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9 05:21:50

에서 넘어옴
주머니 낭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9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22획
미배정
{{{#!wiki style="margin:-2px"
일본어 음독
ドウ, ノウ
일본어 훈독
ふくろ
-
표준 중국어
nāng, ná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 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囊은 '주머니 낭'이라는 한자로, '주머니', '주머니에 넣다', '불알', '자루'를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6C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BRRV(十月口口女)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전대 탁)과 음을 나타내는 (도울 양)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갑골문이나 옛 전서에서는 橐에 襄이 아닌 (조개 패)가 한두 개 들어가는 회의자로 나온다. 예서에서 이미 글자가 많이 뭉개져서 원형이 잘 보이지 않는 탓인지 강희자전에선 부수를 글자의 일부분 중 (입 구)로 택했다. 설문해자에선 襄의 생략형으로서 𤕦(다스릴 녕)만이 㯻(묶을 혼)의 생략형과 결합한 글자로 보았는데, 실제로는 襄을 이루는 衣가 함께 부건으로 들어간 형태도 존재한다.[1]

설문해자에 수록된 소전체를 거의 그대로 해서로 바꾸면 다음 자형이 된다.
𣡦


획수가 22획이나 되는데도 간체자에서는 바뀌지 않았다. 신자체에서는 바뀌었다.

1급 한자 치고는 실생활 사용례가 꽤 많은 편이다. 웬만한 3,4급 한자 보다도 용례가 많다. 왜 1급 한자인지 모르겠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기타

3.6. 일본어

낭포 (嚢胞)、음낭 (陰嚢) 등 의학용어를 필두로 가끔 사용되며 대부분 음(のう)으로 읽는다. 일본인들도 직접 쓰기는 어려워하며 독음을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3.6.1. 훈독

ふくろ.

ふくろ로 읽고 '주머니'라는 뜻의 단어로 쓸 수 있지만 이는 비상용독음이다. 주머니를 뜻하는 ふくろ는 (자루 대)로 쓰는 경우가 거의 100%라고 봐도 된다.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지난번 낭)
  • (도울 양)

[1] https://ctext.org/dictionary.pl?if=gb&char=%E5%9B%8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