 유기하거나 망실하였다.

3.3.3. 이스라엘

파일:2019032801428_34.jpg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 소장 이스라엘 육군 소속 PT-76B
6일 전쟁 및 욤 키푸르 전쟁 시기 시리아군과 이집트군으로부터 최소 3~40대, 많게는 6~70대를 노획하여 사용했으며, 1980년대까지 사용하다 현재는 전량 퇴역하였다.

이스라엘은 이렇게 PT-76을 운용하면서 얻은 노하우를 통해 기술력을 쌓았고, 이는 훗날 인도네시아가 자신들이 소유한 PT-76들을 "PT-76(M)"으로 개수할 때 NIMDA 社의 기술 지원을 받는 결과로 이어지게 되었다.

3.4. 남아시아

3.4.1. 인도

파일:Eeycdd0UcAA-p0c.jpeg.jpg
기병전차박물관 소장 인도 육군 소속 PT-76B 네임드 차량 "다르사나"
1960년대 중반 다수의 차량을 소련으로부터 구매하여 무장했다.

당시 인도는 세 차례실전을 겪으면서 서로 전력이 비슷한 파키스탄과의 전투에서는 여러 번 승리했으나, 중국과의 전투에서는 제공권 미확보, M3A3, M5A1셔먼 V와 같은 2차 대전 시기의 구형 전차들로만 이루어져 있어 큰 패배를 당했다.

따라서 인도군 내에서는 전력을 증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었으며, 때마침 중소결렬이 일어나자 인도는 소련에게 접근하여 최신식 전차인 T-55PT-76을 구매하게 된다.

1971년, 방글라데시의 독립 선언으로 인해 이를 저지하려는 파키스탄과 이를 지지하는 인도 간의 전쟁이 또 다시 발발하자 인도군 소속의 PT-76들은 악지와 늪지에서도 무리없이 기동하며 파키스탄군의 M24 채피를 농락하였으며, 전쟁을 승리로 이끌게 되었다.

이후 2000년대까지 헌역으로 사용하다 현재는 의장용으로 사용 중인 1대를 제외하고 전량 퇴역처리를 밟았다.

3.4.2. 방글라데시

파일:Bangladesh_Military_Museum_PT-76.jpg
방글라데시 군사 박물관 소장 방글라데시 육군 소속 PT-76B
소수의 차량을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 당시 인도군으로부터 공여받아 파키스탄과의 전투에서 사용하였다.

4. 아프리카

4.1. 서아프리카

4.1.1. 말리

파일:Malian_PT-76.webp
훈련 중인 말리 육군 소속 PT-76
1980년대 당시 소련으로부터 50대를 구매하여 현재까지 사용 중에 있으며, 2012년 쿠데타 당시에도 최소 1대 이상이 동원되었다.

보관만 되어 있고 실질적인 사용은 거의 되지 않는 T-54나, 62식 전차와 달리 말리의 실질적인 주력 기갑으로 사용되는 중으로 보인다.

4.2. 중앙아프리카

4.2.1. 앙골라

파일:800px-FAPLA_PT-76.jpg
남아프리카 국립 군사사 박물관 소장 앙골라 인민해방육군 소속 PT-76B
앙골라 인민해방군이 소련으로부터 공여받아 앙골라 내전 당시 사용하였다.

4.3. 남아프리카

4.3.1.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south_african_Pt-76.jpg
기갑 박물관 학교 소장 남아프리카 육군 소속 PT-76
소수의 차량을 앙골라군으로부터 노획하여 잠시간 사용하였다.

4.4. 북아프리카

4.4.1. 이집트

파일:Egypt_pt-76.jpg
국립 군사 박물관 소장 이집트 육군 소속 PT-76
다수의 차량을 소련으로부터 구매해 욤 키푸르 전쟁 당시 사용했으나 대다수의 차량을 망실하였다.

5. 아메리카

5.1. 북아메리카

5.1.1. 미국

파일:60f5f510ca2a64528ecffb70_Fort-Hood--Texas--23-Jan-2017--1st-Cav-Museum--Soviet-PT-76.jpg
포트 후드 제1기병연대 박물관 소장 미 육군 노획 베트남 인민 육군 소속 PT-76B
베트남 전쟁 시기 소수의 개체를 북베트남군으로부터 노획하였으며, 이 차량들을 미국으로 이송하여 현재까지 대항군 용도로 사용 중에 있다.

5.2. 카리브

5.2.1. 쿠바

파일:Havana_2P16_luna.jpg
아바나 야외 전시 쿠바 육군 소속 2P16 루나 "400번차"
쿠바에서도 다수의 차량을 소련으로부터 구매하여 앙골라 내전 당시 투입하였으며, 이 밖에도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2P16 루나 다수를 소련에게 공여받아 실전 배치한 기록이 남아있다.


[1] 1991년 6월 열흘전쟁 당시 촬영된 사진이다.[2] 1950년대 후반 경 촬영된 사진이다.[3] 1957년 경 개선된 주포를 장착한 PT-76을 의미하며, 주포안정기는 존재하지 않는 형식이다.[4] 당시에도 LVT(A)-4를 개조한 대전차자주포나, 경전차가 다수 포진해 있었지만 가상적국인 미제 전차인데다, 다들 노후화되어 있던 상태라 주력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5] 참고로 상단의 훈련사진으로 매우 강렬한 인상을 대한민국 네티즌들에게 남겨 제3회 디시 기갑 갤러리배 인기 전차투표에서 경전차 사상 최초로 입상하는 위엄을 달성하였다.[6] 1991년 1월 1일에 촬영된 사진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4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