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한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零/〇(영) | 一(일) | 二(이) | 三(삼) | 四(사) |
零 | 壹 | 貳 | 參 | 肆 | |
五(오) | 六(육) | 七(칠) | 八(팔) | 九(구) | |
伍 | 陸 | 柒 | 捌 | 玖 | |
十(십) | 廿(이십) | 卅(삼십) | 卌(사십) | 百(백) | |
拾 | 念 | - | - | 佰 | |
皕1(이백) | 千(천) | 萬(만) | 億(억) | 兆(조) | |
- | 仟 | - | - | - | |
京(경) | 垓(해) | 秭(자) | 穰(양) | 溝(구) | |
- | - | - | - | - | |
澗(간) | 正(정) | 載(재) | 極(극)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捌 깨뜨릴 팔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手,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ハチ, ハツ, ベツ | ||||||
일본어 훈독 | さば-く, さば-ける, は-かす, は-ける | ||||||
捌
| |||||||
표준 중국어 | bā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捌은 '깨뜨릴 팔'이라는 한자로, '깨뜨리다' '부수다' '찢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한편 八(여덟 팔)의 갖은자로도 쓰인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깨뜨리다, 여덟 |
음 | 팔 | |
중국어 | 표준어 | bā |
광동어 | baat3 | |
객가어 | pat | |
민동어 | báik | |
민남어 | pat[文] / poeh[文] | |
오어 | paq (T4) | |
일본어 | 음독 | ハチ, ハツ, ベツ |
훈독 | さば-く, さば-ける, は-かす, は-ける | |
베트남어 | bát |
본래는 고대 중국에서 사용한 농기구를 가리키는 글자로, 생김새는 고무래와 비슷한데 수확한 곡식을 말릴 적에 곡식을 펼치거나 모으는 용도로 사용했다고 한다. 그러나 점차 부수거나 찢거나 분해시킨다는 의미인 동사, 혹은 부수는 소리를 가리키는 의성어를 가리키는 글자가 되었다. 또한 숫자 8의 갖은자로도 사용되었다.
유니코드에는 U+634C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手口尸弓(QRSN)으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 주술회전 -료멘스쿠나(주술회전)의 술식 [ruby(팔, ruby=하치)] (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