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02:58:44

곰TV MSL 시즌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SL_Logo.jpg 역대 MBC GAME 스타리그 일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KPGA 투어
2002 KPGA 투어 1차 리그 리복배 KPGA 투어 2차 리그 펩시 트위스트배 KPGA 투어 3차 리그 스타우트&배스킨라빈스배 KPGA 투어 4차 리그
MSL
Stout MSL TG삼보 MSL 하나포스 센게임 MSL Spris MSL
당신은 골프왕 MSL 우주닷컴 MSL CYON MSL 프링글스 MSL 시즌1
프링글스 MSL 시즌2 곰TV MSL 시즌1 곰TV MSL 시즌2 곰TV MSL 시즌3
곰TV MSL 시즌4 Arena MSL 2008 Clubday Online MSL 2008 로스트사가 MSL 2009
아발론 MSL 2009 NATE MSL 하나대투증권 MSL 빅파일 MSL
피디팝 MSL ABC마트 MSL 2011 MSL 시즌 2
기타 대회
2001 KPGA 8월 투어 2001 KPGA 9월 투어 2001 KPGA 10월 투어 2001 KPGA 11월 투어
한빛소프트배 2001 KPGA
위너스 챔피언십
2003 K-TEC KPGA
위너스 챔피언십
레이디스 MSL
}}}}}}}}}}}} ||

파일:attachment/gomtvmsls2.jpg
파일:김택용msl2연패달성.jpg

1. 개요2. 사용 맵3. 특이 사항4. 리그 대개편5. 이모저모
5.1. 토스, 자신들을 입증하다.5.2. 마레기의 테란5.3. 버그가 아니고 스킬인데5.4. 날카로운 빌드의 귀재, BLADE TERRAN5.5. 이윤열의 MSL 통산 100승 달성5.6. 임요환의 스타1 마지막 개인리그
6. 예선 파행 사태

[clearfix]

1. 개요

2. 사용 맵

파일:attachment/gomtvmsls2.jpg 곰TV MSL 시즌2 맵
파일:파이썬.jpg
파일:attachment/Loki_Map.jpg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152_Desperado.jpg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146_Monty%20Hall.jpg
파이썬 로키1 데스페라도 몬티홀
1: 스폰서명을 붙여 사용

3. 특이 사항

  • 우승 상금이 3000만 원에서 5000만 원으로 증가. 준우승 상금도 100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증가.
  • 리그 방식이 32강 조별 원데이 듀얼-16강 싱글 엘리미네이션으로 바뀐다.[2]
  • 토너먼트 맵 추첨에 썸다운 제도 도입.
  • 하부리그인 서바이버 리그 폐지.
  • 차기리그 시드가 4장에서 8장으로 환원.
  • 주 2회 방송체제로 전환(목, 토요일).
  • 기존의 방패 로고 폐지.
  • 이윤열이 10차 서바이버 리그에서 MSL 최초의 100승[3]을 기록.
  • 이주영공군 ACE 입대로 8강 1자리(송병구)와 시드 1장(서지훈)을 와일드 카드전으로 채움.
  • MSL 최초의 프프전 결승.
  • 김택용MSL 2연패 및 POS-MBC GAME HERO 소속 선수의 마지막 개인리그 우승.[4]
  • 리그 슬로건를 THE LIVE로 변경.
  • 일간스포츠가 주최사로 참여.
  • 양대 리그 최초로 경기 시간 실시간 카운팅이 시작된 리그.
  • 직전 대회에서 사용된 모든 맵이 교체된 유일무이한 MSL.[5]
  • 르까프 오즈 소속 선수들이 MSL 본선 진출 실패.[6][7]
  • MSL에서 공식맵에 섬맵이 채택되었던 마지막 대회.[8][9]
  • 박태민의 마지막 양대 개인리그 4강 진출.
  • 이성은의 처음이자 마지막 개인리그 4강 진출.
  • 리그 오프닝이 2008 BDA Design World Gold Awards Sport-Open에서 동상 수상.
  • 최연성의 3시즌만에 MSL 복귀.
  • 임요환, 변은종, 원종서의 마지막 MSL.
  • 김남기, 장용석, 임동혁, 이승훈, 박정욱, 박성훈의 처음이자 마지막 MSL 진출.

곰TV 시즌2 티저 오프닝 링크
곰TV 시즌2 오프닝 링크

자세한 대진표는 곰TV MSL 시즌2/대진표를 참고.

4. 리그 대개편

MBC GAME이 본선을 16강에서 32강으로 확대하면서 이미 확정된 16명(10차 서바이버리그를 통해 차기 스타리그 진출이 확정된 12명+전 시즌인 곰TV MSL 시즌1 1~4등)에 이어 추가로 16명을 확보해야 했다. 남은 16자리는 추가 오프라인 예선을 통과한 24명과 10차 서바이버리그 2라운드 조별 결승전 패자 8명, 총 합해서 32명이 4인 1조 구성으로 통 8개조를 이뤄 각각 듀얼토너먼트 형식으로 조당 2명씩, 총 16명이 결정되었다.

본선 시스템도 바뀌었으며 4개조가 4주에 걸쳐서 치렀던 조별리그 듀얼 토너먼트는 32강 원데이 듀얼로 바뀌어 8개조가 4주안에 모두 조별리그를 마치는 시스템으로 바뀌었고 2라운드도 8강 조별 듀얼 토너먼트(승자전/패자전/최종전 3전2선승제)-4강 크로스 토너먼트에서 다전제 싱글 엘리미네이션으로 바뀌었다. 이 대회부터는 MSL은 8강부터 5전 3선승제가 적용되었다.

또한, 차기리그 시드도 4장에서 8장으로 환원되어 8강 진출자들은 모두 시드를 받게 되었다.

또한 CYON MSL부터 곰TV MSL 시즌1까지 유지되었던 그래픽 패키지도 이 시즌부터 크게 바뀌고 이는 로스트사가 MSL 2009까지 유지되고 아발론 MSL 2009에서는 로고 변경과 함께 같이 변경되었다. 거기에 공식전 대회 최초로 경기 시간에 대한 실시간 카운팅을 도입하였다.[10][11]

5. 이모저모

5.1. 토스, 자신들을 입증하다.

토스의 두 축 택뱅시대를 알린 대회.

송병구변형태에게 불의의 일격을 당해 Daum 스타리그 2007 4강에 머물렀고, 곰TV MSL 시즌 2에서도 16강에서 마XX에게 패했지만 이주영배 와일드카드전에서 승리하며 8강에 진출했다. 그리고 강구열이성은을 연달아 꺾고 MSL 결승에 진출해 첫 결승을 치르게 되었다.

또한 김택용도 곰TV MSL 시즌1 우승이 운이 아닌 자신의 실력이란 점을 증명하고 싶어했다.[12] 그리고 3:2의 치열한 승부 끝에 2연패를 달성했다. 이때 송병구가 혈전인 5세트에서 '드라군 사업을 안 해서 패배했다'는 인터뷰를 해 '송핑계'라는 별명을 얻고 엄청나게 까였다.[13] 당대에는 말도 못 할 수준으로 까였던 송병구였지만, 이후 겜알못 드립을 스스로 즐기게 된 팀 동료 허영무처럼, 송병구도 자신의 프로리그 등장 BGM을 김건모핑계로 틀며 택뱅록에 임하는 등 핑계 드립을 스스로 많이 써먹게 된다.

후반은 사업 여부에 상관 없이 아비터에 333업까지 한 김택용이 훨씬 유리했다. 따지면 사업보다는 유닛 업그레이드 차이가 컸다. 다만 첫 번째, 두 번째 전투에서 송병구가 계속 승리를 거뒀는데, 사업이 됐다면 김택용의 고급 유닛과 업그레이드가 추가되기 전에 그냥 끝냈을 확률이 높다. 경기를 보면 드라군 사업이 안 돼서 끝내기 러쉬가 심시티에 번번히 막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애초에 사업이 됐으면 유닛 교전비도 훨씬 좋았을테니까. 어쨌든 이와 상관 없이 패자가 승자를 축하해주지 못할 망정 사업 핑계부터 댄 건 좋은 모습은 아니었던 건 명백했다. 프로의 세계에서는 이런 실수도 결국 실력의 일부이기에 더욱 더 그렇다.

5.2. 마레기의 테란

마레기는 조지명식 때부터 박태민에게 테란을 골라 관광을 보내주겠다는 등 과거 팀 선배였던 박태민에게 싸가지없는 도발을 시전, 성질 있기로 유명한 박태민은 분노를 숨기지 않았고 둘의 매치업은 조별 리그의 최대 화젯거리가 되었다. 당시 조지명식 영상[14]

그렇게 데스페라도에서 펼쳐진 마레기와 박태민의 테저전에선 박태민이 마레기의 커맨드를 처묵처묵하면서[15] 잊지 못할 관광을 선사했으나, 현실은 박태민의 표정 세리머니[16]가 짤방으로 기억될 뿐... 이 경기에서 김철민 캐스터가 숨겨진 러커 에그를 두고 "계란 냄새가 나거든요~"라는 주옥같은 드립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 기세를 타고 박태민은 4강까지 오르며 올드 저그의 저력을 보여주었지만 4강 상대가 김택용이었기에 결국 다음 시즌 시드 확보에 만족해야 했다.

어쨌든 최종전을 거쳐 16강에 진출한 마레기송병구를 잡고 올라간 8강에서 이성은에게 2:3으로 패배해 고배를 마시고 서서히 몰락하기 시작한다. 이때 본진 이사까지 가면서 악착같이 버틴 끝에 배틀크루저로 영혼까지 말려죽인 1세트는 장장 59분간의 혈전으로 우주방어 테란의 사기전설을 널리 알린 최고의 MSL 테저전 명경기 중 하나로 회자되고 있다. 5세트를 몰래배럭 불꽃 러시로 승리한 후 이성은이 시전한 저질댄스 세레머니저그 본좌를 비하하는 것이라고 여긴 마빡이들이 분노해 싸이를 털었다. 그러나, 그 뒤 다들 알다시피 어떠한 사건이 터졌고, 이로 인해 이성은은 이 세레머니로 흑열사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리고 이성은은 와일드카드전을 거쳐 부활한 팀 동료 송병구와 벌인 4강전에서 접스타 의혹을 받으면서 패배, 토막이라는 것을 보여줘서 더더욱 까였다. 한 스덕후는 스타에서 세트 스코어 5:0 경기를 볼 줄은 꿈에도 몰랐다고 회고했고[17], 이성은 본인도 후에 ABC마트 MSL 조지명식에서 이 5:0 관광을 언급하면서 송병구와 같은 조가 되기를 희망했다. 이때 했던 명언(?)이 '송병구의 넥서스를 불바다로 만들겠다'였는데[18], 정작 이 대회에서도 송병구에게만 조별리그 2패를 하고 탈락(...)했다.

5.3. 버그가 아니고 스킬인데

박성훈 vs. 김XX서바이버 대결에서 김XX는 미네랄을 문 SCV로 리턴 카고 단축키(c)를 연타하여 박성훈의 막힌 입구를 비집는 버그성 플레이로 박성훈의 전략을 간파해 MSL에 진출했다. 이후 이 플레이는 공식전에서 금지되었고, 같은 버그를 차기 대회에서 사용한 박지수는 몰수패를 당했다.

이 플레이로 김XX는 '버그테란', '김벌레' 등의 별명을 얻으며 스타판을 뜨겁게 달궜는데, 선수들 사이에서도 반응은 싸늘해서 조지명식에서 김XX와 맞붙게 된 강구열이 대놓고 "저는 버그를 쓰는 테란에게는 지지 않습니다."라고 말할 정도였다. 이에 그는 상당히 발끈해서 "버그가 아니고 스킬인데 자꾸 버그 버그 하시니까 좀 그렇고, 강구열 선수 별로 잘 한다고 생각 안 하고요"라 맞받아치며 큰 논란을 야기했다. 결국 32강에서 김XX가 강구열에게 2번 연속 KO패하면서 상황은 일단락되었고, 강구열은 벌레를 박멸하는 '세스코 테란'이라 칭송받게 되었다.

어쨌든 이 대회는 박성훈과 김XX의 경기 말고도 서바이버가 상당히 치열했던 대회다.

덧붙여 김택용도 이 대회 8강에서 진XX를 잡고 올라갔는데 이때 상대편의 빌드가 스캔 러시라 본진을 정찰하지 못하게 입구를 막았으나 김택용이 프로브 비비기로 들어와 정찰에 성공. 이전에 있었던 김XX vs 박성훈 서바이버에서의 일꾼 비비기 버그 문제와 겹쳐져서 비난을 받았다. 하지만 김택용은 이 경기에서 몰수패를 당하지 않았다. 김창희가 썼던 달리 배럭 건설 중인 일꾼을 어택했고, 이 과정에서 우연히 SCV와 프로브가 비벼지면서 진XX의 본진으로 진입한 것이다. 김XX가 썼던 버그와는 달리 금지된 비비기가 아닌 것.

엄밀히 말하자면 김XX는 리턴카고 버튼을 이용한 버그성 비비기였고, 김택용은 리턴카고 버튼을 사용하지 않았다. 덧붙여 김XX가 리턴카고 비비기를 사용한 당시에는 금지된 룰이 아니었다. 이 사건으로 논란이 되자 이 버그를 사용한 선수는 몰수패 처리 당하는 것으로 룰이 개정됐다. 그러니까 코파지마, 택신에겐 천운이 따랐을 뿐이다

5.4. 날카로운 빌드의 귀재, BLADE TERRAN

상술한 대로 김벌레를 제압한 강구열이 날카로운 빌드의 귀재, 약칭 날빌귀 강수장으로 명성을 얻기 시작한 것이 이 대회였다. 기본기가 부족한 팀플 전문 테란으로 평가받았으나, 극한의 전략성으로 16강에서 서지훈까지 압살하는 대이변을 연출하며 8강에 진출, 그러나 이후의 행보는... 강라인 항목 참조.

5.5. 이윤열의 MSL 통산 100승 달성

한편 이윤열은 예선 서바이버 리그 2라운드 B조 2경기에서 같은 팀 소속이던 심소명을 만나 1세트 롱기누스 2 경기를 통해 하부 리그를 모두 포함해 MSL 통산 100승을 달성하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100승을 달성한 임요환, 홍진호에 이어 세 번째로 단일 개인리그 100승의 주인공이 되었다. 이후 이윤열은 아발론 MSL 2009까지 MSL에 진출해 통산 125승을 기록하며 MSL 및 단일 개인리그 최다 승수 기록을 세웠다.

이후 이제동이 이윤열에 이어 두 번째로 MSL 100승에 도전했지만 ABC마트 MSL 4강에서 김명운에게 1:3으로 패하고, 예선까지 다 치른 차기 MSL인 2011 MSL 시즌 2MBC GAME의 폐국으로 인해 취소되면서 정말 아깝게 100승에 딱 1승이 모자란 통산 99승에서 멈추게 되었다. 결국 이윤열 외에 MSL에서 통산 100승을 달성한 선수는 아무도 없게 되었다.

5.6. 임요환의 스타1 마지막 개인리그

임요환이 공군 입대 문제로 8강에서 기권한 프링글스 MSL 이후 간만에 MSL에 진출하여 강민에게 핵관광을 선사하는 등 선전했으나, 최종전에서 다시 만난 강민에게 패스트 캐리어 역관광을 당하고 탈락했다. 이후 그는 소속팀의 조치로 차기 시즌 서바이버 토너먼트에 기권을 했고, 이 대회가 마지막으로 진출한 스타1 개인리그가 됐다.

임요환은 곰TV MSL 시즌2 본선 진출에 성공하면서 MSL 본선 10회를 기록, 이윤열조용호에 이어 세 번째로 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 10-10 클럽 달성자가 되었다.

6. 예선 파행 사태

본 대회 예선은 프로리그 중계권 사태가 일어나는 도중에 열렸다. 중계권 협상이 결렬되면서 PSL이 진행되던 도중 협회의 지시를 받은 비방송사팀[19]들이 예선장에서 철수하는 개막장 사건이 터졌고, 이 상황이 LIVE로 생중계되면서 협회는 여론의 일점사를 당하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프로리그 중계권 사태 항목 참조.

그리고 이 사태로 인해 리그 준비 기간이 짧아지면서 오프닝도 전 대회 우승자인 김택용 혼자만 출연하였다.[20]


[1] 한때 워크래프트 3계를 주름잡았던 Freedom.WeRRa 장용석이다.[2] 반대로 1주일 늦게 개막한 스타리그Daum 스타리그 2007은 24강에서 16강으로 회귀했다.[3] MSL + 1차 마이너리그를 제외한 마이너리그 + 서바이버 리그 + 서바이버 토너먼트 + 2001 KPGA 8~12월 월별 투어 + 2002 KPGA 1차~4차 리그 + 2003 KTEC KPGA 위너스 챔피언십 전적[4] 명예의 전당 헌액자인 박성준과 김택용이 이적한 이후 MBC GAME HERO에서는 2010년에 이재호가 빅파일 MSL 4강에 진출했을 뿐, 단 한 명도 개인리그 결승에 진출하지 못했다.[5]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직전 대회에서 사용된 맵이 모두 교체된 대회는 2001 코카콜라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사용된 맵이 모두 교체된 2001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다.[6] 유일하게 군인 팀인 공군 ACE를 빼면 프로 팀 중에서 본선에 올라오지 못한 팀은 eSTRO와 함께 르까프가 유이하다. 추가로 르까프는 옆 동네에서도 본선 진출자가 나오지 못했다.[7] 이후 차기 대회에서는 본선 진출자 을 배출하고, 차차기 대회에서는 마지막 저그 양대리그 우승자를 배출하고, 1년 후에는 테란 우승자마저 배출한다.[8] 이 대회에서 사용하였던 몬티홀 이후 MSL에서는 시간형 섬맵이고 완전 섬맵, 반섬맵이고 정상적인 섬맵을 단 한 개도 사용하지 않았다.[9] 반대편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는 이후에도 박카스 스타리그 2008, EVER 스타리그 2008에서 역시간형 섬맵인 트로이를 사용하였지만,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에서 플라즈마를 끝으로 스타리그도 더 이상 정상적인 섬맵을 사용하지 않았다.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와 공식전의 마지막 섬맵류 맵은 KeSPA에서 제작한 시간형 섬맵인 배틀로얄로, 하필이면 희대의 밸런스 붕괴 및 저그맵으로 악명을 떨치며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라운드에서 쓰이는 것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프로리그 및 KeSPA에서도 섬맵류 맵이 나오지 않으면서 공식전에서 섬맵의 역사는 완전히 끊기게 되었다.[10] 이후 실시간 경기 시간 카운팅 시스템은 온게임넷 스타리그EVER 스타리그 2007부터 도입되었다.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에서는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에서 MBC GAME이 최초로 프로리그에서 도입하였고, 온게임넷에서는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5라운드부터 프로리그에도 도입되었다.[11] 사실 실시간 카운팅 시스템은 2004년 경 온게임넷에서 주관 방송했던 KT Megapss 프리미어 리그 2004에서 처음 도입되었다. 하지만 이 당시에는 기술상의 한계로 결승전과 야외 투어 무대에서는 시행되지 못했다. 결국 완전한 실시간 시간 카운팅 시스템은 시간이 많이 지난 2007년 경에서야 야외 무대에서도 정상 적용되었을 정도였다.[12] 실제로 프로리그에서는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서 3.3혁명이 운빨이란 얘기도 제법 있었다.[13] 이 대회의 준우승으로 둘의 차이가 벌어졌다고 생각하면... 사실 코인으로 사람들 등쳐먹지 말고 정정당당하게 사업해서 돈을 벌라는 일침이었다[14] 정말 이 당시 박태민의 표정은 농담이 아니라 진심으로 화난 표정이었다. 실제로 박태민의 말들을 들어보면 굉장히 독기가 차 있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15] 사실 대부분 경기가 기운 상태에서 커맨드 감염이 나오지만, 이 경기에서 퀸의 등장은 다분히 전략적인 선택이었다. 이 맵은 본진 가스가 2개고 앞마당에 가스가 없기 때문에, 본진 커맨드를 없애 버리면 순간 가스 채취에 심대한 타격을 받게 된다.[16] 이 경기 승리 후는 아니고 승자전에서 안상원을 꺾은 후 간지 표정을 지었다.[17] 사실 그 이전에도 있었다.[18] 덕분에 '북괴테란'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9] 즉, 온게임넷 스파키즈, MBC GAME HERO, eSTRO를 제외한 나머지 팀들.[20] 다만 다른 선수들은 사진으로나마 나오기는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