禰 아버지사당 니/녜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示, 1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9획 | ||||
미배정 | 미배정 | ||||||
祢 | |||||||
일본어 음독 | ネ | ||||||
일본어 훈독 | - | ||||||
祢 | |||||||
표준 중국어 | mí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禰는 '아버지 사당 니/녜'라는 한자로, 죽은 아버지의 혼령을 모시는 사당'을 뜻한다. 또한 고대 중국에선 군대에서도 군과 관련 있는 신령들에게 제사를 드리곤 하였는데, 이렇게 군에서 제사를 받는 위패를 가리키는 어휘로도 사용하였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79B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IFMFB(戈火一火月)로 입력한다.훈을 나타내는 示(보일 시)와 음을 나타내는 爾(너 이)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가나문자 ne(히라가나ね, 가타카나ネ) 의 유래가 된 한자이다.
『강희자전』은 『광운』을 따서 반절을 '노례절,奴禮切,'(ㄴㅗ+ㄹㅖ), 『집운』을 따서 '내례절,乃禮切,'(ㄴㅐ+ㄹㅖ)로 제시하고 또 『홍무정운(洪武正韻)』을 따서 '내리절,乃里切,'(ㄴㅐ+ㄹㅣ)을 제시했다. 그래서 녜 말고도 니가 정음으로 인정되고 컴퓨터에서는 니를 쓰고 한자키를 눌러야 나온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네네키리 후타라(祢々切 ふたら)
- 노미노스쿠네(野見宿禰)
- 시마노스쿠네(斯摩宿禰)
- 소네노 요시타다(曾禰 好忠)
- 소네 아라스케(曾禰 荒助)
- 소노가미 린네(園神 凜祢)
- 아키츠 네즈(明津 禰津)
- 야마모토 미네코(山本 美禰子)
- 예식진(禰寔進)
- 예형(禰衡)
- 오호하마노 스쿠네(大濱 宿禰)
- 우부기누 히코네(産絹 彦禰)
- 카마도 네즈코(竈門 禰豆子)
- 쿠라마 네온(鞍馬 祢音)
- 키노 오이와노스쿠네(紀 生磐宿禰)
- 타케우치노 스쿠네(武內 宿禰)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3.6.1. 훈독
3.6.2. 음독
3.7. 중국어
3.8.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𦢈(못 견)
- 嬭(젖 내)
- 躎(밟을 년)
- 𩍦(드리워질 니)
- 隬(땅 이름 니)
- 濔(많을 니)
- 檷/鑈(실패 니)
- 镾(길고 오래될 미)
- 彌(미륵/오랠 미)
- 𥌃(사팔뜨기 미)
- 擟(산 이름 미)
- 獼(원숭이 미)
- 𥎖(창 미)
- 獮(죽일 선)
- 䌤(굵은 실끈 시)
- 鸍(짐새 시)
- 邇(가까울 이)
- 儞(너 이)
- 襧(꿰맬 치)
- 趰(이)
- 𠧌
- 𡁠
- 𢣚
- 𤪙
- 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