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22:15:51

Insighter


파일:인사이터 로고.png
<colbgcolor=#FFFFFF><colcolor=#000> 인사이터
Insighter
창단 2025년 1월 19일
팀명 Insighter(2025. 01. 19 ~)
팀장
Yeona
매니저 [[이승수(이터널 리턴)|이승수
Mangnani
]][1]
약칭 IS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우승 기록
ERM SF
(1회)
시즌 6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fff> ACTIVE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Yeo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병식29|박병식[2]
Byung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iko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수(이터널 리턴)|이승수
Mangnani
]]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 개요2. 상세3. 스폰서 4. 역사 및 역대 시즌
4.1. 2025 시즌
5. 플레이 스타일6. 성적7. 구성원
7.1. 로스터 연혁
8. 여담9. 둘러보기


1. 개요

내셔널 리그의 팀을 목적으로 설립된 이터널 리턴 아마추어 게임단. 팀 약자는 IS.

2. 상세

대전 사이버즈(現 제천 사이버즈)에 소속되었던 프로게이머, 아기망나니가 모종의 이유[3]로 팀을 탈퇴한 뒤, 꾸리고 싶은 드림팀으로 창설한 이터널 리턴의 아마추어 팀이다.

이터널 리턴의 터줏대감이자 아이돌로 유명한 박병식 선수를 영입하는데 성공해 엄청난 주목도를 끌었다. 그외, Freyja에서 지략의 모좀과 합을 맞춰본 적이 있는 여나 선수, 2025년 기준으로 18세이자 Scarlett 선수의 동생으로도 유명한 고통의삶[4] 선수를 영입했다.

여담으로 마스터즈 시즌 6을 마치고 여나 선수와 고통의삶 선수가 팀을 탈퇴할 생각을 했으나, 이야기를 나눈 끝에 인사이터에 남아있겠다는 결정을 내렸다.

3. 스폰서[5]

4. 역사 및 역대 시즌

4.1. 2025 시즌

  •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 6
    {{{#!folding ▼ 경기 내용 요약 펼치기 / 접기

    • 페이즈 1 진행 도중에 창단되었기에 쌓아둔 서킷 포인트가 부족해 높은 확률로 LCQ 진출이 확정된 상황이었다.
    • 페이즈 2에서 첫 출전해 예선을 간단하게 돌파, 배치고사에서 녹아웃 4에 진출해 저력을 보여줬다. 이후, 녹아웃 6까지 진출해 분전했지만 탈락. 첫 진출에 서킷 포인트 180점을 획득했지만 페이즈 1의 포인트가 없어 LCQ 진출이 확정되었다.
    • LCQ 오픈 슬롯부터 시작해 차근차근 진출에 성공하면서 LCQ 본선까지 진출하는데 성공. 여기서 단 2팀만 진출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인사이터는 놀랍게도 1위로 마무리, 파이널에 진출하는데 성공한다.
    • 마스티즈 시즌 6 파이널
      • 준결승전 - 준결승전인 만큼 강한 모습을 보여준 팀밖에 없었음에도 당당하게 대부분의 팀을 니델라+수아 조합으로 박살내면서 1위로 결승전에 진출하는데 성공한다.
      • 결승전 - 준결승전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여준 니델라 조합으로 끝까지 결승전의 문을 두드렸지만, 아쉽게 7위로 마감했다.
    • 신생 팀인데도 불구하고 대전 진출에 이어 【시드】까지 획득하는데 성공해 신생 팀치곤 상당히 고무적인 성과를 이뤄냈다.
}}}

  • 시드 획득을 통해 예선전을 치루지 않아도 되는 편안함을 누리고 있다.
  • 페이즈 1 배치고사에서 좋은 성적을 기대했지만, 의외로 부산, 인사이터, 강원이 나란히 678등을 해버렸고 새로 찾아낸 조합은 물론 기존의 니델라 조합까지 좋은 성적을 내진 못했다. 이로서 녹아웃 1부터 진출이 확정되었다.
  • 페이즈 1 녹아웃 스테이지 1에선 유명세 있는 조합인 〔마커스, 유스티나, 카티야〕를 들고 나서며 아기망나니/여나/고통의삶(시코) 멤버인 만큼, 그들의 특색에 맞는 포지션을 가지고 경기를 시작했다. 그러나 1라운드부터 3킬 7등으로 4점, 2라운드에선 망나니의 수아, 여나의 하트, 그들을 보조해줄 시코의 셀린 조합을 들고 나왔는데 이번엔 4킬 6등에 시코의 금지구역 사망으로 인해 -1점을 당해 5점을 얻어 2라운드에 9점밖에 얻지 못 하면서 사실상 녹아웃 1 탈락 팀으로 거의 점쳐지고 있었다.
  • 결국 3라운드에 아기망나니 선수 대신 병으로 교체해 원래 자신 있는 니델라를 들었고, 이전과는 다른 날카로운 경기력으로 3~4라운드 전체를 1등으로 이겨내고 단숨에 순위표를 역전시켜 2등으로 녹아웃 2에 진줄했다. 그리고 녹아웃 2에서도 어김없이 니델라 조합으로 1-2-2-1위에 총점 88점을 기록하며 1위로 녹아웃 3에 진출에 성공하였다. 전체적으로 새로운 조합으로는 최악의 모습을 보여줬으나 니델라+수아 조합으로는 아델라를 잡은 시코와 수아를 잡은 여나가 이전의 날카로운 폼을 회복하면서 여전히 니델라 조합 하나만큼은 파워가 높지만 다른 조합 숙련도는 매우 아쉽다는 숙제를 만들었다.
}}}

  • 아기망나니 선수가 인사이터를 창단할 때부터 내셔널 리그를 지향하는 팀으로서 운영한다고 밝혔다.
  • 2025년에 새로 영입될 지자체는 고작 4곳이기에 경쟁이 굉장히 심화되어 있으며, 아기망나니 선수가 마스터즈 시즌 6을 포기할 정도로 분전했으나, 결국 지자체를 구하지 못하며 성사되지 못했다.[6]
}}}

5. 플레이 스타일

니델라 (니키+아델라)의 스페셜리스트 팀
인사이터가 처음 나왔을 때, 박병식 선수의 포지셔닝은 시즌 6의 피닉스박과 비슷한 마음 내킬때만 뛰는 구단주 포지션이 아닌가 싶었지만 예상을 깨고 메인 주전으로 출전해 엄청난 성과를 거두었다.

박병식 선수의 포지션이 브루저인 만큼, 원래부터 사용가능했던 니키와 시코 선수가 제일 잘 다루는 실험체 중 하나인 아델라를 조합해 니델라 조합을 완성시켰다. 니델라 조합 자체는 원래 gwork(곽정원) 선수가 애용했던 조합으로 특정 실험체를 순식간에 다운시켜버리는 극한의 하드 이니시에이팅 콤보 조합이다.[7]

그렇게 완성된 주 조합은 니키(Byung) - 아델라(Siko1) - 수아(Yeona/Mangnani).
인사이터 메인 조합
파일:니키 상반.png 파일:아델라 상반.png 파일:수아 상반.png
니키(Byung) 아델라(Siko1) 수아(Yeona/Mangnani)
특히 수아 포지션은 평원딜부터 브루저까지 다양한 실험체 조합을 꿰찰 수 있는 여나 주장과 수아 스페셜리스트인 아기망나니 선수가 역할을 번갈아가며 꿰차고 있다. 사실 박병식 선수도 수아를 기용한 적이 있고 원래부터 수아를 사용하기도 했으며, 여나가 니키를 기용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LCQ에서 박병식 선수가 니키를 사용하는 것으로 고정하고 여나 선수가 수아 혹은 평원딜을 기용하는 것으로 노선이 정해졌다.

주 싸움법은 콤보로 원딜 한명을 반강제적으로 눕힐 수 있는 아델라가 니키의 이니시/수아의 보호 아래 편안하게 딜각을 캐치하는 것으로 시코 선수의 번뜩임으로 가끔 보호없이 적 진형을 일망타진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원맨쇼 슈퍼플레이가 가능한 아델라를 더욱 안정적으로 굴릴 수 있게 서포팅해주는 조합인데 사실 아델라 중심 조합이지만 아이템 자체는 수아한테 몰아주는 경우가 많다.[8] 아델라가 끝을 못낸 상황이 오면 반대로 수아가 끝까지 쫒아가서 남은 적을 쓸어주는 것도 가능하다.

인사이터의 전매특허라면 바로 임시 금지구역이 끝나자마자 상대쪽으로 달려가서 먼저 선공하는 플레이에 굉장히 능하다. LCQ 결승 1라운드에서 최종 금지구역 선점을 포기하고 임시 금지구역에서 아이템을 만들고 있던 상대팀을 먼저 급습해서 잡아버리고, 이후에도 여러 번 성공하면서 인사이터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인사이터가 이 조합으로 이터널 리턴 마스터즈 시즌6 LCQ에서 우승해 파이널 진출을 하고, 준결승전에서도 1위로 마감하는 만큼 고무적인 성과를 이뤄냈지만 이럼에도 불구하고 파이널에선 먹히지 못해 7위로 마무리했다. 그래서인지 시즌 7에선 다른 조합도 함께 연구중에 있다.[9]

하지만 역시 파이널 2일차 진출을 성공한 조합이란 장점은 여전해 아직도 니델라 조합은 인사이터의 구원투수로서 제값을 톡톡히 치르고 있다. 실제로 시즌 7에서 연습하던 서브 조합의 성적이 전부 좋지 않자, 다시 니델라를 꺼내들었는데 꺼내들자마자 녹아웃 1 탈락 예정팀에서 녹아웃 3 진출까지 이뤄냈다.[10]

6. 성적

파일:인사이터 로고.png
<rowcolor=#000> 날짜 순위 대회 상금
2025년 3월 1일 6위 Eternal Return Masters Season 6 Phase 2 ₩600,000
2025년 3월 22일 8위 Eternal Return Masters Season 6 Finals ₩1,000,000

7. 구성원

7.1. 로스터 연혁

로스터 연혁
<rowcolor=#ffffff> ID 이름 역할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Yeona 올라운더 Freyja 2025년 1월 19일
Mangnani 이승수 브루저 파일:대전사이버즈 로고(2).png DAEJEON CYBERS
Byung 박병식 브루저
Siko1 스킬 딜러 Non Responsible

8. 여담

  • 창설하게 된 계기가 놀랍게도 아기망나니와 대전 사이버즈(現 제천 사이버즈) 간에 벌여진 계약서 미체결 사태로 인해서다. 비록 불미스러운 일이 계기가 되었음에도 인사이터는 순식간에 인기 아마추어 팀으로 거듭났다.
  • 더불어 이터널 리턴의 아이돌로 불리우는 박병식 선수가 최초로 대회에 모습을 드러낸 계기가 된 팀이기도 하다. 아기망나니에 의하면 박병식의 방송을 보며 아직 본실력을 드러내지 않았다며 예능인 전형이 아닌 선수로서의 스카웃을 하고 싶었다고 전했다.
  • 마스터즈 시즌 6 준결승전 우승 팀 인터뷰에서 박병식 선수의 시그니쳐 후원 리액션인 읶자![11]를 외쳐 팬들의 뜨거운 환호를 받았다.
  • 박병식 선수의 팬덤이 많아서 그런지 디스코드에 [박병식-그리움호소방]이 존재한다. 이 방에서 팬들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곤 오로지 박병식을 애타게 부르는 것밖에 없다.(...)
  • 창설된지 얼마 안 된 팀이지만 유독 대회에서 극한상황이 많이 나왔다. 시즌6 페이즈2 예선에선 2라운드 6점을 기록하고 남은 2라운드에서 연속 1등을 기록하며 간신히 진출했고 녹아웃 스테이지 5에서도 3라운드 동안 15점 6등인 상황에서 4라운드 막금구 2대3 승리를 하며 간신히 올라간다던가, LCQ 예선 파이널에서도 3라운드동안 19점 6등이었는데 마지막 금지구역에서 승리해야 진출하는 상황에서 승리하여 LCQ 결승에 진출했고 시즌이 바뀐 시즌7에서도 녹아웃 스테이지 1에서 2라운드 9점을 기록하고 탈락 직전까지 몰렸다가 연속 1등을 기록하며 진출하기도 했다.

9. 둘러보기

'''
파일:이터널 리턴 로고.png파일:이터널 리턴 로고 블랙.png
게임단 목록
'''
{{{#!wiki style="margin:0 -10px"
{{{#1c1d1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 구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1932;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내셔널 리그 참가팀
파일:경기도 휘장.svg | 파일:er 경기 이네이트 로고(1).png파일:경기 이네이트 로고 화이트.png
경기 Innate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svg | 파일:FN esports.png
특별시
FN 세종
파일:성남시 CI.svg |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성남 ROX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 파일:2025BusanBeSPA.png
광역시
부산 BeSPA
파일:제천시 CI.svg | 파일:DJC_logo1.png
제천 CYBERS
파일:충청남도 휘장.svg | 파일:CNJ_logo.png파일:CNJ_logo_white.png
충남 JUEGO Esports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 | 파일:GJ Slasher 로고.png파일:GJ Slasher 로고 화이트.png
광역시
광주 Slasher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 파일:인천 브랜드슬로건 상하조합형(태그).png
광역시
All ways 인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 파일:스파클로고.png파일:경남 스파클 이스포츠 화이트.png
경남 Sparkle Esports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svg | 파일:뉴라이즈강원블랙로고.png파일:뉴라이즈강원화이트로고.png
New Rise 강원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 파일:대구 가디언즈 로고임시.png
² 대구 Guardians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 파일:대전 오토암즈 로고(1).png파일:대전 오토암즈 로고(1) 화이트.png
광역시
대전 AutoArms
연고지를 두고 있는 팀 ¹
파일:양주시 CI.svg | 파일:YangjuWhalesLogo.png
양주 Whales
파일:고양시 CI.svg |파일:어퍼메이션 로고.png
고양 AFFIRMATION
문서가 존재하는 아마추어 팀
Insighter
활동 중단 및 해체
<rowcolor=#000,#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BNK FEARX Cartel TAP3 HOSADAN
Carpe Diem
}}} ||}}}}}}}}}}}}}}} ||
¹ 연고지를 두고 있는 팀은 2025년 내셔널 리그에 참가하지 않으며, 2026년에 16팀으로 증가할 때, 추가 신청할 수 있다.
² 팀명은 대구 가디언즈가 맞되, 신청을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역으로 신청했다.

[1] 본래 주 선수로 출전했으나, 인사이터의 내셔널 입단을 위해 매니저 역할을 도맡아 진행하느라 부득이하게 마스터즈 시즌 6을 벤치 멤버로서 지냈다.[2] 본명이 아니다[3] 여담 참조.[4] 인게임 닉네임. 다른 곳에선 '시코'란 닉네임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당장 선수 닉네임도 Siko1이다.[5] 본래 지자체를 전라남도로 구하고 있었느나 불발되었다고 한다.[6] 대전 등 다양한 곳에 접촉해봤으며, 이후 전라남도에 강한 어필을 하며 접촉했으나 결국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7] 이는 이터널 리턴 EA시절, 듀오 모드에 자주 보였던 '일레븐 + 자히르' 조합의 내용과 일맥상통한다.[8] 사실 이건 여나 선수가 혈무기 효율이 좋은 망치 수아를 기용하기 때문인데 아델라의 아이템이 적당히 뽑히기만 해도 니키+아델라의 콤보로 원콤이 가능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고 오히려 아델라의 콤보가 빗나가면 이후의 핵심은 수아의 지속딜이기 때문에 수아에게 아이템을 밀어주는 경우가 많이 나올 수 밖에 없다.[9] 현재까지 파악된 조합은 박병식 선수가 포함되지 않은 수아 + 유스티나 + 카티야다.[10] 심지어 녹아웃 1 1, 2라운드에 니델라를 꺼내기 전엔 연속 광탈에 킬 점수도 제대로 못먹어서 최하위였는데, 녹아웃 1 3, 4라운드에 꺼내자마자 2체크메이트로 순식간에 치고나갔고, 녹아웃 2 1, 4라운드 체크메이트에 2, 3라운드도 2등을 해서 무려 6라운드 연속 2등 이상을 했다.[11] 정확하겐 "이기자!"이며, 이기자 부대의 경례구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