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07 13:11:22

편안할 제, 복 시, 복 지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9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4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シ, テイ
일본어 훈독
-
표준 중국어
zhī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이체자5. 유의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禔는 '편안하다'라는 뜻의 한자로, '편안하다', '' 등을 뜻한다. 그래서 '복 제', '복 시', '복 지'라고도 한다.

2. 상세

뜻을 나타내는 (보일 시)와 소리를 나타내는 (이/옳을 시)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7994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IFAMO(戈火日一人)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이체자

  • 禵(U+79B5)

5. 유의자

  • 편안하다
    • (편안 강)
    • (편안할 강)
    • (편안할 개)
    • (편안할 념)
    • (편안할 녑)
    • (편안 녕)
    • /(편안할 담)
    • (편안할 수, 기드리움 유)
    • (편안 안)
    • (편안할 안)
    • (편안할 여)
    • (편안할 염)
    • (편안할 온)
    • 𡟰[⿰女冤](편안할 원)
    • 𠱙[⿰口尗](편안할 육)
    • (편안 일, 질탕 질)
    • (편안할 일)
    • (편안할 접)
    • /(편안할 정)
    • (편안할 종)
    • (편안할 첩)
    • 𢞖(편안할 체)
    • 𥚉[⿰示甾](편안할 치)
    • 便(편할 편, 똥오줌 변)
    • (편안할 회)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𢅦[⿰帚是](돌아갈 귀)[1]
  • (가까운산 시, 가지런하지않은모양 질)
  • (다스릴 시)
  • 𩝊[⿰𩙿是](막걸리 시, 제호 제)
  • (메주 시)[2]
  • 𢃰[⿰巾是](수건 시)
  • (숟가락 시)[3]
  • (숟가락 시, 횃대 이)
  • (슬슬걸을 시)
  • (열쇠 시)
  • (차질 시)
  • 𦑧[⿰羽是](칼깃 시)[4]
  • (물맑을 식)
  • (불꽃 식)
  • (옳을 위)[5]
  • (가죽신 제)
  • (강아지풀 제)
  • 𤟥[⿰犭是](개이름 제)
  • (굳은기름 제)
  • (끌 제)
  • (다듬잇돌 제)
  • (둑 제)
  • (둑/막을 제)
  • (멈칫거릴 제)
  • (메기 제)
  • (밟을 제, 힘쓸 지)
  • 𤗘[⿰片是](벽 제)
  • (볼 제)
  • (붉을 제)
  • (뿔굽을 제)
  • (심겁할 제)
  • (쓰르라미 제)
  • (안존할 제)
  • (옥이름 제)
  • (옷두툼할 제)
  • (울 제)[6]
  • 𦉁[⿰缶是](자배기 제)
  • 𪂿[⿰鳥是](접동새 제)[7]
  • (제호 제)
  • (준마 제)
  • 𦧧[⿰舌是](핥을 지)
  • 𢐂[⿰弓是](튀길 치)
  • 𣉆[⿰日是](체)
  • 𫡝[⿰乃是]
  • 𭓒[⿰子是]
  • 𣄍[⿰方是]
  • 𣉄[⿰丰是]
  • 𦔂[⿰耒是]

[1] (돌아갈 귀)의 동자[2] (메주 시)의 동자[3] (숟가락 시)의 동자[4] (칼깃 시)의 동자[5] (옳을 위)의 동자[6] (울 제)의 동자[7] (접동새 제)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