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08:16:50

Carpe Diem/이터널 리턴

파일:ERLCRP.png
<colbgcolor=#000><colcolor=#fff> 카르페 디엠
Carpe Diem
창단 2022년 3월 28일
해체 2024년 8월 10일
팀명 Carpe Diem(2022.03.28 ~ 2024.07.26)
Carpe Diem(2024.05.30 ~ 2024. 08. 10)
주장 1대 : [[정진호(프로게이머)|정진호
JIN
]]
2대 : [[이동욱(프로게이머)|이동욱
LokeN
]]
약칭 CRP
해체 당시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ACTIVE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동욱(프로게이머)|이동욱
Loke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호성|류호성
Hoit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예종|정예종
insane
]]
}}}}}}}}}}}}
1. 개요2. 상세3. 동명이인의 Carpe Diem4. 역사 및 역대 시즌
4.1. 너구리의 이터널 리턴 도전기
4.1.1. Team Maru4.1.2. EP Nuguri
4.2. 해체 이후
5. 로스터 연혁6. 성적7. 여담8. 둘러보기


1. 개요

해체된 대한민국의 이터널 리턴 아마추어 게임단. 대표 팀 약자는 『CRP』.

카르페 디엠은 놀랍게도 동명이인 팀인데, 여기서의 카르페 디엠은 주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로컨의 카르페 디엠, 그리고 그 멤버였던 너구리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2. 상세

보통 이터널 리턴의 카르페 디엠은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들의 도전기, 로드 투 마스터즈와 함께 창단된 카르페 디엠 2기를 일컫는다. 물론 이름 자체는 2022년에 정진호와 함께 했던 카르페 디엠에서 그대로 가져와 재창단했다. 님블뉴런에서 진지하게 준비한 대형 컨텐츠 중 하나이며, 이들의 도전기와 함께 박종우TangleDabi 창단, 이호종HOSADAN 창단까지 더해 시즌 4는 前 프로게이머들이 도전하는 황금기 시대가 되었다.

피닉스박, 플레임, 로컨 등이 가꿔놓은 이터널 리턴 대회 입단의 길은 천천히 다른 프로게이머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3. 동명이인의 Carpe Diem

동명이인의 카르페 디엠은 〔Glove / 일블은17살(Blaster) / 때리지말아줘TnT(MikageSakurako) / 검키〕로 이루어진 팀이다. 아예 첫 창설부터 팀명을 None으로 지었던 곳이기 때문에 아예 다른 팀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니키(Glove), 로지(TnT), 타지아(Blaster)〕로 카밀로 장인, 검키를 벤치에 두고 팔이 짧은 1탱 2원딜로 조합을 짜냈다.

여담으로 여기서 니키를 맡던 Glove는 유명 스트리머가 있는 TangleDabi로 옮겼고, Blaster는 All ways Incheon에 입단했다는 점이 재미 포인트.
{{{#!folding ▼ 대회 성적 펼치기 / 접기
Carpe Diem/동명이인
날짜 순위 대회 획득 상금
2024년 3월 3일 29위 Western Digital SUPER CUP -
2024년 3월 31일 8위 Eternal Return Masters Season S3 P1 Qualifiers Group A -
2024년 4월 19일 7위 Eternal Return Masters S3 P2 Group A -
2024년 4월 28일 3위 Eternal Return Masters S3 P3 Qualifiers Group D -
}}}

4. 역사 및 역대 시즌

카르페 디엠 1기 로스터
ACTIVE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진호(프로게이머)|정진호
JI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동욱(프로게이머)|이동욱
LokeN
]]
  • 정식 출시 전을 대비해, 대회의 기반을 다지고 있던 님블뉴런의 2022 ERL Summer에 출전.
  • 당시 친했던 정진호와 함께 출전했으며 듀오 모드란 특성과 함께 실시간으로 페이스 캠이 돌아가는 독특한 구조 덕분에 정출 전, 날것의 재미를 확실하게 보장한다.
  • 조합은 다양하게 짜놨으며 임팩트를 보여준 건, 단언코 〔리오(LokeN), 마이(JIN)〕. 이 조합에서 이미 로컨은 평원딜 실력을 확실하게 증명했으며, 현재 평원딜 포지션을 맡은 정진호가 탱커를 한 보기 드문 경우다.
  • 종합 2등으로 놀라운 결과를 남겼지만 로컨의 LOL 프로 복귀, 정진호의 군입대로 인해 팀이 완전히 해체되었다. 여기서 카르페 디엠 1기를 마친 로컨의 소감을 볼 수 있다.[1]
  • 재미있게도 이 둘은 내셔널 리그에 참가할 자격 중 하나인 지자체가 후원하는 팀에 속해있다.
}}}

카르페 디엠 2기 로스터
ACTIVE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동욱(프로게이머)|이동욱
Loke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호성|류호성
Hoit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예종
insan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하권|장하권
Signiel
]]
  • 2024년 5월 30일, 로드 투 마스터즈 Ep.0과 함께 카르페 디엠 2기가 만들어졌다. 멤버는 님블뉴런의 대형 컨텐츠인 만큼 로컨, 너구리, 호잇.
  • 처음에는 너구리의 쇼이치 사랑[2]을 받아들이기 위해 〔쇼이치, 츠바메, 샬럿〕 조합을 맞추나 받아들이는데 한계가 와 결국 너구리를 벤치로 보내고 새로운 멤버를 받아들이기로 결정한다.
  • 새롭게 영입한 멤버가 前 오버워치 프로게이머이자 짭컨[3]으로 불리는 인세인(정예종)이었다. 사실상 여기서 파츠가 되지 못한 너구리는 경기를 지켜볼 수밖에 없어 로컨/호잇과의 합의 하에 팀을 나오게 된다.
  • 로컨, 호잇, 인세인은 계속해서 시즌 4의 문을 두드린다. 조합은 다양하게 나온 편이며 인세인과 호잇이 탱커 - 딜러 라인을 서로 교환하고 로컨이 평원딜을 선택하는 조합을 다뤘다. 주로 〔레녹스, 아드리아나, 리오〕 / 〔테오도르, 알론소, 츠바메〕로 정석적인 1탱 2원딜 조합을 고수했다.
  • 너구리와 헤어진 뒤엔 〔로지, 레니, 얀〕이란 레니 + 2근 조합도 다뤘으며, 이 조합이 이호종을 협곡으로 보내버린 스프링 트랩을 만들어냈다.
  • 많은 노력이 있었고 홀로 뛰쳐나온 너구리 팀보다 성적은 좋았지만, 로컨의 이름이 무색할 정도로 쓴 성적을 연이어 기록하면서 카르페 디엠의 이야기는 시즌 4를 마지막으로 마무리 되었다.
}}}

4.1. 너구리의 이터널 리턴 도전기

4.1.1. Team Maru

팀 마루 로스터
ACTIVE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하권|장하권
Signiel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날지켜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룽마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바우트랭커출신
시즌 4 페이즈 1 초유의 레이팅 컷과 카르페 디엠에 자신의 자리가 없다고 판단한 너구리는 아예 팀을 나와 새로이 자신만의 팀을 짜기로 결정하게 된다. 그게 바로 Team Maru.

근데 이 Maru는 잡음이 매우 많았던 팀이다. 당시 레이팅 컷을 한번 당해버린 입장에서 예선전을 뛰어야하기에 점수에 민감했던 상황이었고, 예정된 로스터가 〔너구리, 날지켜줘, 룽마룽, 잡초위드〕였다. 거기에 잡초위드가 주장이었던 상황인데 룽마롱과 너구리, 잡초위드 간에 서로 소통이 잘 되지 않았는지 잡초위드를 예선전 1일 전에 팀에서 무통보 방출해버려 잡초위드와 룽마룽 간의 해명 및 논쟁이 있었다. 룽마룽의 해명과 잡초위드의 글을 서로 읽어보면 교묘하게 둘다 자신에게 이득인 형태로 글을 써맞춰놨기에 한동안 대회 시청자들끼리 해당 글에 대한 해석 및 반론이 있었을 정도. 거기서 서로의 잘못이라고 여겨질 부분이 발견되었는데 다음과 같다.
  • 잡초위드 : 레이팅 컷 당할 수도 있는 위기 및 조합 문제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실험체 연습을 전혀 하지 않은 태만 문제.
  • 룽마룽 : 퇴출시킬 본인과 상담하지 않은 채, 너구리와만 이야기하며 팀원을 무통보 방출하려 함.

결국 둘 다 이터널 리턴 대회 팬덤에게 좋지 않은 시선을 받게 되었고, 너구리는 개인적으로 잡초위드에게 이렇게 된 점을 사과했다는 점을 밝히게 되면서 두 사람 모두 너구리와의 갈등은 해소되었다는 점을 강조한 채 서로 상처만 받고 끝났다.

그런데 여기서 이야기가 끝나지 않는다. 이러한 악수를 두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레이팅 컷에 걸려 버린 것. 대신, 다행스럽게도 32위와 33위가 레이팅 컷 동률이 나면서, 이 두 팀의 회의 끝에 결국 예선예선전이란 초유의 대회가 열리게 되었다. 예선전을 가기 위한 예선전인 것. 어쨌든 레이팅 컷에 걸렸지만 기회는 얻은 셈. 그 기회를 밑거름 삼아 〔테오도르, 쇼이치, 얀〕 조합으로 승부를 냈지만 결국 8등을 기록하며 결과까지 안 좋은 채로 마무리 되었다.

여담으로 다른 팀에 있던 이바는17살 선수는 예선예선전의 존재를 대회 당일 전날에 와서야 알았다고 한다.

4.1.2. EP Nuguri

EP Nuguri 로스터
ACTIVE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하권|장하권
Nuguri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윤탁
Fa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Jnur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바는17살
다만, 아직 로드 투 마스터즈 컨텐츠는 진행 중이기도 했고 너구리 또한 포기할 생각은 없었는지 시즌 4 LCQ를 대상으로 팀을 다시 짜게 되었다. 심지어 이 팀은 이호종에게 추천받은 팀으로 사실상 호종사랑단 3기의 멤버를 전부 줘버린 것(...). 그래도 레이팅 컷 걱정은 문제 없을 Fang과 Jnuri였기에 너구리는 이를 수락해 사실상 급조된 3일 간의 팀으로서 남은 경기에 임한다.

그래도 두 경기를 뛰게 되었는데 제 1회 종우디컵Eternal Return Masters S4 LCQ다. 그중, 종우디컵은 150만원 상금이 걸려버린 탓에 레이팅 컷 9113점에 달해 엄청난 불지옥을 겪었는데 너구리 팀은 '로드 투 마스터즈' 컨텐츠를 배려한 박종우가 특별초청으로 한 자리를 내주었다.[4]

서로간에 제일 잘하는 실험체를 중심으로 조합을 짜서 그런지, 〔비앙카, 현우, 쇼이치〕라는 사상 초유의 조합이 탄생해버렸다. 그래도 나름 놀라운 플레이를 보여주며 분전했으나 종우디컵에서 8등으로 마무리. 그렇지만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안겨줌으로서 Maru 시절보다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데 성공한다. 이후, LCQ 예선 A조를 치루나 7등으로 마무리 함으로서 너구리의 이터널 리턴 대회 도전기는 끝이 난다.

Fang의 소감으로 너구리의 이터널 리턴은 끝났다고 전했으나, 이후 쇼이치 1,000판을 맞추기 위해 솔랭을 돌리는 너구리가 있었다고 한다.

참고로 너구리가 조언을 받기 위해 영르진에게 찾아가 불꽃 피드백을 한 시점이기도 하다.

4.2. 해체 이후

호잇은 본 컨텐츠를 진행한 뒤론 소식이 전무하나 이터널 리턴 계정을 보면 플레이는 했던 것으로 보인다. 너구리는 쇼이치를 마음껏 즐기고서 조용히 군대에 입대했다고.

반면, 로컨은 되려 의욕적인 불이 붙었는지 탱글다비의 리빌딩 과정에서 인세인(정예종)과 함께 입단에 손을 들었다. 만약 리우리가 떨어져 나갔다면, 리우리, 인세인과 함께 팀을 꾸렸을 것이라고. 그러나 반대로 인세인이 리우리가 남아있던 탱글다비에 홀로 들어가게 되면서 로컨은 붕뜬 매물이 되었다. 이 기회를 놓치지 않은 오토암즈의 코치, WaiLord(최진호)의 제안에 입단하게 된다.
헌데 이 오토암즈가 본래 인기팀이었던데다가 내셔널 리그를 지향하다 실제로 대전광역시를 연고지로 두게 됨으로서 되려 로컨이 이터널 리턴 프로게이머로서 활동하게 되었다. 로컨이란 매물 자체가 이터널 리턴에서도 고평가 받고 있기도 했고, 로컨 자신에게도 오토암즈 팀원들이 좋아졌다며 앞으로도 꾸준히 활동할 것 같다는 긍정적인 의사를 표했다.

5. 로스터 연혁

||<-6><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0><bgcolor=#000> 로스터 연혁 ||
<rowcolor=#000000> ID 이름(닉네임)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JIN 정진호 F/A 2022년 3월 28일 2022년 7월 26일 해체
NIGHTMARE[5]
LokeN 이동욱 F/A Sengoku Gaming
Sengoku Gaming 2024년 5월 30일 2024년 8월 10일 파일:대전 오토암즈.png파일:대전 오토암즈 화이트.png AutoArms
Hoit 류호성 F/A 은퇴[6]
Signiel(現 Nuguri) 장하권 F/A 2024년 6월 30일 Team Maru
insane 정예종 LEGENO 2024년 6월 2024년 8월 10일 RedGoldMango

6. 성적

Carpe Diem (2기)
날짜 순위 대회 획득 상금
2024년 6월 30일 5위 Eternal Return Masters S4 P2 Qualifiers Group C -
2024년 7월 20일 7위 Eternal Return Masters S4 P3 Wildcards -
2024년 7월 24일 7위 제 1회 종우디컵 -
2024년 7월 28일 5위 Eternal Return Masters S4 LCQ -

7. 여담

  • 너구리 본인이 직접 이터널 리턴의 대회를 뛰었던 만큼, LOL판의 너구리 밈이 역수입되어 왔다. 대충 이런 느낌. #
  • 로컨, 너구리, 호잇이 등장하는 로드 투 마스터즈 영상은 이쪽에서 감상할 수 있다.

8. 둘러보기

'''
파일:이터널 리턴 로고.png파일:이터널 리턴 로고 블랙.png
게임단 목록
'''
{{{#!wiki style="margin:0 -10px"
{{{#1c1d1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내셔널 리그 참가팀
파일:er 경기 이네이트 로고(1).png파일:경기 이네이트 로고 화이트.png 파일:FN esports.png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파일:2025BusanBeSPA.png파일:Busan BeSPA 화이트.png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Gyeonggi Innate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FN SEJONG
파일:성남시 CI_White.svg
Seongnam ROX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Busan BeSPA
파일:DJC_logo1.png 파일:GJ Slasher 로고.png파일:GJ Slasher 로고 화이트.png 파일:인천 브랜드슬로건 상하조합형(태그).png파일:all ways incheon 화이트.png 파일:CNJ_logo.png파일:CNJ_logo_white.png
파일:제천시 CI_White.svg
JECHEON CYBERS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GJ Slasher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All ways Incheon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CNJ Esports
파일:스파클로고.png파일:경남 스파클 이스포츠 화이트.png 파일:대전 오토암즈.png파일:대전 오토암즈 화이트.png 파일:뉴라이즈강원블랙로고.png파일:뉴라이즈강원화이트로고.png 파일:대구 가디언즈 로고임시.png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Gyeongnam Sparkle Esports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DaeJeon AutoArms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New Rise Gangwon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Daegu Guardians
그 외 연고지를 두고 있는 팀[1]
파일:YangjuWhalesLogo.png 파일:어퍼메이션 로고.png
파일:양주시 CI_White.svg
Yangju Whales
파일:고양특례시 로고 화이트.svg
AFFIRMATION
문서가 존재하는 아마추어 팀
Insighter
활동 중단 및 해체
<rowcolor=#000,#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BNK FEARX Cartel TAP3 HOSADAN
Carpe Diem
}}} ||}}}}}}}}}}}}}}} ||
상세정보 [ 펼치기 · 접기 ]

[1] 연고지를 두고 있으나 2025 내셔널 리그 심사에서 떨어졌거나, 참가하지 않는 팀

[1] 그렇다면 그 로컨을 꺾은 1등은 누구냐면......[2] 정규 시즌 1부터 쇼이치를 박았던 만큼, 쇼이치를 제일 잘하는 루미널 선수를 존경한다며 로드 투 마스터즈 0화에서 소감을 말하기도 했다.[3] 인세인의 부계정이 LokeN이며 로컨과 개인적인 친분이 있었기에 받아들여질 수 있던 닉네임이다.[4] 배려를 받은 너구리 팀, 어떻게든 사람 한명 더 끼워넣어서 레이팅 컷을 맞춘 카르페 디엠과 다르게 호사단은 레이팅 컷을 맞추지 못해 결국 종우디컵에 들어가질 못했다.[5] 비교적 최근 기록이며, 실제 군입대를 갔다온 뒤의 생겨난 정보기에 그 다음 이적처일 가능성이 높음.[6] 로드 투 마스터즈에서 사실상 은퇴의 의사를 밝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