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22:24:46

ROX ESPORTS/이터널 리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ROX ESPORTS|ROX ESPORTS]]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ROX ESPORTS/이터널 리턴/2025 시즌]]{{{#!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7 != null
, [[]]}}}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fcfbfc> 파일:er 내셔널리그 임시 로고.pngERNL
참가팀
}}}'''
'''{{{#!wiki style="color: #05061a; margin:0px -10px -5px"
{{{#05061a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er 경기 이네이트 로고(1).png파일:경기 이네이트 로고 화이트.png 파일:FN esports.png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파일:2025BusanBeSPA.png
Gyeonggi Innate FN SEJONG Seongnam ROX Busan BeSPA
파일:DJC_logo1.png 파일:GJ Slasher 로고.png파일:GJ Slasher 로고 화이트.png 파일:인천 브랜드슬로건 상하조합형(태그).png 파일:CNJ_logo.png
JECHEON CYBERS GJ Slasher All ways Incheon CNJ Esports
파일:스파클로고.png파일:경남 스파클 이스포츠 화이트.png 파일:대전 오토암즈 로고(1).png파일:대전 오토암즈 로고(1) 화이트.png 파일:뉴라이즈강원블랙로고.png파일:뉴라이즈강원화이트로고.png 파일:대구 가디언즈 로고임시.png
Gyeongnam Sparkle Esports DaeJeon AutoArms New Rise Gangwon Daegu Guardians
}}}}}}}}}}}}''' ||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PUBG_Mobile_Simple_logo_white_TM.png Seongnam ROX
파일:Eternal_Return_Logo_Short_White.png Seongnam ROX
}}}}}}}}} ||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colbgcolor=#ef0d4d><colcolor=#fff> 성남 락스
Seongnam ROX
창단 2024년 6월 20일
연고지 성남시
소속 리그 ERNL
팀명 Seongnam ROX(2024.6 ~)
모기업 (주)락스이스포츠
대표 김윤중
약칭 ROX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f0d4d><colcolor=#FFF> ACTIV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종호
Curr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준영
Sate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우
HyangG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태희
Belzer
}}} }}}}}}}}}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 개요2. 스폰서3. 역대 시즌4. 플레이 스타일
4.1. ~ 시즌 64.2. 시즌 7
5. 현 멤버
5.1. Belzer(벨져, 윤태희)5.2. HyangGi(향기, 김지우)5.3. Saten(사텐, 변준영)5.4. Curry(커리, 박종호)
6. 구성원
6.1. 로스터 연혁
7. 성적8. 여담9. 둘러보기

1. 개요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파일:ER 성남 ROX 로스터(1).png
#ROXWIN
ROX ESPORTS 소속 이터널 리턴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ROX.

2024년 6월 20일 StrikeDD0 김하영, HyangGi 김지우, BoBmalsa 심민성, Seogunam 문준호를 영입하여 로스터를 확정 지었다.#

2. 스폰서

파일:CNCITY esports_logo.png 파일:성남시 CI.svg 파일:stump_logo.png
CNCITY eSports 성남시연고지 Stump

3. 역대 시즌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Seongnam ROX
성남 락스

4. 플레이 스타일

4.1. ~ 시즌 6

박치기 중심의 강력한 교전 능력을 강점으로 하는 팀.

시즌 6가 종료 된 시점에서 락스의 가장 큰 특징은 아르다나 카밀로를 기용하는 조합 정도를 제외하면 도주나 추노 능력이 빈약한 대신, 조합 자체의 체급이 높은 조합을 선호한다는 것. 이로 인해 잘 풀리는 날에는 눈에 보이는 팀을 닥치는 대로 밀어버리는 파괴전차 같은 모습을 보이지만, 안 풀리는 날에는 교전은 교전대로 안되는데, 사출방지도 안되서 쫄딱 망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1]

박치기 위주의 교전과 강력한 체급을 토대로 게임을 하는 팀 컬러 때문에 소위 말하는 '킬 트럭을 모는' 운영을 할 것 같지만, 1~2일차까진 스플릿에 집중하며 3일차가 지나면 외곽을 돌며 철저히 성장에 집중하여 그걸 바탕으로 다른 팀을 밀어내는 경향이 있다.
Strike의 태동기부터 최후까지 함께한, 일명 스트라이크 클래식
파일:쇼우 상반.png or 파일:마이 상반.png 파일:윌리엄 상반.png 파일:버니스 상반.png
쇼우(BoBmalsa)/마이(Seogunam) 윌리엄(DD0) 버니스(HyangGi)
일명 '스트라이크 클래식' 이라고 불리우는 팀의 대표 조합인 윌리엄-버니스-쇼우의 면면들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앞라인은 물론이고 원딜도 교전 사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거나 적진에 파고드는 플레이가 강력한 실험체를 선호하고 잘 다룬다.

하지만 클래식 조합이 각 실험체들의 너프로 인해 전성기의 위력을 보여주지 못하게 된 이후로 이를 대체할 만한 마땅한 조합을 찾지 못하고 있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새롭게 영입한 서그남 선수의 다양한 스증 원딜을 기용해보기도 했지만 시즌 4 내내 대체자를 찾지 못했고, 이는 마스터즈에서의 부진으로 이어졌다.

대표 조합 이외에도 선수들의 실험체 폭, 특히 향기 선수의 다재다능한 실험체 폭을 바탕으로 하는 다양한 조합을 기용하고 성과를 내는 것도 특징. 이러한 다양한 조합을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을 바탕으로 2캡룰인 내셔널 리그에 빠르게 적응하고 호성적을 내고 있다.
시즌4 후반부터 메인으로 자리 잡은 테오도르 조합
파일:알론소 상반.png 파일:테오도르 상반.png 파일:버니스 상반.pngor파일:바바라 상반.png
알론소(BoBmalsa) 테오도르(Seogunam) 버니스/바바라(HyangGi)
시즌 5에 들어서는 스증 원딜 조합에 적응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알론소+테오도르 조합을 필두로 다양한 조합을 선보이며 활약하고 있다.

서그남을 기용할때는 주로 스증 원딜 조합, 둔둔빵을 기용할때는 평타 원딜 조합이라는 공식이 완성, 거기에 투원딜 메타에서는 밥말사의 탱킹 아래에서 두 선수가 함께 공존하거나 향기의 버니스가 함께하는 모습도 보이면서 스트라이크 조합에서 벗어나지 못하던 과거를 완벽하게 씻어냈다.

4.2. 시즌 7

팀 자체로 영입한 Saber(세이버)가 워냑 1탱 2원딜 조합을 서커스처럼 하던 팀이어서 그런지, 여러 조합이 나오고 있다. 특히 세이버 당시 자주 사용했던 '혜진 + 리오 + 유키' 조합을 포함해 이리저리 해체분석하는 모습이다.

그 안에 락스의 원년멤버, 향기가 있다보니 다재다능한 실험체 폭을 바탕으로 세이버를 락스에 맞게 재구축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로 인해 나온 조합이 많아 보인다.
락스에서 재탄생한 세이버 클래식
파일:리오 상반.png 파일:혜진 상반.png 파일:에스텔 상반.png
리오(Curry) 혜진(Saten) 에스텔(HyangGi)
원래 에스텔에 일가견이 있던 향기 선수를 탱커로 쓰고 세이버의 사텐, 커리를 내세운 세이버식 조합. 기존의 조합에선 벨져의 유키가 1선을 맡았지만 유키의 리워크로 1선으로 단독 운용하기엔 꽤나 무리가 생겨 현재의 조합으로 재탄생하였다.
신규 서브 조합
파일:카티야 상반.png 파일:유스티나 상반.png 파일:마커스 상반.png
카티야(Curry) 유스티나(Saten) 마커스(Belzer)
모좀 선수가 잠깐 오토암즈의 코치로 있을 때, 발견해낸 신 조합. 범용성이 매우 좋고 안정성이 높아 다른 팀에서도 메인/서브 조합으로 연구중에 있는 조합이다. 스크림에서 실험 중인것으로 보이며 유키가 브루저로 변해버려 사용할 수 없게 된 세이버 선수들에게 새로운 조합으로서 내셔널 리그에서의 서브로 사용 될 것으로 추정된다.
새로이 연구중인 2근딜+아드리아나
파일:아드리아나 상반.png 파일:알렉스 상반.png 파일:에이든 상반.png or 파일:피올로 상반.png
아드리아나(Saten) 알렉스(Belzer) 에이든/피올로(HyangGi)
뉴 라이즈 강원도 고민했던 2근딜 아드리아나 조합. 원래부터 유키/마커스 같은 탱커 이외에도 알렉스와 같은 근접 딜러에 자신 있어하던 벨져와 향기의 넓은 험체폭을 살리는 매우 인상 깊은 조합.

5. 현 멤버

5.1. Belzer(벨져, 윤태희)

파일:dak.er.png벨져
파일:치지직 아이콘.svg벨져

’벨버지‘라는 별명이 유명한 벨져 선수. 주로 팀에서 탱커 역할을 맡고 있으며 주력 픽은 유키, 그 중에서도 금강 퀘이크를 기용하는 탱커 유키를 주로 기용한다.
과거 대회 도중 벨져의 포스 코어 주문으로 해설진들이 ‘유령 신부의 드레스’를 제작할지, ‘미니어쳐솔라시스템’을 제작할지 기대하는 장면에서, 전설 아이템이 없던 벨져 선수가 그 포스 코어를 당시 4전설 리오를 플레이하던 커리 선수에게 넘겨주는 모습이[2] 그대로 드러나게 되어 ‘딸들의 성장을 위해 본인의 성장을 포기하는’ 아버지 같은 밈이 붙어 그때부터 ‘벨버지’ 라는 별명이 붙었다.
기존 3인체제에서 워낙 커리 사텐의 퍼포먼스가 크다보니 주로 앞라인에서 버텨주는 픽을 기용했었는데, 같은 팀의 향기 선수가 버니스뿐만이 아닌 올라운더인 만큼 벨져 선수의 브루저 픽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시즌 7 패치로 유키가 탱커로 기용하기에는 부적절하게 되어, 향후 어떤 픽으로 등장할지 많은 팬들이 기대중이다.

5.2. HyangGi(향기, 김지우)

얼리액세스 마스터즈 솔로 Jun 3등
영상

시즌1 마스터즈 파이널 12등
영상

시즌3 마스터즈 파이널 7등
영상

파일:dak.er.png하늘의향기
파일:치지직 아이콘.svg하늘의향기

버니스, 아르다, 프리야, 바바라, 에스텔 등 다양한 실험체폭을 기반으로 주로 서브 딜러 역할을 맡고 있는 선수.
이터널 리턴에서 보기드문 여러 포지션을 소화해낼 수 있는, 다재다능하다고 평가받는 선수 중 하나이다.

5.3. Saten(사텐, 변준영)

파일:dak.er.png사텐[3]
파일:치지직 아이콘.svg사텐99

솔로 시절부터 혜진 장인으로 유명했던 선수. 혜진을 정말 수준급으로 다루며, 대회에서는 타 스증 원딜도 능숙하게 다루는 모습을 보인다.

혜진 외에도 아드리아나, 셀린 등 높은 고점을 보이는 스증 실험체들이 주류 픽이며 후반만 가면 미칠듯한 캐리력으로 팀을 승리로 이끄는 데에 크게 공헌한다.

5.4. Curry(커리, 박종호)

파일:dak.er.png커리
파일:치지직 아이콘.svg물총맨2

이터널 리턴 3대 평원딜로 불릴 만큼 뛰어난 원딜 피지컬을 보유한 선수. 시그니처 픽은 리오이며 타 평원딜 실험체들도 수준급으로 다룰 수 있다.

뛰어난 피지컬 덕분에 랭킹 사이트 순위표를 보면 항상 최상위권에 위치해 있으며, 그의 플레이를 보면 사소한 디테일이나 카이팅 등 뛰어난 피지컬이 동반되어 템을 양보받았을 때 중반부터 폭발적인 퍼포먼스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특이하게 그의 치지직 닉네임이 커리가 아니라 물총맨2이다. 물총맨을 언급한다면 대개 이 사람이다.

==# 전 멤버 #==
===# DD0(둔둔빵, 김하영) #===
윌리엄 장인으로 유명한 Strike에서부터 팀의 메인 딜러를 맡아온 원거리 딜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하영(프로게이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하영(프로게이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하영(프로게이머)#|]][[김하영(프로게이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BoBmalsa(밥말사, 심민성) #===
Strike 시절부터 팀의 1선을 책임지던 선수였으나 시즌 6 종료 후 내셔널 잠정 은퇴를 선언했다가 번복 후 Busan BeSPA로 이적하였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심민성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심민성#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심민성#|]][[심민성#|]]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Seogunam(서그남, 문준호) #===
Strike가 성남 ROX로 개편되며 팀에 스증 딜러가 필요해 새로이 합류하여 군 입대 전까지 활약해주었던 선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준호(프로게이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문준호(프로게이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문준호(프로게이머)#|]][[문준호(프로게이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구성원

6.1. 로스터 연혁

||<-6><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ef0d4d><bgcolor=#ef0d4d> 로스터 연혁 ||
<rowcolor=#fff> ID 이름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HyangGi 김지우 Strike 2024년 6월 20일
DD0 김하영 2025년 3월 9일 은퇴[4]
BoBmalsa 심민성 부산 BeSPA
Seogunam 문준호 blue period Tricker
Belzer 윤태희 Saber 2025년 4월 3일
Saten 변준영
Curry 박종호

7. 성적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날짜 순위 대회 획득 상금

8. 여담

시즌 6 종료 이후, HyangGi 선수를 제외한 타 선수들이 모두 개인 사정으로 팀을 나가게 되어[5] HyangGi 선수를 중심으로 팀이 리빌딩되었는데, 이전까지 Saber 소속이었던 3인 전원이 성남 Rox 소속으로 입단하게 되었다. 과거부터 호흡을 맞춰온 맴버들을 영입한 만큼 리빌딩의 부직용이 상당수 덜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9. 둘러보기

'''
파일:이터널 리턴 로고.png파일:이터널 리턴 로고 블랙.png
게임단 목록
'''
{{{#!wiki style="margin:0 -10px"
{{{#1c1d1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내셔널 리그 참가팀
파일:er 경기 이네이트 로고(1).png파일:경기 이네이트 로고 화이트.png 파일:FN esports.png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파일:2025BusanBeSPA.png파일:Busan BeSPA 화이트.png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Gyeonggi Innate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FN SEJONG
파일:성남시 CI_White.svg
Seongnam ROX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Busan BeSPA
파일:DJC_logo1.png 파일:GJ Slasher 로고.png파일:GJ Slasher 로고 화이트.png 파일:인천 브랜드슬로건 상하조합형(태그).png파일:all ways incheon 화이트.png 파일:CNJ_logo.png파일:CNJ_logo_white.png
파일:제천시 CI_White.svg
JECHEON CYBERS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GJ Slasher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All ways Incheon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CNJ Esports
파일:스파클로고.png파일:경남 스파클 이스포츠 화이트.png 파일:대전 오토암즈.png파일:대전 오토암즈 화이트.png 파일:뉴라이즈강원블랙로고.png파일:뉴라이즈강원화이트로고.png 파일:대구 가디언즈 로고임시.png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Gyeongnam Sparkle Esports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DaeJeon AutoArms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New Rise Gangwon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Daegu Guardians
그 외 연고지를 두고 있는 팀[1]
파일:YangjuWhalesLogo.png 파일:어퍼메이션 로고.png
파일:양주시 CI_White.svg
Yangju Whales
파일:고양특례시 로고 화이트.svg
AFFIRMATION
문서가 존재하는 아마추어 팀
Insighter
활동 중단 및 해체
<rowcolor=#000,#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BNK FEARX Cartel TAP3 HOSADAN
Carpe Diem
}}} ||}}}}}}}}}}}}}}} ||
상세정보 [ 펼치기 · 접기 ]

[1] 연고지를 두고 있으나 2025 내셔널 리그 심사에서 떨어졌거나, 참가하지 않는 팀

[1] 다만 슈퍼컵 1차전은 극단적인 케이스이기도 하다는 점을 유의하자.[2] 그 포스코어는 커리 선수의 레이더가 되었다고..[3] 인게임에서 영어로 Saten이란 닉네임을 쓰는 유저는 부계정도 아닌 아예다른 사람이다.[4] 현생으로 인한 은퇴라고 적혀있지만, 현재 CNJ의 입단 테스트를 보고 있는 중이다.[5] BoBmalSa 선수는 busan Bespa로의 팀 이적, DD0 선수는 개인 스케줄, Seogunam 선수는 군대 문제로 팀을 나가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