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fcfbfc,#fcfbfc> | ERNL 참가팀 | }}}''' | |
'''{{{#!wiki style="color: #05061a; margin:0px -10px -5px" {{{#05061a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Gyeonggi Innate | FN SEJONG | Seongnam ROX | Busan BeSPA | |
| | | | |
Jecheon Phalanx | GJ Slasher | all ways INCHEON | CNJ Esports | |
| | | | |
Gyeongnam Sparkle Esports | DaeJeon AutoArms | New Rise Gangwon | Daegu Guardians |
| ||||
<colbgcolor=#000><colcolor=#fff> 뉴 라이즈 강원 | ||||
New Rise Gangwon | ||||
창단 | 2024년 5월 29일 | |||
연고지 | 강원특별자치도 | |||
소속 리그 | ERNL | |||
팀명 | TangleDabi(2024.05.29 ~ 2024.11.11) TangleDabiX(2024.11.13 ~ 2025.04.11) New Rise Gangwon(2025.04.12 ~ ) | |||
구단주 | [[박종우(프로게이머)|박종우 phoenixpark ]] | |||
주장 | ||||
약칭 | NRG | |||
| ||||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 ACTIVE | RIOORI ]] | NoDunAl ]] | |
insane ]] | phoenixpark ]] | }}}}}}}}}}}} | ||
팀 컬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1. 개요
| |||||
|
팀 이름이 탱글다비인 이유는 탱커하는 글러브+다비였다. 팀 개편을 거쳐 글러브와 설다비가 나가면서 글러브, 설다비가 없다는 뜻으로 X를 추가했고, 이터널리턴 내셔널 리그에 참여하기 위하여 피닉스박이 거주 중인 원주시가 소속된 강원특별자치도를 TangleDabiX의 연고지로 선정하였다. 이후, 피닉스박의 공식 카페에서 추천받은 New Rise Gangwon으로 팀명을 변경했다.
2. 스폰서
| ||
강원특별자치도연고지 |
3. 플레이 스타일
현재, 뉴 라이즈 강원의 플레이스타일 |
===# TangleDabi #===
탱글다비 시절의 플레이스타일 |
아드리아나 장인을 필두로 내세운 1탱 2원딜 정석 조합
메인 오더 겸 스증 스페셜리스트로 뽑힌 리우리가 아드리아나 업계 1위 유저[3]였기에 자연스럽게 아드리아나를 중심으로한 조합을 많이 선보였었다. 메인 스증딜러가 아드리아나로 고정되어 있었고, 각 멤버가 상대적으로 포지션이 명확하고, 주력 포지션이 아닌 포지션에서는 경기력이 크게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다보니 그런 문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피닉스박이 자연스럽게 아무거나 다하는, 아니 해야만 하는 올라운더로 뛰게 되어버렸다.[4]
그래서 첫 창단 이후, 처음 해메고 있었을 당시엔 '알렉스 + 비앙카 + 아드리아나', '니키 + 마이 + 아드리아나', '마이 + 엘레나 + 레니' 등등... 묘한 조합이 잔뜩 나왔었으나, 대체적으로 탱글다비 시절의 조합은 하단에 후술한 조합이 주를 이룬다. 탱글다비의 조합은 종있종과 종없종으로 나뉘는데, 말 그대로 박종우(피닉스박)가 있는 팀이냐, 없는 팀이냐에 대한 이야기다.
종있종 메인 조합 | ||
| | |
아드리아나(RIOORI) | 칼라/나딘(phoenixpark) | 마이(SeolDaBi) |
종없종 메인 조합 | ||
| | |
| | |
아드리아나(RIOORI) | 나딘/츠바메(SeolDaBi) | 쇼우/엘레나/마이(Glove) |
- 팀 포지션
- 리우리 : 스증원딜 - 아드리아나
- 글러브 : 탱커, 브루저 - 니키, 쇼우, 엘레나, 알론소, 마이
- 피닉스박 : 평원딜, 스증원딜 - 칼라, 나딘
- 설다비 : 탱커, 평원딜 - 마이, 나딘, 츠바메
팀으로 합한 시간이 많다보니 팀의 포지션이 자연스럽게 정해졌는데, 리우리와 피닉스박이 핵심 딜링을 담당하고 글러브가 핵심 탱커 역할을, 설다비가 상황에 따라서 탱커나 평원딜 역할을 분담하는 방향으로 정해졌다. 처음에는 글러브와 설다비의 실험체 폭을 더 넓히려는 시도도 해봤으나 만족스러운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고, 결국 돌고돌아 포지션이 위의 형태로 고정되었다.
조합 컨셉은 굉장히 단순하다. 아드리아나가 사이드 포지션에서 포킹을 통해 지역을 점거하고 상대방을 견제하면서 교전 구도를 좋게 만들고, 이렇게 만들어진 교전 구도에 따라 탱커가 체력이 빠진 적의 메인 딜러에게 진입하면서 교전을 열거나 반대로 이니시를 거는 상대방을 받아치고, 이 과정에서 포커싱된 대상을 평원딜이 마무리하는 것이다.
문제는 조합 특성상 화력, 특히 지속딜의 거의 전부를 평원딜이 감당해야되도 보니 평원딜이 받는 부하가 상당하다는 것. 여기에 상대방도 이를 알고 평원딜을 먼저 노리는 반면, 평원딜을 담당하는 선수인 피닉스박/설다비 둘다 평원딜을 전문으로 다루는 선수는 아니다 보니 소위 말하는 레고 밟는 플레이가 자주 나올 수 밖에 없는 환경이었다. 이 때문에 교전 초반에 피닉스박/설다비가 먼저 누워버리는게 다반사에, 설령 상대 딜러와 교환이 되었다 하더라도 남은 2:2 교전에서 딜부족 문제로 인해 밀려나버리는 등, 결국 교전 구도는 잘 잡아놓고, 정작 교전에서 지는 경우가 잦았다. 이조차 아드리아나의 파트너 원딜을 츠바메, 나딘등 평원딜로 바뀐 이후에 나아진 것이지, 그 이전 아드리아나의 파트너로 칼라를 기용하던 시절에는 2원딜의 성장을 다 마친 상태에서도 에키온 등 상대 탱커라인을 제대로 걷어내지 못하고 교전에서 패배하던 그림이 나오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아드리아나 특성상 VF 혈액팩이 반드시 필요하다보니 [5] 초반이 약해 킬점수를 벌어들이는 것에도 불리했다. 때문에 스플릿 운영을 중심으로 어떻게든 아드리아나가 성장할 시간을 버는 것을 제 1목표로 했는데, 정작 아드리아나 혼자서는 화력이 부족하다보니 평원딜 역시 성장이 밀려서는 안된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결과적으로 성장 과정에서 한번이라도 사고가 나면 그뒤로는 내내 적들을 피해다니기만 하다가 결국 성장은 성장대로 밀리고 점수도 제대로 벌지 못한체 광탈해버리기 십상이었다.
결국 아드리아나라는 실험체의 한계가 명확히 드러나는 조합이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조합을 포기하지 못했던 이유는 일단 성장에 성공하고 나면 리우리의 아드리아나가 투자한 것 이상의 뛰어난 플레이를 자주 보여주었기 때문. 특히 사이드 포지션에서 포킹만으로 교전을 끝내버리거는 것은 물론, 평원딜의 딜 부담이 심하다는 조합 약점이 부각된 이후에는 아예 대치 구도에서 앞 포지션을 잡아 상대방이 자신을 잡도록 유도하고, 상대방이 교전을 걸어오는 것을 흘려내면서 자연스럽게 평원딜의 프리딜 각을 열어주는 슈퍼플레이도 자주 보여주었다.
여기에 더해 설다비의 마이와 조합되었을때는 교전에서 공격적인 콜&선진입을 선호하는 설다비의 특성과 맞물려서 아드리아나의 첫번째 궁으로 적 원딜의 체력과 방어력을 깎아놓고, 이를 포착하고 들어오는 설다비의 퀘이크+도발에 맞춰 날라가는 두번째 궁극기로 적의 원딜을 삭제하고 시작하는 교전을 자주보여주었다. 이런 점 때문에 종있종 조합에서는 설다비가 주로 탱커 역할을 맡았다.
결론적으로, 탱글다비는 아드리아나를 중심으로 하는 2원딜 조합을 주로 기용하면서 지역 점거와 포킹에 능하다는 아드리아나의 장점을 바탕으로 나름의 성과를 내기도 했지만, 아드리아나의 단점인 지속딜 싸움에서 약하다는 점이 평원딜 전문 선수가 부족하다는 문제와 겹쳐 고점보다는 저점을 더 많이 보여주었고, 결국 더 높은 곳으로 올라가지는 못했다.
이후, 조합과 교전에서의 근본적인 한계는 물론 오더도 완전히 통일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노출되면서 탱글다비는 리빌딩을 선택하게 되었다.
3.1. TangleDabiX - New Rise Gangwon
[대전 수문장], 아드리아나를 버리고 새로운 기반을 다지는 중
사실 탱글다비X로 리빌딩 한 이후에도 초반에는 똑같은 조합을 들고 대회에 나섰었다. 조합의 한계를 몰라서가 아니라, 조합을 찾고는 있긴 하지만 마땅한 조합을 찾지 못하다가 결국 대회에서는 소위 말하는 탱글다비 클래식 조합으로 회귀해버리는 것.[6]다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조합의 다양성이 늘어나고 있다. 가장 고무적인 것은 리우리의 아드리아나가 무조건 나와야했던 과거에서 탈피해 아드리아나가 나오지 않아도 되는 조합을 찾아냈다는 것. 여기에는 무엇보다도 리우리 본인의 스증딜러 실험체 폭이 넓어진 것이 큰 영향을 끼쳤다. 이로 인해 대회에 가면 아드리아나의 파트너로 칼라/나딘만 기용하던 피닉스박도 더 다양한 실험체를 기용할 수 있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조합의 다양성이 크게 늘어나는 결과로 이어졌다.
- 팀 포지션
- 리우리 : 스증원딜 - 아드리아나, 헤이즈, 시셀라, 셀린, 바냐
- 피닉스박 : 평원딜, 스증원딜 - 나딘, 칼라, 아르다, 카티야
- 노던알 : 탱커 - 마커스, 마이, 알론소, 일레븐, 에스텔
- 인세인 : 올라운더 - 나딘, 레녹스, 하트, 수아, 리오, 다르코
시즌 5 LCQ를 마지막으로 시즌 6은 피닉스박의 부재로 인해 종없종 기간을 길게 가질수밖에 없었는데, 이런 종우의 빈자리를 메꾸기 위해 상대적으로 다양한 포지션으로 뛸 수 있는 인세인을 피닉스박 포지션인 평원딜 포지션으로 잡고 나딘/리오/하트 등을 기용하며 조합을 가꿔나갔다. 메인 오더가 탄탄한 노던알과 호소력 있는 콜과 공격성을 보여주는 인세인, 여전히 팀의 중심이자 위험한 포지셔닝으로 아군의 딜각을 열어주는 리우리를 통해 탱글다비X는 리빌딩 이전 본선 진출조차 걱정하던 팀에서 이른바 [대전 수문장]으로 자리잡게 되었다.[7]
아드리아나 조합으로부터의 탈피가 확정된 것은 소위 말하는 대전행 이후, 즉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파이널 1일차 준결승전을 치루고 나서야 확정되었다. 조합 특성상 평원딜 포지션이 과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드리아나를 유기하기로 한것. 아드리아나의 문제점 자체는 이전부터 인식하고 있긴 했지만, 그렇다고 아드리아나를 버리기에는 리우리의 숙련도가 너무 높았을 뿐더러 아드리아나를 대체할 조합을 찾지 못하다보니 울며 겨자먹기로 아드리아나 조합을 놓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시즌 6을 거치면서, 특히 슈퍼컵을 통해서 아드리아나 없는 조합의 가능성을 확인한 것은 물론, 그동안 쌓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아드리아나 조합이 대회에서는 명확한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마침내 아드리아나를 놓아줄 수 있었다. 실제로 시즌 7부터는 아드리아나를 거의 기용하지 않고 있는데, 가끔 아드리아나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거나 다른 팀에서 아드리아나를 기용하는 것을 보면 팀원들이 입모아서 빨간 머리 혐오를 보여주는 것이 백미.
신규 메인 조합 | ||
| | |
마커스(NoDunAl) | 유스티나(RIOORI) | 카티야(phoenixpark/insane) |
신규 서브 조합 | ||
| | |
레녹스(insane) | 시셀라(RIOORI) | 칼라(phoenixpark) |
아드리아나를 기용하지 않는 조합으로는 현재 '마유카', '레셀칼' 조합을 주로 기용하고 있다.
레셀칼 조합은 비교적 일찍 발견했는데, 시셀라가 사이드 포지션에서 아드처럼 적을 교란하면서 그랩으로 적을 잡아 쉽게 포커싱할 수 있게 만들고, 레녹스로 라인 유지 및 그랩을 이용한 적 진형 붕괴를 일으키며, 칼라가 위험하면서도 도발적인 라인을 넘나들며 적을 포커싱해 강력한 딜링을 하는 조합이다. 팔이 긴 시셀라가 아드와 비슷한 플레이가 가능해서 포지션도 익숙하게 설 수있고 인세인의 레녹스 역시 상당히 숙련도가 높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근딜 실험체가 많이 나왔던 시즌 6 슈퍼컵 메타에서 근딜 실험체를 카운터치는 조합 구성이면서도 원딜 상대로도 그랩을 중심으로 어느정도 변수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장점을 바탕으로 좋은 성과를 냈고, 이후에도 주력 조합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레셀칼 조합은 결국 원거리를 시셀라 하나에 의존해서 2원딜 조합에게는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약점이 있고, 따라서 2원딜 조합이 많은 마스터즈에서는 상대적으로 기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 내셔널을 목표로 하는 탱글다비 입장에서는 2픽캡룰을 위해 조합을 최소 3개를 준비해야 했다.
그렇게 고민하던 중 찾아낸 조합이 바로 마유카 조합이다. 시즌 6 파이널에서 오토암즈가 처음 선보여서 화제가 되었던 조합으로, 마침 원래 마커스를 잘 다루던 노던알, 유스티나가 처음 나온 이후로 꾸준하게 연습해오던 리우리가 있었기에 쉽게 도입해올 수 있었다. 마유카 조합의 제일 큰 장점은 아드리아나 조합의 제일 큰 단점이었던 평원딜 포지션의 과부하가 사라졌다는 점과 메인 오더를 당담하는 노던알을 탱커로 쓸 수 있다는 점이다. 숙련도가 뛰어난 마커스가 탱킹과 이니시는 물론 지속딜 보충까지 다재다능한 역할을 수행해주고, 유스티나의 높은 딜링 능력과 카이팅 능력, 카티야의 높은 화력과 긴 사거리의 견제 능력으로 각자의 포지션이 확고하고 서로 간의 장점이 시너지가 되는 조합이다.
뉴 라이즈 강원으로 이름을 바꾼 시즌 7시점에서는 마유카, 레셀칼의 새로운 조합은 물론 빈도는 떨어졌지만 클래식 조합인 아드-마이-나딘 조합을 주력 조합으로 기용하고 있고, 그 외의 조합도 연구중이기는 하나 아직은 실험 단계에 그치고 있는 중이다.[8] 내셔널에 합격하면서 2픽캡룰에 따라 최소 3개의 조합을 준비해야 하게 된 만큼, 앞으로 탱글다비X, 아니 뉴 라이즈 강원이 어떤 조합을 선보이게 될지 기대되는 부분.
시즌 7 페이즈 1 시점에서는 새로운 조합[9]을 준비했지만, 실전에서 꺼내들지는 않았다.
4. 성적
4.1. TangleDabi
TangleDabi | |||||
기간 | 날짜 | 순위 | 대회 | 획득 상금 | |
2024 시즌 | 2024년 6월 27일 | 7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4 페이즈 1 예선 그룹 A | - | |
2024년 7월 5일 | 8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4 페이즈 2 본선 그룹 B | - | ||
2024년 7월 20일 | 5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4 와일드카드 | - | ||
2024년 10월 6일 | 3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5 페이즈 1 예선 그룹 A | - | ||
2024년 10월 20일 | 5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5 페이즈 2 예선 그룹 D | - | ||
2024년 11월 9일 | 8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5 페이즈 3 와일드카드 | - |
4.2. TangleDabiX
TangleDabiX | |||||
기간 | 날짜 | 순위 | 대회 | 획득 상금 | |
2024 시즌 | 2024년 11월 24일 | 5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5 LCQ | - | |
2025 시즌 | 2025년 1월 18일 | 5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페이즈 1 녹아웃 6 | ₩200,000 | |
2025년 2월 8일 | 8위 | 이터널 리턴 슈퍼컵 준결승전 | ₩300,000 | ||
2025년 3월 1일 | 5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5 페이즈 2 녹아웃 6 | ₩200,000 | ||
2025년 3월 21일 | 7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준결승전 | ₩500,000 |
4.3. New Rise Gangwon
| |||||
기간 | 날짜 | 순위 | 대회 | 획득 상금 | |
2025 시즌 | 2025년 4월 20일 | 7위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7 페이즈 1 녹아웃 스테이지 1 | - |
5. 구성원
5.1. 로스터 연혁
로스터 연혁 | ||||||
<rowcolor=#012063> ID | 이름 | 이전 소속 | 입단 | 탈퇴 | 이적 | |
phoenixpark | 박종우 | N/A | 2024년 05월 29일 | |||
RIOORI | 오승표 | Shark | ||||
SeolDaBi | 김승진 | HOSADAN | 2024년 11월 11일 | AVENGERS | ||
Glove | 양준원 | Carpe Diem | Revenge | |||
NoDunAl | TEAM WHITE | 2024년 11월 13일 | ||||
insane | 정예종 | RedGoldMango |
6. 여담
- 리빌딩을 통하여 원년 멤버였던 설다비와 글러브를 떠나 보냈지만, 피닉스박 특유의 사람 냄새, 치킨 기프티콘 등의 복지 덕분에 전멤버들도 현멤버들의 피드백, 조합 구상에 도움을 주고 있다.
- 팀 내부 인원끼리 사이도 좋아서 종종 설다비, 글러브, 리우리, 인세인 넷이서 종겜 합방을 하기도 한다.
- NRG 디스코드에서 모스트 실험체를 어떻게 시작했냐는 질문에 세명 모두의 성격이 잘 드러난 답변이 나왔다. 인세인은 정석적인 답변을, 리우리는 똥캐 똥믈리에가 되어보자는 포부를 가졌었다는 유머러스한 답변을 했는데, 노던알은 "이거 보고요."라 짤막하게 말하며 움짤 하나를 던졌다.[10]
7.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1c1d1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내셔널 리그 참가팀 | ||||||
| | | | ||||
Gyeonggi Innate | FN SEJONG | Seongnam ROX | Busan BeSPA | ||||
| | | | ||||
JECHEON CYBERS | GJ Slasher | all ways INCHEON | CNJ Esports | ||||
| | | | ||||
Gyeongnam Sparkle Esports | DaeJeon AutoArms | New Rise Gangwon | Daegu Guardians | ||||
그 외 연고지를 두고 있는 팀[1] | |||||||
| | ||||||
Yangju Whales | AFFIRMATION | ||||||
문서가 존재하는 아마추어 팀 | |||||||
Insighter | |||||||
활동 중단 및 해체 | |||||||
<rowcolor=#000,#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BNK FEARX | Cartel | TAP3 | HOSADAN | |||
Carpe Diem |
|
[1] 좌측부터 피닉스박, 글러브, 노던알, 인세인, 리우리, 설다비.[2] 글러브와 설다비는 현재 각각 Team Spica, RabbitApple 소속.[3] 바냐와 나타폰도 다룰줄 알았지만, 두 실험체 다 실험체 자체의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대회에서 기피되다 보니 대회에서는 주로 아드리아나를 기용했다.[4] 사실상 짬통 포지션이나 다름 없었는데, 원래 그 실험체를 잘해서 하는게 아니라 조합상 그 실험체가 반드시 필요했기 때문에 하던 것이기 때문. 자신이 좋아하는 레니는 물론 필요하다면 아르다, 비앙카마저 깎았었다.[5] 당시에는 투척 미스릴 무기인 아스트라페가 나오기 전이라 아드리아나와 최고의 시너지를 자랑하는 영혼 수확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사실상 체이서-새벽이 강제됐다.[6] 이 때문에 아드리아나 조합은 탱글다비의 1초식이고, 결국 탱글다비는 무슨 수를 써도 돌고 돌아 1초식으로 돌아가게 되어있다는 말이 나왔다. 그 빨간 머리라는 멸칭이 붙은 아드리아나는 덤.[7] 특히 시즌 6에는 페이즈 1, 페이즈 2 모두 최종 9위를 기록하면서 결승 커트라인 그 자체로 자리잡는 모습을 보여주었다.[8] 대표적인 예시로, 피닉스박이 제안했던 레니를 기용하는 조합이나, 2근딜 + 아드리아나 조합이 있다. 이중 후자의 조합은 실제로 JWDC 인비테이셔널에서 성남 락스가 알렉스 + 에이든 + 아드 조합으로 선보인 적이 있긴 하다.[9] 마이, 헤이즈, 리오[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