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03:03:32

고모한

요사(遼史)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6e8e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1·2권 「태조기(太祖紀)」 3·4권 「태종기(太宗紀)」 5권 「세종기(世宗紀)」
야율아보기 야율요골 야율올욕
6·7권 「목종기(穆宗紀)」 8·9권 「경종기(景宗紀)」 10·11·12·13·14·15·16·17권 「성종기(成宗紀)」
야율술률 야율명의 야율문수노
18·19·20권 「흥종기(興宗紀)」 21·22·23·24·25·26권 「도종기(道宗紀)」 27·28·29·30권 「천조제기(天祚帝紀)」
야율지골 야율사랄 야율아과 · 야율순 · 야율아리 · 야율대석
※ 31권 ~ 62권은 志에 해당. 63권 ~ 70권은 表에 해당. 요사 문서 참고
}}}}}}}}}}}}
[ 열전(列傳) ]
||<-2><tablewidth=100%><tablebgcolor=#a0522d> 71권 「후비전(后妃傳)」 ||
소탁진 · 소아리신 · 소월리타 · 소암모근 · 술률평 · 소온 · 소철갈지 · 견비 · 소황후 · 소작 · 소보살가 · 소누근 · 소달리 · 소삼천 · 소관음
소탄사 · 소탈리라 · 소사고 · 소비비 · 소귀가
72권 「종실전(宗室傳)」 73권 「야율갈로등전(耶律曷魯等傳)」
야율배 · 야율이호 · 야율준 · 야율오로알 야율갈로 · 소적로 소아고지 · 야율사열적 야율로고 야율파덕 · 야율욕온 · 야율해리(海里)
74권 「야율적랄등전(耶律敵剌等傳)」 75권 「야율적렬등전(耶律覿烈等傳)」
야율적랄 · 소흔독 · 강묵기 · 한연휘 · 한지고 야율적렬 야율우지 · 야율탁진 야율고 야율돌려불 · 왕욱 · 야율도로군
76권 「야율해리등전(耶律解里等傳)」
야율해리(解里) · 야율발리득 · 야율삭고 · 야율노불고 · 조연수 · 고모한 · 조사온 · 야율구리사 · 장려
77권 「야율옥질등전(耶律屋質等傳)」 78권 「야율이랍갈등전(耶律夷臘葛等傳)」
야율옥질 · 야율후 · 야율안단 · 야율와 · 야율퇴욱 · 야율달열 야율이랍갈 · 소해리 · 소호사 · 소사온 · 소계선
79권 「실방등전(室昉等傳)」 80권 「장검등전(張儉等傳)」
실방 · 야율현적 · 여리 · 곽습 · 야율아몰리 장검 · 형포박 · 마득신 · 소박 · 야율팔가
81권 「야율실로등전(耶律室魯等傳)」 82권 「야율융운등전(耶律隆運等傳)」
야율실로 · 왕계충 · 소효충 · 진소곤 · 소합탁 야율융운 · 야율발고철 · 소양아 · 무백 · 소상가 · 야율호고
83권 「야율휴가등전(耶律休哥等傳)」 84권 「야율사등전(耶律沙等傳)」
야율휴가 · 야율사진 · 야율해저 · 야율학고 야율사 · 야율말지 · 소간 · 야율선보 · 야율해리
85권 「소달름등전(蕭撻凜等傳)」
소달름 · 소관음노 · 야율제자 · 야율해리(諧理) · 야율노과 · 소류 · 고훈 · 해화삭노 · 소탑열갈 · 야율살합
86권 「야율합주등전(耶律合住等傳)」
야율합주 · 유경 · 유육부 · 야율요리 · 우온서 · 두방 · 소화상 · 야율합리지 · 야율파적
87권 「소효목등전(蕭孝穆等傳)」
소효목 · 소포노 · 야율포고 · 하행미
88권 「소적렬등전(蕭敵烈等傳)」
소적렬(蕭敵烈) · 야율분노 · 소배압 소항덕 · 야율자충 · 야율요질 · 야율홍고 · 고정 · 야율적록(的琭) · 대강예
89권 「야율서성등전(耶律庶成等傳)」 90권 「소아랄등전(蕭阿剌等傳)」
야율서성 · 양석 · 야율한류 · 양길 · 야율화상 소아랄 · 야율의선 · 소도외 · 소탑랄갈 · 야율적록(敵祿)
91권 「야율한팔등전(耶律韓八等傳)」 92권 「소탈랄등전(蕭奪剌等傳)」
야율한팔 · 야율당고 · 소출철 · 야율결 · 야율복리독 소탈랄 · 소보달 · 야율후신 · 야율고욱 · 야율독매 · 소한가 · 소오야
93권 「소혜등전(蕭惠等傳)」
소혜 · 소우로 · 소도옥 · 야율탁진
94권 「야율화가등전(耶律化哥等傳)」
야율화가 · 야율알랍 · 야율속살 · 소아노대 · 야율나야 · 야율하로소고 · 야율세량
95권 「야율홍고등전(耶律弘古等傳)」
야율홍고 · 야율마륙 · 소적렬(蕭滴冽) · 야율적록 · 야율진가노 · 야율특마 · 야율선동 · 소소삽 · 야율대비노
96권 「야율인선등전(耶律仁先等傳)」
야율인선 · 야율량 · 소한가노 · 소덕 · 소유신 · 소악음노 · 야율적렬 · 요경행 · 야율아사
97권 「야율알특랄등전(耶律斡特剌等傳)」
야율알특랄 · 해리 · 두경용 · 야율인길 · 양적 · 조휘 · 왕관 · 야율희손
98권 「소올납등전(蕭兀納等傳)」
소올납 · 야율엄 · 요신 · 야율호려
99권 「소암수등전(蕭巖壽等傳)」 100권 「야율당고전(耶律棠古等傳)」
소암수 · 야율살랄 · 소속살 · 야율달불야 · 소달불야 · 소홀고 · 야율석류 야율당고 · 소득리저 · 소수알 · 야율장노 · 야율출자
101권 「야율적랄등전(耶律敵剌等傳)」 102권 「소봉선등전(蕭奉先等傳)」
야율적랄 · 야율아식보 · 소을설 · 소호독 소봉선 · 이처온 · 장림 · 야율여도
103·104권 「문학전(文學傳)」 105권 「능리전(能吏傳)」
소한가노 · 이한 · 왕정 · 야율소 · 요휘 · 야율맹간 · 야율곡욕 대공정 · 소문 · 마인망 · 야율탁로알 · 양준욱 · 왕당
106권 「탁행전(卓行傳)」 107권 「열녀전(列女傳)」
소차랄 · 야율관노 · 소포리불 야율상가 · 소의신 · 소와리본 · 소뇌란
108권 「방기전(方技傳)」 109권 「영관·환관전(伶官宦官傳)」
직로고 · 왕백 · 위린 · 야율적로 · 야율을불가 나의경 · 왕계은 · 조안은
110·111권 「간신전(奸臣傳)」
야율을신 · 장효걸 · 야율연가 · 소십삼 · 소여리야 · 야율합로 · 소득리특 · 소와도알 · 소달로고 · 야율탑불야 · 소도고사
112·113·114권 「역신전(逆臣傳)」
야율할저 · 야율찰할 · 야율누국 · 야율중원 · 야율활가 · 소한 · 야율첩랍 · 야율랑 · 야율유가 · 야율해사 · 야율적랍 · 소혁 · 소호도 · 소첩리득 · 고첩 · 야율살랄죽 · 회리보 · 소특열
115권 「이국외기(二國外記)」
고려 · 서하
※ 116권은 國語解에 해당. 요사 문서 참고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0522d><tablebgcolor=#a0522d> ||
}}}}}} ||

高模翰
(? ~ 959년)

1. 개요2. 생애3. 가족관계

1. 개요

요사에 등장하는 발해의 인물. 동경요양부, 즉 옛 요동성 일대가 고향이라 한다. 다른 이름은 송(松)이라 한다. 힘이 세고 활을 잘쏘고 병법 논하기를 좋아했다. 본래 발해 사람이었으나 고려를 거처 요나라로 가서 장군으로 활약한다.

2. 생애

발해인이었으나 발해가 멸망한 뒤 고려로 망명했다. 고려 태조의 딸[1]을 아내로 맞았으나 죄를 지은 탓에 고려에서도 쫓겨났고, 모국을 멸망시킨 요나라에 갔다. 요나라에서도 술을 마시고 사람을 죽여 투옥됐는데, 그 재능을 알아본 요태조 야율아보기가 그 죄를 용서했다.

936년 7월 후당장경달, 양광원이 50만 대군을 이끌고 태원을 공격하자 석경당이 요에 지원을 요청했다. 요태종의 명을 받은 고모한은 9월 장경달을 격퇴하고 태원의 포위를 풀었다. 석경당은 밤에 무사히 성에서 빠져나와 태종을 알현할 수 있었다. 이튿날 다시 후당군과 싸워 이겼다.

장경달은 진안채(晉安寨)에 숨었고, 고모한은 개선해 돌아갔다. 석경당은 독립해 후진 황제를 자칭했으며 얼마 뒤 장경달은 부하에게 살해당했다. 태종은 "짐이 병사를 일으킨 이래 경의 공적이 제일이니, 비록 옛 명장이라도 미치지 못한다."[2]라고 고모한을 칭찬했고, 상장군에 제수했다.

회동 원년(938) 책봉례를 거행하고 백관과 각국 사절들을 이의관(二儀殿)에 초대해 연회를 벌였다. 태종은 연회에 모인 이들에게 고모한을 소개하며, "우리 나라의 용맹한 장수요, 짐이 천하를 통일한 것은 이 사람의 힘 덕분이오."[3]라고 칭찬했고, 백관이 만세를 외쳤다.

후진이 맹약을 어기자 통군부사가 되어 승알과 함께 적성,덕, 패 등을 함락시켰다. 겨울이 되자 좌우에 철요자(鐵鷂子, 중장기병)를 거느리고 관남의 성읍 수백을 항복시켰다.

3월, 호관(虎官) 양담(楊覃)이 칙서를 받고 하북 건녕군(乾寧軍, 영주寧州)에 갔고, 창주절도사 전무(田武)가 포위하자 고모한과 조연수(趙延壽)가 모여서 구하러 갈 것을 의논했다. 이때 잠시 고모한의 눈 가운데서 빛이 나와 깃발과 병장기를 둘러싸며 유성과 같이 오래도록 빛나는 기묘한 일이 벌어졌다. 고모한은 "이는 하늘이 돕는다는 조짐이오!"[4]라며 병사를 출진시켰고, 죽이고 사로잡은 수가 아주 많았다. 이 공으로 시중에 올랐다.

이어 후진 염산(鹽山)을 점령했고 요안(饒安)을 격파해 태부로 승진했다. 후진은 위부절도사 두중위(杜重威)에게 병사 3만을 보내 고모한을 저지하려고 했다. 고모한은 주변 장수들과 병사들에게,
병법은 편제에 있지 수에 있지 않다. 많음으로 적음을 업신여기는 것은 옳지 않으니, 반드시 질 것이다. 이것을 후진에 알려주자![5]
라고 말하며 새벽에 공격을 감행했다. 대장기 아래 3백 명이 기습해 전투를 벌이니, 후진의 선봉장 양한장(梁漢璋)을 죽이고 나머지 병사들을 패주시켰다. 태종은 고모한의 공적이 전한의 장수 이릉과 비교할 만하다고 칭찬하는 조서를 직접 써서 하사했다.

두사충이 뒤이어 호타하(滹沱河)에 이르니, 태종이 고모한에게 계책을 물었다. 고모한은 직접 중도교(中渡橋)에서 후진군을 막았고 승리를 거뒀다. 두사충은 결국 요나라에 항복했다. 황제의 수레가 변(汴, 개봉) 땅에 이르자 특진검교태사에 임명되고 철군(悊郡) 개국공에 봉해졌으며 옥새가 새겨진 문서(璽書)와 함께 검기(劍器)를 받았다.

변주순검사가 돼 사수(汜水) 여러 산의 토적들을 평정했고 관직을 옮겨 중경을 지켰다. 세종 때인 천록 2년(948) 개부의동삼사가 더해졌고 봉의(對衣)와 마구, 명마를 받았다. 목종이 즉위한 응력 연간 초에는 중대성 우승에 올랐다. 고향 동경 요양부에 이르자 부로(父老)들이 고모한을 환영하며 "공은 기용되어 전장을 다니며 부귀에 이르렀으니, 향리에서 영(榮), 상여(相如, 사마상여), 매신(買臣, 주매신)의 무리와 비교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6]라고 했다. 응력 9년(959) 1월 좌상으로 관직을 옮겼다가 죽었다.

3. 가족관계

훗날 금나라에서 활동한 동경도 요양의 발해인 고정(高楨)과 동시대를 살았던 서경도 삭주의 고영견(高永肩)은 고모한의 후손이다.


[1] 왕건의 여식 중 배우자에 대한 기록이 없는 여식은 순안왕대비와 징효대사비문에 기록된 딸인 청단◯주뿐이다. 이 중에서 고모한의 아내가 있는지는 알 수 없다.[2] 朕自起兵, 百餘戰, 卿功第一, 雖古名將無以加.[3] 此國之勇將, 朕統一天下, 斯人之力也.[4] 此天贊之祥![5] 軍法在正不在多. 以多陵少, 不義必敗. 其晉之謂乎![6] 公起戎行, 致身富貴, 為鄉里榮, 相如、買臣輩不足過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