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13:20:15

경일대학교 KIU철도아카데미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메인 종합 캠퍼스)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191919>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상주캠퍼스)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안동대학교
파일:육군3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3사관학교
파일:경운대학교 UI.svg 경운대학교 ·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 · 파일:김천대학교 UI.svg 김천대학교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 파일:대구예술대학교 UI.svg 대구예술대학교 · 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 · 파일:대신대학교 UI.svg 대신대학교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 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영주캠퍼스)
파일:경주대학교 엠블럼.svg 신경주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 파일:영남신학대학교 교표.svg 영남신학대학교 · 파일:위덕대학교 UI.svg 위덕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경산시-CI2025-White.svg 경산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립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 파일:대신대학교 UI.svg 대신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파일:영남신학대학교 교표.svg 영남신학대학교
전문대학
파일:대경대학교 UI.svg 대경대학교
파일:영남외국어대학 심볼.svg 영남외국어대학
파일:호산대학교 UI.svg 호산대학교
사이버대학
파일:대구사이버대학교 UI.svg 대구사이버대학교
파일:영남사이버대학교 로고.svg 영남사이버대학교
파일:한국복지사이버대학 심볼.svg 한국복지사이버대학교 }}}}}}}}}

파일:한국공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2020학년도 기준
<rowcolor=#fff>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가천대학교 O - - 워싱턴 가톨릭대학교 O - - 워싱턴
강릉원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강원대학교 O - - 워싱턴
거제대학교 - - O 시드니 건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남대학교 O O - 워싱턴 경복대학교 - - O 더블린
경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상국립대학교 O - - 워싱턴
경성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일대학교 O - - 워싱턴
경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계명대학교 O O - 워싱턴
고려대학교 O - - 워싱턴 국립공주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광운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구미대학교 - - O 더블린
국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군산대학교 O - - 워싱턴
국립금오공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죽전)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천안) O - - 서울/워싱턴 대구대학교 O - - 워싱턴
대덕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대진대학교 O - - 워싱턴
동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국대학교(WISE) O - - 워싱턴
동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서대학교 O - - 워싱턴
동서울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동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아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원대학교 - - O 시드니
동의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동의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두원공과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마산대학교 - - O 더블린
명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목원대학교 O - - 워싱턴
목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부경대학교 O - - 워싱턴
부산대학교 O O - 워싱턴 백석대학교 - O - 서울
상명대학교(서울) - O - 서울 상명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상지대학교 O - - 워싱턴 서강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영대학교 - - O 더블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울대학교 O - - 워싱턴 서울시립대학교 O - - 워싱턴
선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균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세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수원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숙명여자대학교 - O - 서울
순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순천향대학교 O - - 워싱턴
숭실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신라대학교 O - - 워싱턴
아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아주자동차대학교 - - O 더블린
국립안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연성대학교 - - O 시드니
연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이공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영진전문대 - - O 더블린
울산과학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울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원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이화여자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천대학교 O - - 워싱턴
인하대학교 O - - 워싱턴 전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한라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조선대학교 O O - 워싱턴 중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창원대학교 O - - 워싱턴 청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경국립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공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교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외국어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항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국립한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성대학교 O - - 워싱턴
한신대학교 O - - 워싱턴 한양대학교 - O - 워싱턴
한양대학교 ERICA - O - 워싱턴 호남대학교 O - - 워싱턴
호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호원대학교 - O - 서울
홍익대학교(서울) O O - 서울/워싱턴 홍익대학교(세종) O - - 워싱턴 }}}}}}}}}

파일: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4-2029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8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30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09-202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설환경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8-2023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9-2024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6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5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3-2028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7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국립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 2010-2026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8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0-2025
국립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국립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8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국립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9-2023
순천향대학교
SCH미디어랩스
건축학과
# 2022-2027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7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5년제)
# 2022-2025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인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22-2027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도시설계전공
# 2011-2026
전남대학교(여수)
공학대학
건축디자인학과
# 2022-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4
국립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7-2028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과
#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5-2026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 2010-2025
한양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08-2023
한양대학교 ERICA
공학대학
건축학부
#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 2020-2022
* 대학교학사 : 대학교 건축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 대학원 건축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2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한국대학IR협의회 로고.pn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1C98A7> 회원대학 <colbgcolor=#1C98A7> 대학 <colbgcolor=#fff,#191919>파일:가야대학교 UI.svg 가야대학교 · 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 가톨릭관동대학교 ·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 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 · 파일:광주대학교 UI.svg 광주대학교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 파일:김천대학교 UI.svg 김천대학교 · 파일:남부대학교 UI.svg 남부대학교 · 파일:나사렛대학교 UI.svg 나사렛대학교 ·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 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 · 파일:대전대학교 엠블럼.svg 대전대학교 · 파일:대진대학교 UI.svg 대진대학교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 파일:동서대학교 엠블럼.svg 동서대학교 · 파일:동신대학교 엠블럼.svg 동신대학교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 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 · 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 ·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 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 · 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서울신학대학교 · 파일:서원대학교 UI.svg 서원대학교 ·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 파일:송원대학교 엠블럼.svg 송원대학교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 ·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 파일:신라대학교 교표.svg 신라대학교 ·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 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 · 파일:우석대학교 UI.svg 우석대학교 ·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파일:유원대학교 UI.svg 유원대학교 · 파일:을지대학교 UI.svg 을지대학교 · 파일:인제대학교 교표.svg 인제대학교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 파일:청운대학교 심볼.svg 청운대학교 · 파일:청주대학교 UI.svg 청주대학교 · 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 · 파일:한경국립대학교 로고.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 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 ·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 · 파일:한림대학교 앰블럼.svg 한림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파일:협성대학교 UI.svg 협성대학교
파일:호남대학교 UI.svg 호남대학교 · 파일:호원대학교 UI.svg 호원대학교
전문대학 파일:경남정보대학교 UI.svg 경남정보대학교 · 파일:경인여자대학교 엠블럼.svg 경인여자대학교 · 파일:계원예술대학교 UI.svg 계원예술대학교 · 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 · 파일:대구보건대학교 UI.svg 대구보건대학교
파일:마산대학교 UI.svg 마산대학교 · 파일:삼육보건대학교 UI.svg 삼육보건대학교 · 파일:선린대학교 심볼.svg 선린대학교 · 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파일:전남과학대학교 UI.svg 전남과학대학교
파일:조선이공대학교 심볼.svg 조선이공대학교 · 파일:춘해보건대학교 UI.svg 춘해보건대학교 · 파일:한국관광대학교 UI.svg 한국관광대학교 · 파일:한양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한양여자대학교 · 파일:한영대학교 UI.svg 한영대학교
대학원대학 파일: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
{{{#!wiki style="margin: -6px 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
{{{#!wiki style="margin-bottom: -5px; margin-left: -11px; margin-right: -11px; margin-top: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margin-top: -5px"
분야 대학명 담당
부처
<colbgcolor=#f5f5f5,#000> 미래형자동차 가천대학교, 경남대학교, 경성대학교, 경일대학교, 국립공주대학교, 단국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원광대학교, 인천대학교, 전북대학교, 청주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한양대학교, 호서대학교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자원개발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부경대학교, 세종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수소산업 명지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숭실대학교, 아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온실가스감축 한국해양대학교, 건국대학교, 동아대학교, 아주대학교, 연세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남대학교, 전북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한양대학교
이차전지 가천대학교, 부산대학교, 인하대학교
시스템반도체 가천대학교, 강남대학교, 경희대학교, 광운대학교,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국립부경대학교, 국립한밭대학교, 국민대학교, 단국대학교, 대구대학교, 동국대학교, 명지대학교, 부산대학교, 삼육대학교, 선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숭실대학교, 아주대학교, 연세대학교, 울산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인제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북대학교, 중앙대학교, 청주대학교, 충남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호서대학교, 홍익대학교
바이오헬스 가천대학교, 국민대학교, 부산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우석대학교
신기술융합디자인 성균관대학교, 인천대학교, 청주대학교,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홍익대학교
AI반도체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숭실대학교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의료인공지능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아주대학교, 한림대학교 교육부, 보건복지부
디지털물산업 국민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세종대학교, 연세대학교, 충남대학교 대한민국 교육부, 환경부
그린리모델링 경북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교육부, 국토교통부
공간정보 경북대학교, 경희대학교, 남서울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안양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북대학교, 청주대학교
정보보안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지식재산 경북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광운대학교, 국민대학교, 군산대학교, 단국대학교, 대진대학교, 동국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의대학교, 삼육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신한대학교, 아주대학교, 안양대학교, 영남대학교, 인제대학교, 인하대학교, 제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청주대학교, 충남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한남대학교, 한라대학교, 한서대학교 교육부, 특허청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링크플러스 로고.svg
Social Economics University Council
사회적경제대학협의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가톨릭관동대학교 경남대학교
경일대학교 계명대학교 국립안동대학교 국민대학교
대구대학교 동명대학교 동의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영남대학교 인제대학교 전남대학교
전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제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창원대학교 충남대학교
한남대학교 한림대학교 한밭대학교 한서대학교
호남대학교 호서대학교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링크플러스 로고.svg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LINC+)
2차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육성사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125FA5> 회원대학 <colbgcolor=#125FA5> 산학협력 고도화형 본사업 <colbgcolor=#fff,#191919>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서울)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ERICA)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 가톨릭관동대학교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강릉원주대학교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파일:경운대학교 UI.svg 경운대학교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계명대학교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 안동대학교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미래)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파일:한림대학교 앰블럼.svg 한림대학교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GLOCAL)
파일:대전대학교 엠블럼.svg 대전대학교파일:선문대학교 심볼마크.svg 선문대학교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한국교통대학교
파일:한국기술교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기술교육대학교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한밭대학교파일:한서대학교 UI.svg 한서대학교파일:호서대학교 UI.svg 호서대학교
파일:경남대학교 엠블럼.svg 경남대학교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파일:동명대학교 엠블럼.svg 동명대학교파일:동서대학교 엠블럼.svg 동서대학교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부경대학교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파일:인제대학교 교표.svg 인제대학교파일:창원대학교 심볼.svg 창원대학교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한국해양대학교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군산대학교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목포대학교파일:우석대학교 UI.svg 우석대학교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파일:전주대학교_교표.svg 전주대학교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파일:호남대학교 UI.svg 호남대학교
산학협력 고도화형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서울)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ERICA)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서울)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파일:경운대학교 UI.svg 경운대학교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WISE)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안동대학교
파일:건양대학교 UI.svg 건양대학교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파일:대전대학교 엠블럼.svg 대전대학교파일:선문대학교 심볼마크.svg 선문대학교파일:순천향대학교 UI.svg 순천향대학교
파일:우송대학교 심볼.svg 우송대학교파일:청주대학교 UI.svg 청주대학교파일:한국기술교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기술교육대학교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한밭대학교
파일:경남대학교 엠블럼.svg 경남대학교파일:동명대학교 엠블럼.svg 동명대학교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부경대학교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동신대학교 엠블럼.svg 동신대학교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목포대학교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순천대학교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파일:전주대학교_교표.svg 전주대학교파일:호남대학교 UI.svg 호남대학교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파일:상명대학교 교표1.svg 상명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평택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파일:위덕대학교 UI.svg 위덕대학교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파일:배재대학교 엠블럼.svg 배재대학교
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파일:세명대학교 로고.svg 세명대학교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파일:경성대학교 UI.svg 경성대학교파일:부산가톨릭대학교 심볼.svg 부산가톨릭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파일:신라대학교 교표.svg 신라대학교파일:영산대학교 심볼.svg 영산대학교파일:광주대학교 UI.svg 광주대학교파일:목포해양대학교 교표.svg 목포해양대학교파일:경민대학교 교표.svg 경민대학교파일:경복대학교 엠블럼.svg 경복대학교파일:대림대학교 UI.svg 대림대학교파일:동양미래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미래대학교파일:부천대학교 심볼.svg 부천대학교파일:유한대학교 UI.svg 유한대학교파일:인하공업전문대학 UI.svg 인하공업전문대학
파일:재능대학교 심볼.svg 재능대학교
''''
''
LINC+ (2017~2021)
''
''''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링크3.0 로고.svg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LINC 3.0 / 일반대)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25FA5> 회원 대학(일반대)
유형
구분 대학명
기술혁신선도형
(13개교)
<colbgcolor=#d3d3d3,#383b40><colcolor=#191919,#fff>
수도권 (3개교)
<colcolor=#373a3c,#ddd> 고려대, 성균관대, 한양대(서울)
지방 (10개교)
수요맞춤성장형
(53개교)
수도권 (12개교)
충청권 (10개교)
호남제주권 (9개교)
대경강원권 (12개교)
동남권 (10개교)
협력기반구축형
(10개교)
수도권 (2개교)
숙명여대, 인천대
지방 (8개교)
''''
''
LINC 3.0 (2022~2027)
''
''
''
}}}}}}}}} ||
<colbgcolor=#a40e17><colcolor=#fff> 경일대학교 KIU철도아카데미
KIU RAILWAY ACADEMY
파일:KIU철도_로고.png
설립일 2019년 01월 17일
원장 2대 김형준[1]
주소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가마실길 50
홈페이지 KIU철도아카데미 홈페이지
1. 개요2. 교수 소개3. 시설
3.1. 1층
3.1.1. 전기능 모의운전연습기실(FTS)3.1.2. 기본기능 모의운전연습기실(PTS)3.1.3. 컴퓨터지원학습실(CAI)3.1.4. 교육생 대기실3.1.5. 휴게실
3.2. 2층
3.2.1. 일반 강의실3.2.2. 행정실3.2.3. 교수연구실
3.3. 원장
4. 입교
4.1. 이론기능반(일반인반)4.2. 기능반(재학생반)4.3. 면허갱신반
5. 일과6. 성과7.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경일대학교14호관-2.jpg
KIU철도아카데미

경일대학교 부설기관으로 철도기관사 양성을 위한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교육훈련기관이다. 2019년에 개원하였다. 14호관에 위치하며 철도운전시스템학부와 같은 건물을 사용한다.[2]

2. 교수 소개

파일:kiu철도_1.jpg
김형준 원장 (책임교수)
  • 現 경일대학교 철도운전시스템학부 교수
  • 前 송원대학교 철도운전시스템학과 교수
  • 송원대학교 철도아카데미 책임교수
  • 前 독일, Institute of Railway and Transportation in University of Stuttgart 연구원
  • 前 서울시메트로9호선 승무[3]
파일:kiu_rail_d.png
황경석 선임교수
  • 前 서울지하철공사 운전업무 담당
  • 前 서울도시철도공사 관제업무 담당
  • 前 대구도시철도공사 승무소 관리
  • 前 대구도시철도공사 관제 팀장
파일:kiu철도_4.jpg
이기점 교수
  • 前 부산교통공사 운전업무 담당
  • 前 부산교통공사 운전업무 담당
    •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비전임교수 겸임
  • 前 부산교통공사 교육원 면허관리 부장
  • 前 BTC 아카데미 책임교수
    •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교육업무 담당
  • 現 경성대학교 겸임교수
파일:kiu철도_5.png
장익성 교수
  • 前 서울지방철도청 청량리기관차사무소
    • 기관조사
  • 前 서울지방철도청 청량리기관차사무소
    • 기관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병점승무사업소
    • 지도운용과장
  • 한국철도공사 인재개발원 운전기술아카데미센터
    •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교육업무 담당

3. 시설

3.1. 1층

3.1.1. 전기능 모의운전연습기실(FTS)

파일:KIU철도_FTS교수제어대.jpg 파일:KIU철도_FTS외부.jpg
FTS 교수제어대 FTS 외부
파일:KIU철도_FTS내부2.jpg 파일:KIU철도_FTS내부1.jpg
FTS 내부(전면) FTS 내부(후면)
파일:KIU철도_FTS훈련2.jpg 파일:KIU철도_FTS훈련1.jpg
FTS 내부 가동모습

면허시험차량의 모든 기능을 구현한 전기능 모의운전연습기(FTS)이다. 법정 보유 대수에 따라 1대 보유 중이다.

교수제어대에서는 실시간으로 제어가 가능하고, 사진 좌측부터 운전실배전반, 운전화면, 후부배전반 ,시나리오관리, 주요 회로차단기 및 계기등 표시등 상태, 내부 영상, 운전선도가 모니터에 표시된다. 마이크와 스피커가 내외부에 설치되어 교수와 교육생간 서로 소통이 가능하다.

FTS내부는 사진과 같이 주행 중에는 매우 어둡다. 차단기를 올리면 운전실 등을 자유롭게 켤 수 있다. 후부 배전반/기기 또한 사진 오른쪽 위 유리창에 비친 모니터로 제어 가능하다.

교육기간 중 대략 9~10회 정도 타게 되고, 당연하게도 가장 고가의 장비이다.

3.1.2. 기본기능 모의운전연습기실(PTS)

파일:KIU철도_PTS내부1.jpg 파일:KIU철도_PTS외부.jpg
PTS실 기본기능 모의연습기(PTS)
파일:KIU철도_PTS내부2.jpg 파일:KIU철도_PTS훈련.jpg
PTS실 PTS 훈련모습
면허시험차량의 기본 기능을 구현한 기본기능 모의운전연습기(PTS)이다. 법정 보유 대수에 따라 5대 보유 중이다.

FTS와 다르게 운전실 배전반과 출입문 스위치, ATS/ATC함, EGCS, ASOS , 비상제동스위치, 화재감시장치 등 뒤쪽에 위치하거나 크기가 큰 장치들은 좌측에 있는 터치 모니터로 제어할 수 있고 그 외 기능만 구현한 기기이다. 1대당 6명씩 배정되며 교육기간 중 가장 많이 타고, 오래 머무르는 공간이다.

4대의 컴퓨터가 내부에 있다. 덕분에 여름에는 이 컴퓨터들이 뿜어대는 열기로 항상 출입문이 열려있다.

3.1.3. 컴퓨터지원학습실(CAI)

파일:KIU철도_CAI내부1.jpg 파일:KIU철도_CAI내부2.jpg
CAI실 내부 미니 마스콘

면허시험차량의 최소 기능을 구현한 미니 마스콘이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지원 학습실이다. PTS보다도 더 간소화되어 제동핸들, 역행/DSD, ATCcgs, ADS, 운전실 표시등만 구현되어있고 나머지는 전부 마우스로 조작해야 한다. 법정 보유 대수에 따라 30대 보유 중이다.[4]

기능교육을 시작하게 되면 더 이상 2층에 있는 일반강의실에 올라가지 않으며 조회, 이론교육을 여기서 하게 된다. 미니 마스콘으로 실제로 연습은 하지 않으며 본인 PTS 차례가 돌아오기 전까지 구술이나 기타 자격증을 자습을 하는 공간이다.

3.1.4. 교육생 대기실

파일:KIU철도_모니터링실.jpg 파일:KIU철도_모니터링실2.jpg
교육생 대기실 내부 모습
FTS를 타고있는 교육생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지켜볼 수 있는 교육생 대기실이다.

앞에 모니터는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FTS내부, 운전실 배전반, TGIS, 선로영상이 표시된다. 교육생의 구술, 교수와 대화, 주행음, 각종 경고음도 들을 수 있다. 다른 교육생이 연습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 또한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에 여기서 지켜보는 것도 공부 방법 중 하나다. 수료한 교육생은 출입할 수 없다.

3.1.5. 휴게실

파일:KIU철도_휴게실내부2.jpg 파일:KIU철도_휴게실내부1.jpg
휴게실 내부 모습
원형 테이블과 TV, PC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도 구술을 외우거나 잡담, 점심시간에 배달을 시키고 먹을 수 있는 공간이다. 주로 기능시험을 치르기 전인 수료한 교육생이 아침이나 점심시간 PTS를 타기 전에 머무른다.

3.2. 2층

3.2.1. 일반 강의실

파일:KIU철도_일반강의실 내부1.jpg 파일:KIU철도_일반강의실내부2.jpg
일반강의실 내부 모습
이론교육시 사용하는 강의실이다.

입교식과 수료식을 시행하는 공간이며 일반인반은 약 2달 동안 여기서 면허 5과목 이론 강의를 듣고, 재학생반은 3일정도 여기서 이론교육을 받게 된다.

3.2.2. 행정실

3.2.3. 교수연구실

3.3. 원장

역대 KIU철도아카데미원장
역대 이름 재임기간 비고 기타
초대 김한영 2019.01.~2022.前 원장
2대 김형준 2022.~현재 現 원장

4. 입교

4.1. 이론기능반(일반인반)

  • 매년 3회, 1개 기수당 30명씩 일반인을 대상으로 교육생을 모집하고 있다.
  • 철도안전법으로 시험을 치르며, 상위 30명을 대상으로 선발한다.
  • 경일대 철도학부 재학생도 입교시험을 보고 일반인반으로 입교 할 수 있다.[5]
  • 현재 25기 교육이 진행 중이다.

4.2. 기능반(재학생반)

  • 경일대학교 철도학부 재학생 중 면허 5과목[6] 강의를 이수한 자를 대상으로 모집하며, 기수별 인원은 일반인반과 동일하게 30명이다.
  • 재학생의 경우 다른 학교와 다르게 입교시험을 따로 치르지 않고, 겨울방학 기간동안 교육받게 된다.
  • 현재 24기 교육이 진행 중이다.

4.3. 면허갱신반

  •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소지자 중 20시간 이상의 교육이 필요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 마찬가지로 1개 기수당 30명씩 교육하며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 2024년 12월 1기가 수료하였고 2025년 12월에 2기 모집 예정이다.

5. 일과

이론교육
구분시각시간
조회 09:00~09:05 약 5분
1교시 09:05~09:50 약 40분
2교시 10:00~10:50 50분
3교시 11:00~11:50 50분
점심시간 11:50~13:00 70분
4교시 13:00~13:50 50분
5교시 14:00~14:50 50분
6교시 15:00~15:50 50분
7교시 16:00~16:50 50분
8교시 17:50~17:50 50분
4명의 교수님이 돌아가며 각각 맡은 과목[7]을 강의한다.


기능교육
구분시각시간
조회 09:00~09:05 약 5분
1번 09:00~10:30 90분
2번 10:30~12:00 90분
점심시간 12:00~13:00 60분
3번 13:00~14:15 75분
4번 14:15~15:30 75분
5번 15:30~16:45 75분
6번 16:40~18:00 75분
PTS는 각 조별로 매일 순환하며 다음날엔 6번이 가장 먼저 타게 되는 방식이다.[8]

6. 성과

합격률
기수필기기능
19기 100%[초시] -
20기 - -
21기 100%[초시] 100%
22기 100% 96.4%
23기 - -
24기 100% -[교육]
25기 -[교육] -
-는 확인되지 않거나 정보없음을 나타냄.

최근들어 높은 합격률을 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7. 여담

  • 입교하고 이론교육을 받을 때가 가장 고비다. 09시부터 18시까지 50분 수업 10분 휴식을 월화수목금 무한 반복하면 허리도 엉덩이도 머리도 모든게 아프다.
  • 모든 장비는 GS솔루션스 장비이다. 아쉽게도 교통안전공단에서 보유중인 장비(1호기 매플렉스, 2호기 대아티아이)와 다른 장비이다.공단 1호기와 유사하며, 세 회사의 장비 중 그래픽이 가장 좋다.
  • 2024년 7월 철도안전법 개정으로 기능교육시간이 410시간에서 440시간으로 늘어나면서 재학생반의 경우 2학기에 공휴일로 인한 보강주가 생기는 경우 1학기 개강 전까지 시간이 모자르기 때문에 종강 당일부터 교육을 시작하며 토요일도 교육을 진행하게 된다.놀토도 없다!
  • PTS 1대 당 6명씩 배정되기 때문에 하루에 1번, 많아봐야 2번 타게 되는데 기능교육 초반에는 비싼 돈 주고 하루에 한 번밖에 못 타냐고 불평하지만 교육 중후반부에는 2번 타면 매우 귀찮아하고 FTS 순서 돌아올 날만 기다리는 아기새가 된다.
  • 세 분의 교수님마다 이례사항 멘트, 조치방법 등이 달라 교육생 입장에선 혼동이 오는 경우가 종종 있다. FTS를 탈 땐 어떤 교수님이 지도해 주시느냐에 따라 조치를 다르게 하는게 마음이 편하다.
  • 현장실습으로 대구 1호선 안심기지로 견학을 간다.
  • 입교 후 퇴소하면 교육비를 환불해 주지 않는다고 한다. 들어오고 싶어도 못 들어온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라고..[13]



[1] 2025년 02월 기준[2] 1층과 2층 절반은 아카데미, 2층 절반과 3층은 철도학부가 사용한다[3] 9호선 1기 개통멤버이다.[4] 이 외에도 철도학부 소유로 2층 교육지원실에 3대, 교수연구실에 1대, 301호 강의실에 1대가 더 있다.[5] 주로 빨리 입교하고 싶은 1,2힉년 재학생 또는 기능반에 탈락한 학생들이다.[6] 철도관련법, 전기동차구조및기능I/II, 도시철도시스템, 운전이론, 비상시조치[7] 운전이론, 도시철도시스템, 철도관련법, 전기동차구조및기능, 비상시조치[8] 보통 순환식대로 저 시간을 지키진 않고 한번 타면 다음사람 타는 식으로 계속 돌린다. 이 방식대로 하면 하루에 7~8회 정도 운행 할 수 있다.[초시] [초시] [교육] 진행중[교육] 진행중[13] 약 450~500만원인데 진짜로 안돌려준건지, 말만 그렇게 한건지는 의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