密 빽빽할 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宀,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ミツ, ビツ | ||||||
일본어 훈독 | こま-かい, ひそ-か | ||||||
- | |||||||
표준 중국어 | m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密은 '빽빽할 밀'이라는 한자로, '빽빽하다', '촘촘하다', '가깝다', '숨기다'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빽빽하다 |
음 | 밀 | |
중국어 | 표준어 | mì |
광동어 | mat6 | |
객가어 | me̍t | |
민동어 | mĭk | |
민남어 | bi̍t[文] / ba̍t[白] | |
오어 | miq (T5) | |
일본어 | 음독 | ミツ, ビツ |
훈독 | こま-かい, ひそ-か | |
베트남어 | mật |
유니코드에는 U+5BC6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JPHU(十心竹山)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宀(집 면)과 소리를 나타내는 宓(성씨 복, 잠잠할 밀)과 山(뫼 산)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과밀(過密)
- 기밀(機密)
- 긴밀(緊密)
- 농밀(濃密)
- 밀교(密敎)
- 밀도(密度)
- 밀령(密令)
- 밀림(密林)
- 밀집(密集)
- 밀수(密輸)
- 밀밀(密密)
- 밀봉(密封)
- 밀실(密室)
- 밀입국(密入國)
- 밀접(密接)
- 밀주(密酒)
- 밀착(密着)
- 밀폐(密閉)
- 밀항(密航)
- 비밀(秘密)
- 세밀(細密)
- 엄밀(嚴密)
- 은밀(隱密)
- 정밀(精密)
- 치밀(緻密)
- 친밀(親密)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미츠자키 요스가(密崎 ヨスガ)
- 밀우(密友)
- 박수밀(朴壽密): 고전문학자
- 부반멋(武文密)
- 스나자라 치미츠(砂皿 緻密)
- 왕밀(王密) - 십팔사략의 고사 사지(四知)의 등장인물
- 이밀(李密)
- 증밀(曾密)
- 히가시카타 미츠바(東方 密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