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5 19:19:59

고성군(경상남도)/교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고성군(경상남도)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고성군(경남)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도로 고속도로 통영대전선 (동고성IC, 고성IC, 연화산IC)
국도 14 · 33 · 77
지방도 30 · 58 · 67 · 1001 · 1002 · 1007 · 1009 · 1010 · 1016 · 1021 · 1037
고성군의 로
버스 농어촌버스 고성버스
버스 터미널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경상남도의 교통

1. 철도2. 도로3. 버스
3.1. 농어촌버스3.2. 시외.고속버스
4. 항구

[clearfix]

1. 철도

철도는 현재 없으나 남부내륙선 고성역 계획중이므로 개통된다면 고성에서도 열차를 탈 수 있을 예정이다.

2. 도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9b63><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9b63>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009b63> <colbgcolor=#ffffff,#191919> 갈천로 · 거류로 · 공단로 · 고봉로 · 공룡로 · 관인로 · 구만로 · 구절로 · 금호로
남산로 · 남일로 · 남포로
당동로 · 당항만로 · 대가로 · 대독산업로 · 대평로 · 덕선로 · 동외로 · 동해로 · 두포로
망봉로 · 무량로 · 문산로
방산로 · 배둔로 · 부포로 · 봉암산업로 · 봉오로
삼상로 · 상족암로 · 성내로 · 송산로 · 송학고분로 · 송학로 · 신월로
안정로 · 엑스포로 · 연화산1로 · 연화산2로 · 영회로 · 오봉산로 · 옥천로 · 외산로 · 월평로 · 일사로
자란만로 · 장치로 · 조선특구로 · 중앙로
청광로
하이로 · 학동로 · 화당로 · 회진로
경상남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파일:attachment/goseung_map.jpg
고성군 관내 도로
거가대교 개통 전인 200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통영시, 거제시를 가기 위해서는 고성을 무조건 거쳐가야 했기 때문에 통영, 거제와 타 지역을 이어주는 도로가 일찍이 발달한 편이다.

2.1. 고속도로

2006년 개통된 통영대전고속도로는 고성군을 남동-북서로 관통하면서 진주시통영시를 이어준다. 개통 당시 왕복 2차로였던 33번 국도와 지방도에 의존해야 했던 진주시 방면 소요시간이 크게 단축되었으며, 통영시 방면으로도 기존 14번 국도의 교통량을 대부분 흡수했다. 관내 나들목은 동고성 나들목, 고성 나들목, 연화산 나들목 3곳이 있다.

2.2. 국도

  • 14번 국도: 전통적으로 고성군 교통의 중심축이 되는 도로이다. 북쪽으로는 창원시와, 남쪽으로는 통영시와 연결되는 고성군의 주간선 도로였고, 때문에 1990년대 초반에 이미 왕복 4차로로 확장을 거쳤음에도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부산광역시, 창원시, 김해시, 울산광역시 등에서 고성, 통영, 거제를 가려면 이 도로를 무조건 거쳐가야 했기 때문에 휴일만 되면 터져나가는 극악의 정체를 자랑했다. 이후 2006년 통영대전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고성 나들목이남 구간은 고속도로가 대부분 교통량을 흡수해갔고, 2010년 거가대교도 개통되어 부산과 통영/거제를 오가는 교통량이 대부분 그쪽으로 쏠려 고성 나들목 이남은 2022년 기준으로는 꽤 한산해졌다. 하지만 고성 나들목 이북 구간은 아직도 고성/통영 - 창원 교통량이 많아 이 구간은 선형개량 공사를 하였다.
  • 33번 국도: 사천시(사천읍, 구 사천군)으로 향하는데 이쪽도 왕복 4차로로 길이 잘 뚫려있다. 사천읍에 사천공항이 있는 데다가 코앞에 남해고속도로가 있어 전라남도로 갈 때도 좋다.
  • 77번 국도: 남쪽 해안가를 동서로 훑고 지나가며 삼천포로 향하긴 한데 이쪽은 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에 현지인이거나 상족암을 방문할 계획이 없다면 굳이 이쪽으로 갈 필요는 없다.

2.3. 지방도

해안가 쪽은 나사 빠진 77번 국도를 대체할 수 있는 지방도가 많다. 당장 삼천포를 갈 때도 77번을 통째로 타기보단 33번 국도에서 슥 빠지는 1016번 지방도가 더 좋으며 금곡면(진주) 쪽으로 가는 1009번 지방도도 있어서 문산, 반성 쪽으로 바로 가는것도 가능하다.

그외의 지방도 노선은 1001번 지방도, 1002번 지방도, 1007번 지방도, 1010번 지방도등이 경유하고 있고 국가지원지방도는 아주 잠깐이나마 30번 지방도도 소재하고 있다.

3. 버스

3.1. 농어촌버스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998>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_White.svg
고성군(경상남도)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colbgcolor=#004998><colcolor=#fff,#008000> 고성읍,통영도산면
삼산면,하일면,하이면
상리면
대가면
영현면,영오면,개천면,진주금곡면
구만면
회화면,마암면
거류면,동해면,통영광도면
순환
}}}}}}}}} ||


고성군 전역을 운행하며, 사천시 시내버스가 하일면, 하이면까지 들어온다. 창원시 진동과는 터널 하나만 넘으면 되는 거리임에도 불구하고 시계외를 넘나드는 창원 시내버스가 없다. 단, 공룡엑스포 기간에는 창원에서 당항포까지 운행하는 노선을 운영한다. 2012년의 경우 공룡엑스포 기간동안 진동~당항포간 노선을 1일 7회로 운행했다. 하지만 진주와는 권역을 같이 하는데도 진주 시내버스는 내려오지 않으며, 고성 군내버스가 진주시 금곡면까지 운행한다. 이유는 금곡면이 고성군에 걸쳐있기 때문이라고. 아마도 시계외 노선의 수요가 없어서 그런 것으로 보이며, 고성 군내버스 업체와 시외버스 업체가 강력하게 반대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고성군 군내버스 정류장과 진주시 시내버스 정류장이 도보 1분 거리밖에 되지 않아 환승은 쉽다.

2012년 6월 농어촌버스에 교통카드 단말기가 설치되었으나, 쓰지는 않고 있었다. 그러나 2014년 9월에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런데 웃긴 것은 모든 버스에 CCTV가 설치되어 있고 버스 내부에도 설치되어있다. 그리고 빨간색으로 CCTV 감시중이라는 문구가 붙어있다. 고성버스에는 블랙박스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제야 교통카드 단말기를 설치했으면서 왜 운영을 안 하는지 알 수 없다.

버스 운행은 예전에는 행선지 시간표 운행제 이었다가 권역 번호제로 바뀌었다.

고성군내에는 농어촌버스 면허를 가진 회사가 2개 있는데, 고성버스거창고속이다. 실질적인 고성군 농어촌버스를 운영하는 고성버스의 경우 앞문만 있는 BS090을 투입한다. 한때는 대도시에서 쓰는 차보다 큰 BH113차량을 운행하기도 했다. 당연하게도 타는 사람들의 90%가 노인이다. 거창고속은 고성-삼천포, 임포-삼천포 두 개 노선만 운행하는데, 원래는 시외버스 면허였으나 2020년에 농어촌 면허로 전환되었다. 구간요금이 있다.

2019년 9월 1일부터 고성버스 요금이 단일화되었다. 요금은 성인 1,200원, 중고등학생 850원, 초등학생 600원이다.

3.2. 시외.고속버스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에서 타지로 가는 시외버스가 운행된다. 통영으로 가는 버스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진주마산으로 가는 버스가 자주 운행된다.

4. 항구

  • 국가어항 : 남포항, 맥전포항
  • 지방어항 : 당포항, 포교항
  • 어촌정주어항 : 가룡항, 거운항, 검포항, 곡용항, 구선창항, 군령포항, 내신항, 당항항(회화면), 대가룡항, 대구막항, 대막포항, 대천항(동해면), 대포항, 덕곡항, 덕명항, 던재항, 돈막항, 동문항, 동촌항, 동해항, 두모항, 마리개항, 망일포항, 매화항, 모래치항, 발막개항, 배암목항, 병산항, 봉곡항, 봉화골항, 북촌항, 세포항, 소가룡항, 소구학포항, 솔섬항, 신리항, 어신항, 오장동항, 용암포항, 용호항, 용흥항, 우두포항, 임포항, 입암항(동해면),입암항(하이면), 전포항, 제전항, 좌부천항, 큰구학포항, 평촌항, 하장항, 하중촌항, 하촌항 (49개소)
  • 소규모어항 : 와도항, 자란도항
총 : 55개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