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Т-76 «Плавун» | ||||
파생형 | 실전 | 운용국 | 미디어 | 모형 |
1. 개요
소련에서 냉전기 개발한 수륙양용경전차 PT-76의 운용국 일람 문서.해당 전차는 저렴한 가격에 세계 각지로 뿌려졌기에 제2세계, 제3세계 뿐만 아니라 제1세계 일부 국가도 운용 중에 있다.
2. 유럽
2.1. 동유럽
2.1.1. 소련
우랄 전투 영광 박물관 소장 소련 해군 보병대 소속 PT-76B |
소련 해군 보병대 소속 PT-76B 운용 영상 |
2.1.2. 러시아
애국 공원 소장 러시아 연방 육군 소속 PT-76B |
2006년에 퇴역하였으며, 몇몇 소수의 개체가 의장용 및 훈련용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2.1.3. 우크라이나
키이우 대조국전쟁 박물관 소장 우크라이나 육군 소속 PT-76B |
2.1.4. 벨라루스
핀스크 야외 전시 벨라루스 육군 소속 PT-76B |
이 밖에도 벨라루스에서는 2015년과 2017년에 걸쳐 30mm 쉬푸노프 2A42 기관포탑과 9M113 콘쿠르스 미사일로 무장을 교체한 PT-76M이라는 명칭의 개조형을 발표하였으나, 이는 설계도면에서만 진행되고 끝난 것으로 추산된다.
여담으로, 스탈린 선 박물관에는 기동 가능한 PT-76B가 소장되어 있는데, 박물관에서 관광객을 태워주고 코스를 주행하는 일종의 관광상품 격으로도 이용 중에 있다.
2.2. 서유럽
2.2.1. 영국
덕스포드 제국 전쟁 박물관 소장 영국 육군 소속 PT-76B |
2.3. 중부유럽
2.3.1. 동독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국가인민군 소속 PT-76 Mod.2 |
2.3.2. 체코슬로바키아
체코 육군 군사 기술 박물관 소장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소속 PT-76B |
2.3.3. 폴란드
포츠난 기갑 박물관 소장 폴란드 인민군 소속 PT-76A "8731번차" |
2.3.4. 헝가리
부다페스트 군사 역사 박물관 소장 헝가리 육군 소속 PT-76B |
2.4. 북유럽
2.4.1. 핀란드
파롤라 전차 박물관 소장 핀란드 방위군 소속 PT-76B |
2.5. 남부유럽
2.5.1.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육군 소속 PT-76B "199번차"[1] |
2.5.1.1. 슬로베니아
피브카 군사 역사 박물관 소장 슬로베니아 국토방위군 소속 PT-76B |
2.5.1.2.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육군 소속 PT-76B |
2.5.1.3.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코자라 군사 박물관 소장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육군 소속 PT-76B |
2.5.1.4. 스릅스카 공화국
스릅스카 공화국 육군 소속 PT-76B |
2.5.1.5.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군 기지 소장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육군 소속 PT-76B "777번차" |
3. 아시아
3.1. 동아시아
3.1.1. 중국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소속 PT-76[2] |
당시 중국에서의 PT-76은 매우 고평가 받았는데, 이는 타이완 섬을 언젠가 다시 점령하겠다는 중국 인민해방군의 포부와 더불어, 상륙 작전에서 꼭 필요한 존재인 수륙양용전차는 중국에게는 놓치지 말아야 할 최우선 목표였기 때문이었다.[4]
그러나 중소결렬이 시작되는 1958년 경, 소련 측에서 중국에게 PT-76의 공여를 거부하였으며, 중국 측에서는 자신들이 잠시간 운용해본 PT-76을 60식 경전차라는 이름으로 복제하려 했으나 이는 실패했고, 대신 운용 후 느꼈던 개선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신형 전차 프로젝트에 착수하는데, 그것이 바로 "211 시제전차"로, 이후 63식 전차라는 명칭으로 이어지게 된다.
3.1.2. 북한
남침 모의 훈련 중인 조선인민군 육군 소속 PT-76B "951번차" |
북한은 6.25 전쟁 당시, 한강 방어선 전투와, 낙동강 전선 당시 도하장비가 없어 지체를 겪었던 경험에서 수륙양용전차나 기갑장비의 도하 장비는 매우 중요하다는 교훈을 얻어 PT-76B가 개발되었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다수를 구매하여 실전 배치 하였다.
특히, 북한에서 근 40여년간 개발된 기갑장비들을 보면, T-62를 베이스로 한 천마호, 폭풍호를 제외하면 거의 다수의 차량들이 수륙양용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것도 PT-76B를 운용 및 수리하며 자체적인 수륙양용전차 개발 능력을 키우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12년 1월 경 조선중앙TV에서 방영한 선전물을 보면 김정은이 이걸 타고 달리며 기동간 사격을 하고 표적마다 백발백중하는데, 어째서인지 발사 장면과 훈련용 표적이 터지는 장면이 따로따로 나온다. 필름 내내 결코 발사와 피격 장면을 한 컷에 찍지 않는다. 솔방울로 수류탄 만들기보다는 그나마 현실적이지만.
3.2. 동남아시아
3.2.1. 인도네시아
기동 중인 인도네시아 해병여단 소속 PT-76(M) |
3.2.2. 베트남
탄약 적재 중인 베트남 인민 해군 소속 PT-76B "098번차" |
3.2.3. 라오스
열병식 참가 라오 인민 육군 소속 PT-76 |
3.3. 서아시아
3.3.1. 이라크
이라크 육군 소속 PT-76B[6] |
이라크 육군의 PT-76B는 상술하였듯이,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에 큰 활약을 하였으며, 이후 걸프 전쟁과 이라크 전쟁에서도 소량이 투입된 것으로 보이나, 활약은 알 수 없다.
3.3.2. 시리아
시리아 육군 소속 PT-76B |
3.3.3. 이스라엘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 소장 이스라엘 육군 소속 PT-76B |
이스라엘은 이렇게 PT-76을 운용하면서 얻은 노하우를 통해 기술력을 쌓았고, 이는 훗날 인도네시아가 자신들이 소유한 PT-76들을 "PT-76(M)"으로 개수할 때 NIMDA 社의 기술 지원을 받는 결과로 이어지게 되었다.
3.4. 남아시아
3.4.1. 인도
기병전차박물관 소장 인도 육군 소속 PT-76B 네임드 차량 "다르사나" |
당시 인도는 세 차례의 실전을 겪으면서 서로 전력이 비슷한 파키스탄과의 전투에서는 여러 번 승리했으나, 중국과의 전투에서는 제공권 미확보, M3A3, M5A1 및 셔먼 V와 같은 2차 대전 시기의 구형 전차들로만 이루어져 있어 큰 패배를 당했다.
따라서 인도군 내에서는 전력을 증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었으며, 때마침 중소결렬이 일어나자 인도는 소련에게 접근하여 최신식 전차인 T-55와 PT-76을 구매하게 된다.
1971년, 방글라데시의 독립 선언으로 인해 이를 저지하려는 파키스탄과 이를 지지하는 인도 간의 전쟁이 또 다시 발발하자 인도군 소속의 PT-76들은 악지와 늪지에서도 무리없이 기동하며 파키스탄군의 M24 채피를 농락하였으며, 전쟁을 승리로 이끌게 되었다.
이후 2000년대까지 헌역으로 사용하다 현재는 의장용으로 사용 중인 1대를 제외하고 전량 퇴역처리를 밟았다.
3.4.2.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군사 박물관 소장 방글라데시 육군 소속 PT-76B |
4. 아프리카
4.1. 서아프리카
4.1.1. 말리
훈련 중인 말리 육군 소속 PT-76 |
보관만 되어 있고 실질적인 사용은 거의 되지 않는 T-54나, 62식 전차와 달리 말리의 실질적인 주력 기갑으로 사용되는 중으로 보인다.
4.2. 중앙아프리카
4.2.1. 앙골라
남아프리카 국립 군사사 박물관 소장 앙골라 인민해방육군 소속 PT-76B |
4.3. 남아프리카
4.3.1. 남아프리카 공화국
기갑 박물관 학교 소장 남아프리카 육군 소속 PT-76 |
4.4. 북아프리카
4.4.1. 이집트
국립 군사 박물관 소장 이집트 육군 소속 PT-76 |
5. 아메리카
5.1. 북아메리카
5.1.1. 미국
포트 후드 제1기병연대 박물관 소장 미 육군 노획 베트남 인민 육군 소속 PT-76B |
5.2. 카리브
5.2.1. 쿠바
아바나 야외 전시 쿠바 육군 소속 2P16 루나 "400번차" |
[1] 1991년 6월 열흘전쟁 당시 촬영된 사진이다.[2] 1950년대 후반 경 촬영된 사진이다.[3] 1957년 경 개선된 주포를 장착한 PT-76을 의미하며, 주포안정기는 존재하지 않는 형식이다.[4] 당시에도 LVT(A)-4를 개조한 대전차자주포나, 경전차가 다수 포진해 있었지만 가상적국인 미제 전차인데다, 다들 노후화되어 있던 상태라 주력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5] 참고로 상단의 훈련사진으로 매우 강렬한 인상을 대한민국 네티즌들에게 남겨 제3회 디시 기갑 갤러리배 인기 전차투표에서 경전차 사상 최초로 입상하는 위엄을 달성하였다.[6] 1991년 1월 1일에 촬영된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