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05:47:55

공군참모총장

공군사령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각 군 참모총장
합동참모의장 국방참모총장 육군참모총장 해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



1. 개요

Chief of Staff of the Air Force (CSAF), Chief of the Air Staff (CAS)

공군본부의 수장으로 공군 전체의 최선임 장교이다.

의전서열합동참모의장-육군참모총장-해군참모총장 다음으로 4위이다.

2. 대한민국 공군

2.1. 역대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미합중국 공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 합동참모본부의 현역 대장
{{{#!wiki style="margin: 0 -10px"
{{{#4169e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합동참모의장
찰스 브라운 (공군)
합동참모차장
크리스토퍼 그레이디 (해군)
육군참모총장 해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
랜디 조지 리사 프란체티 데이비드 올빈
육군참모차장 해군참모차장 공군참모차장
제임스 밍거스 제임스 킬비 제임스 슬라이프
해병대사령관 해안경비대사령관 우주군참모총장
에릭 스미스 린다 파간 챈스 솔츠먼
해병대부사령관 해안경비대부사령관 우주군참모차장
크리스토퍼 마호니 케빈 룬데이 마이클 게틀린
주방위군총감
스티븐 노드하우스 (공군) }}}}}}
}}}}}}}}}

현직
파일:Alvin VCSAF.jpg
데이비드 올빈 (David W. Allvin)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CoSUSAF.svg.png

Chief of Staff of the United States Air Force. 각군 참모총장과 마찬가지로 군령권도, 군정권도 없으며, 문민인 국방장관, 공군장관의 참모 역할에 가깝다.

파일:Welsh_Schwartz_change_of_command.jpg

공군참모총장과 공군주임원사만이 입을 수 있는 특별한 예복이 있다. 왼쪽부터 국방장관이었던 리언 패네타, 합참의장 마틴 뎀프시, 공군장관 마이클 돈리[1], 19대 공참총장 노턴 슈워츠, 20대 공참총장 마크 웰시, 공군주임원사 제임스 로이다. 이 예복이 안 유명한 건 옷을 입을 수 있는 사람이 공군참모총장과 공군주임원사 밖에 없는데다가 그나마도 자비로 구입해야 하기 때문이다. 가격은 700달러(한화 약 90만원) 수준이다.

3.1. 역대 공군참모총장

전원이 공군 대장이다. 공군총장이지만 20대까지는 육사 출신이 10명, 학군 출신이 5명, 학사/간사 출신이 2명, 공사 출신이 4명이다. 또한 핵전쟁의 압박 속에서 폭격기들을 많이 굴리는 미군의 특성상 전투기 조종사 외에도 폭격기 조종사 출신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특히 냉전시대엔 폭격기 경력자들[2]이 자주 공군총장에 올랐지만 냉전이 끝난 뒤에는 전투기 출신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헨리 아놀드 원수가 최초, 최후의 공군원수이지만, 공군 독립 이전에 모든 보직에서 물러났기 때문에 공군참모총장 보직을 수행해 보지는 못했다.[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CoSUSAF.svg.png
미합중국 공군참모총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칼 스파츠 호이트 반덴버그 네이선 트와이닝 토머스 화이트 커티스 르메이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존 매코넬 존 라이언 조지 브라운 데이비드 존스 루 앨런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찰스 게이브리얼 래리 웰치 마이클 듀건 메릴 맥피크 로널드 포글먼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마이클 라이언 존 점퍼 마이클 모슬리 노턴 슈워츠 마크 웰시
제21대 제22대 제23대
데이비드 골드파인 찰스 브라운 데이비드 올빈 }}}}}}}}}
  • 1대 칼 스파츠(Carl A. Spaatz): 1947-1948. 본래 미 육군 보병 출신으로 웨스트포인트를 나왔다.
  • 2대 호이트 반덴버그(Hoyt Vandenberg): 1948-1953. 웨스트포인트 출신. 유럽에서는 주로 근접항공지원을 담당했고, 2대 CIA 국장을 지냈다. 캘리포니아밴던버그 공군기지에 이름이 붙었다. 정보분야에서 활동한 다크한 경력과는 별개로 굉장히 잘생겼던 사람이라서 마릴린 먼로에게 조 디마지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함께 무인도에 함께 갇히고 싶은 세 남자로 지목되기도 했다.
  • 3대 네이선 트와이닝(Nathan F. Twining): 1953-1957. 웨스트포인트 출신. 합참의장을 지냈다. 소싯적엔 주방위군에서 잠깐 복무하다 사관학교에 가서 졸업한 뒤 조종사가 되었다. 유럽전선에서 폭격한 경력이 있다.
  • 4대 토머스 D. 화이트(Thomas D. White): 1957-1961. 웨스트포인트 출신. 관측기를 몰았고 주로 참모직에서 근무했다.
  • 5대 커티스 르메이(Curtis E. LeMay): 1961-1965.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육군 ROTC 출신이지만 타고난 항덕후로서 조종사 되겠다고 육군 예비역, 주방위군, 육군 항공단까지 소위만 세번을 했다. 젊은 시절에는 전투기를 조종했으나 석기 시대 정체성을 깨닫고는 30대의 나이로 장군이 되어 독일과 일본에 불벼락을 내리며 전략 폭격의 방법론을 정립했다. 전략공군사령부에서도 플라잉 붐 방식 공중급유기의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탄도 미사일 개발에 나섰으며 M16 소총의 도입을 적극 추진하는 등의 다양한 업적을 남겨서 오늘날에는 미 공군 독립 이래 최고의 명장이자 맹장으로 꼽히고 있다. 심지어는 전역 이전에 원수로 추대하자는 주장까지 나오기도 했다.
  • 6대 존 매코넬(John P. McConnell): 1965-1969. 다른 대학을 다니다 재수해서 웨스트포인트를 나왔다. 1966년 해롤드 존슨 육군참모총장과의 존슨-매코넬 협정을 체결하여 군용 항공기의 소속 논란을 마무리했다.
  • 7대 존 라이언(John D. Ryan): 1969-1973. 웨스트포인트 출신으로 폭격기를 몰았다.
  • 8대 조지 브라운(George S. Brown): 1973-1974. 웨스트포인트 출신으로 폭격기를 몰았다. 재임기간이 짧은 게 합참의장으로 영전했기 때문이다.
  • 9대 데이비드 존스(David C. Jones): 1974-1978. 폭격기. 학사장교 출신이다.
  • 10대 루 앨런(Lew Allen): 1978-1982. 육사 출신이다. 폭격기 조종사로 활동했고, NSA 국장을 지냈다. 참모총장 임기 이후에는 NASA 제트추진연구소장[4]을 8년간 역임했다.
  • 11대 찰스 게이브리얼(Charles A. Gabriel): 1982-1986. 육사 출신으로 전투기를 몰았다.
  • 12대 래리 웰치(Larry D. Welch): 1986-1990. 미 육군 병으로 근무하다 전군해서 장교후보생으로 미 공군에 입대했다. 전투기 출신이다.
  • 13대 마이클 듀건(Michael J. Dugan): 1990-1990. 육사 출신이다. 전투기를 몰았다. 걸프전 당시에 미국군이 이라크사담 후세인과 그의 가족, 정부까지 포격할 거라고 인터뷰했다가 당시 국방장관딕 체니에 의해 경질되었다. 재임기간은 겨우 78일. 존 로(John M. Loh)가 직무대행을 했다. 여담으로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2에 비슷하게 생긴 동명이인의 미국 대통령이 있다.
  • 14대 메릴 맥피크(Merrill A. McPeak): 1990-1994. 샌디에이고주립대학 ROTC 출신이다. 재직 당시 영국 공군마냥 해군스러운 수장을 정복에 넣으려는 시도를 했다가 수많은 공군 장병들이 경악하여 흑역사로 묻힌 기록이 있다. 버락 후세인 오바마가 대통령에 출마할 당시 민주당 선대위원장을 지냈다.
  • 15대 로널드 포글먼(Ronald R. Fogleman): 1994-1997. 전투기/수송기 조종사 출신으로 최초의 미국공군사관학교 출신 공군총장이다. 주한미군7공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통합군 수송사령관을 지낸 뒤 참모총장에 올랐다. 전역 후 STS-107 컬럼비아 우주왕복선 폭발사고의 재발 방지를 위한 스태퍼드-코비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2010년대 들어서는 보잉의 고문으로 일하며 3차 FX 사업의 경쟁자였던 F-35를 까기도 했다.
  • 16대 마이클 라이언(Michael E. Ryan): 1997-2001. 공사 출신으로 전투기를 몰았다. 아버지가 7대 공군참모총장이었던 존 라이언이다.
  • 17대 존 점퍼(John P. Jumper): 2001-2005. 버지니아군사대학 ROTC 출신이다. 전투기 출신.
  • 18대 마이클 모슬리(T. Michael Moseley): 2005-2008. 텍사스 A&M 대학(Texas A&M University)을 졸업했다. 전투기 출신.
  • 19대 노턴 슈워츠(Norton A. Schwartz): 2008-2012. 공사 출신. 역대 공군총장들이 전투기나 폭격기로 출신이 양분되는 것과 달리 특수작전항공기, 즉 대형 수송기(C-130 계열기)와 헬리콥터를 몰았다. 통합군 경력도 수송사령관 출신이라 다른 공군총장들에 비해 굉장히 튀는 편이다.
  • 20대 마크 웰시(Mark A. Welsh III): 2012-2016. 공사 출신. 전투기 조종사 출신으로 주 기종은 A-10, F-16
  • 21대 데이비드 골드파인(David L. Goldfein): 2016-2020. 공사 출신. 전투기 조종사 출신으로 주 기종은 F-117, F-16
  • 22대 찰스 브라운(Charles Q. Brown Jr.): 2020-2023. 텍사스 공과대학 출신. 전투기 조종사 출신으로 주 기종은 F-16. 합참의장으로 영전.
  • 23대 데이비드 올빈(David W. Allvin): 2023-현재. 공사 출신. 수송기 조종사 출신.

4. 항공자위대

현직
파일:message1.jpg
우치쿠라 히로아키 (内倉浩昭)
방위대학교 31(공군사관학교 35)

파일:항공막료장 기.svg

항공막료장(航空幕僚長). Chief of Staff, Air Self Defense Force.

4.1. 항공막료장

파일:항공막료장 기.svg
항공자위대 항공막료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우에무라 겐타로
제2대
사나기 사다무
제3대
겐다 미노루
제4대
마쓰다 다케시
제5대
우라 시게루
제6대
무타 히로쿠니
제7대
오무로 쓰토무
제8대
오가타 가게토시
제9대
우에다 야스히로
제10대
이시카와 간시
제11대
시라카와 모토하루
제12대
쓰노다 요시타카
제13대
히라노 아키라
제14대
다케다 고로
제15대
야마다 료이치
제16대
나마타메 오사무
제17대
모리 시게히로
제18대
오무라 히토시
제19대
요네카와 다다요시
제20대
스즈키 아키오
제21대
이시즈카 이사오
제22대
스기야마 시게루
제23대
무라키 고지
제24대
히라오카 유지
제25대
다케고치 쇼지
제26대
도타케 이쿠오
제27대
쓰마가리 요시미쓰
제28대
요시다 다다시
제29대
다모가미 도시오
제30대
호카조노 겐이치로
제31대
이와사키 시게루
제32대
가타오카 하루히코
제33대
사이토 하루카즈
제34대
스기야마 요시유키
제35대
마루모 요시나리
제36대
이즈쓰 슌지
제37대
우치쿠라 히로아키
}}}}}}}}}
역대 이름 한자(한국식 한자음) 임기 출신 일본군 경력
1 우에무라 겐타로 上村健太郞(상촌건태랑) 1954.7.1 - 1956.7.3 도쿄대학
2 사나기 사다무 佐薙毅(좌치의) 1956.7.3 - 1959.7.18 해병50기 해군 대좌
3 겐다 미노루 源田實(원전실) 1959.7.18 - 1962.4.7 해병52기 해군 대좌 [5]
4 마쓰다 다케시 松田武(송전무) 1962.4.7 - 1964.4.17 도쿄대학/육사39기 육군 대좌
5 우라 시게루 浦茂(포무) 1964.4.17 - 1966.4.30 육사44기 육군 중좌
6 무타 히로쿠니 牟田弘國(모전홍국) 1966.4.30 - 1967.11.14 육사43기 육군 중좌
7 오무로 쓰토무 大室孟(대실맹) 1967.11.15 - 1969.4.25 육사45기 해군 소좌
8 오가타 가게토시 緒方景俊(서방경준) 1969.4.25 - 1971.7.1 육사46기 육군 소좌
9 우에다 야스히로 上田泰弘(상전태홍) 1971.7.1 - 1971.8.10 육사49기 육군 소좌
10 이시카와 간시 石川貫之(석천관지) 1971.8.10 - 1973.7.1 육항사50기 육군 소좌
11 시라카와 모토하루 白川元春(백천원춘) 1973.7.1 - 1974.6.30 육항사51기 육군 소좌
12 쓰노다 요시타카 角田義隆(각전의륭) 1974.7.1 - 1976.10.15 해기 49기[6] 해군 대위
13 히라노 아키라 平野晃(평야황) 1976.10.15 - 1978.3.16 해병69기 해군 대위
14 다케다 고로 竹田五郞(죽전오랑) 1978.3.16 - 1979.7.31 육사55기 육군 대위
15 야마다 료이치 山田良市(산전양시) 1979.8.1 - 1981.2.17 해병71기 해군 대위
16 나마타메 오사무 生田目修(생전목수) 1981.2.17 - 1983.4.26 육사58기 육군 소위
17 모리 시게히로 森繁弘(삼번홍) 1983.4.26 - 1986.2.5 육사60기 사관생도
18 오무라 히토시 大村平(대촌평) 1986.2.6 - 1987.12.11 도쿄공업대
19 요네카와 다다요시 米川忠吉(미천충길) 1987.12.11 - 1990.7.9 아오야마학원
20 스즈키 아키오 鈴木昭雄(영목소웅) 1990.7.9 - 1992.6.16 방대 1(공사 5)
21 이시즈카 이사오 石塚勳(석총훈) 1992.6.16 - 1994.7.1 방대 3(공사 7)
22 스기야마 시게루 杉山蕃(삼산번) 1994.7.1 - 1996.3.24 방대 4(공사 8)
23 무라키 고지 村木鴻二(촌목홍이) 1996.3.25 - 1997.12.8 방대 6(공사 10)
24 히라오카 유지 平岡裕治(평강유치) 1997.12.8 - 1999.7.9 방대 8(공사 12)
25 다케고치 쇼지 竹河內捷次(죽하내첩차) 1999.7.9 - 2001.3.26 방대 9(공사 13)
26 도타케 이쿠오 遠竹郁夫(원죽욱부) 2001.3.27 - 2003.3.27 방대 11(공사 15)
27 쓰마가리 요시미쓰 津曲義光(진곡의광) 2003.3.27 - 2005.1.12 방대 13(공사 17)
28 요시다 다다시 吉田正(길전정) 2005.1.12 - 2007.3.28 방대 14(공사 18)
29 타모가미 토시오[7] 田母神俊雄(전모신준웅) 2007.3.28 - 2008.10.31 방대 15(공사 19)
직무대행 이와사키 시게루 岩岐茂(암기무) 2008.10.31 - 2008.11.7 방대 19(공사 23)
30 호카조노 겐이치로 外薗健一朗(외원건일랑) 2008.11.7 - 2010.12.24 방대 18(공사 22)
31 이와사키 시게루 岩岐茂(암기무) 2010.12.24 - 2012.1.30 방대 19(공사 23)
32 가타오카 하루히코 片岡晴彦(편강청언) 2012.1.31 - 2013.8.22 방대 20(공사 24)
33 사이토 하루카즈 齊藤治和(제등치화) 2013.8.22 - 2015.12.1 방대 22(공사 26)
34 스기야마 요시유키 杉山良行(삼산양행) 2015.12.1 - 2017.12.20 방대 24(공사 28)
35 마루모 요시나리 丸茂吉成(환무길성) 2017.12.20 - 2020.8.24 방대 27(공사 31)
36 이즈쓰 슌지 井筒俊司(정통준사) 2020.8.25 - 2023.3.29 방대 30(공사 34)
37 우치쿠라 히로아키 内倉浩昭(내창호소) 2023.3.30 - 방대 31(공사 35)

4.1.1. 주요 출신 직종

직종을 살펴보면 조종 출신들이 가장 많긴 하다. 역대 항공막료장 34명 가운데 경찰 관료 출신이 1명, 조종 출신이 27명, 방공포병 출신이 1명, 항공관제/방공관제 출신이 2명, 군수(항공우주공학,기계공학/보급) 출신이 4명, 인사행정 출신이 2명이다.

5. 인민해방군 공군

현직
파일:중국인민해방군상장창딩추.jpg
창딩추 상장
2021년부터 13대 공군사령원 창딩추 공군상장이 취임했다. 이전 보직은 연합참모부 부참모장

5.1. 역대 공군사령원

파일:중국 인민해방군기.svg 중국 인민해방군 역대 공군사령원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기.svg
1대 2대 3대 4대 5대
류야러우 우파셴 마닝 장팅파 왕하이
6대 7대 8대 9대 10대
차오솽밍 위전우 류순야오 차오칭천 쉬치량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마샤오톈 딩라이항 창딩추 . .
  • 1대 류야러우(刘亚楼) 공군상장 1949. 10 - 1965. 5
  • 2대 우파셴(吴法宪) 공군중장 1965. 5 - 1973. 5[11]
  • 3대 마닝(马宁) 공군소장 1973. 5 -1977. 4
  • 4대 장팅파(张廷发) 공군소장 1977. 4 - 1985. 7
  • 5대 왕하이(王海) 공군상장 1985. 7 - 1992. 11
  • 6대 차오솽밍(曹双明) 공군상장 1992. 11 - 1994. 10
  • 7대 위전우(于振武) 공군상장 1994. 10 - 1996. 11
  • 8대 류순야오(刘顺尧) 공군상장 1996. 11 - 2002. 5
  • 9대 차오칭천(乔清晨) 공군상장 2002. 5 - 2007. 9
  • 10대 쉬치량(许其亮) 공군상장 2007. 9 - 2012. 10
  • 11대 마샤오톈(马晓天) 공군상장 2012. 10 - 2017. 8
  • 12대 딩라이항(丁来杭) 공군상장 2017. 8 - 2021. 8
  • 13대 창딩추 공군상장 2021.9~

6. 대만 공군

현직
파일:202205041545_459220.jpg.png
류런위안 (劉任遠)
공군관교 74년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ROC_Commanding_General_of_Air_Force_Flag.svg.png

대만 공군의 최선임 장교이다.

6.1. 역대 공군사령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ROC_Commanding_General_of_Air_Force_Flag.svg.png
대만 공군사령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공군총사령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저우지러우 왕슈밍 첸지아샹 쉬환셩 라이밍탕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첸이판 스투푸 우위에 궈루린 첸셴링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린웬리 탕페이 황셴롱 첸자오민 리톈위
제16대
류구이리
공군사령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선궈전 펑성주 레이위지 옌밍 류전우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선이밍 장저핑 슝허우지 류런위안 }}}}}}}}}}}}}}}
역대 이름 한국음 한자 재임기간 계급
1대 저우지러우 주지유 周至柔 1946년06월-1952년03월 공군1급상장
2대 왕슈밍 왕숙명 王叔銘 1952년03월-1957년07월 공군상장[12]
3대 첸지아샹 진가상 陳嘉尚 1957년07월-1963년07월 공군상장
4대 쉬환셩 서환승 徐煥升 1963년07월-1967년07월 공군상장
5대 라이밍탕 뇌명탕 賴名湯 1967년07월-1970년07월 공군상장
6대 첸이판 진의범 陳衣凡 1970년07월-1975년06월 공군상장
7대 스투푸 사도복 司徒福 1975년06월-1977년08월 공군상장
8대 우위에 오월 烏鉞 1977년08월-1982년01월 공군상장
9대 궈루린 곽여림 郭汝霖 1982년01월-1986년07월 공군상장
10대 첸셴링 진신령 陳燊齡 1986년07월-1989년11월 공군상장
11대 린웬리 임문례 林文禮 1989년11월-1992년09월 공군상장
12대 탕페이 당비 唐飛 1992년09월-1995년06월30일 공군상장
13대 황셴롱 황현영 黃顯榮 1995년07월01일-1998년06월11일 공군상장
14대 첸자오민 진조민 陳肇敏 1998년06월12일-2002년02월28일 공군상장
15대 리톈위 이천우 李天羽 2002년03월01일-2004년05월19일 공군상장
16대 류구이리 유귀립 劉貴立 2004년05월20일-2006년02월16일 공군상장
역대 이름 한국음 한자 재임기간 계급
1대 선궈전 심국정 沈國禎 2006년02월17일 - 2007년07월15일 공군상장
2대 펑성주 팽승죽 彭勝竹 2007년07월16일 - 2009년07월15일 공군상장
3대 레이위지 뇌옥기 雷玉其 2009년07월16일 - 2011년01월05일 공군상장
4대 옌밍 엄명 嚴明 2011년01월06일 - 2013년01월15일 공군상장
5대 류전우 유진무 劉震武 2013년01월16일 - 2015년01월30일 공군상장
6대 선이밍 심일명 沈一鳴 2015년01월31일 - 2018년02월28일 공군상장
7대 장저핑 장철평 張哲平 2018년03월01일 - 2019년06월31일 공군상장
8대 슝허우지 웅후기 熊厚基 2019년07월01일 - 2022년 4월 30일 공군상장
9대 류런위안 유임원 劉任遠 2022년 5월 1일 - 현직 공군상장

7. 싱가포르 공군

싱가포르 공군총장

8. 호주 공군

9. 영국 공군

공군참모총장(Chief of the Air Staff (United Kingdom))라고 부르며 약칭은 CAS이다. 17대 참모총장까지는 원수가 맡기도 하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계속 대장이 맡고 있다.

10. 관련 문서



[1] Michael B. Donley, 2008년부터 2013년까지 5년이나 재직했다. 로버트 게이츠, 리언 패네타, 척 헤이글 등 3명의 국방부 장관을 보좌했다.[2] '폭격기 경력자'로 표현은 되어있지만, 폭격기 뿐만 아니라 전략공군사령부 산하 탄도미사일 부대에서의 경력 또한 화려한 인물들이다. 이 정도 장군들에게는 폭격기 조종 경력이라는 것이 단순히 폭격부대 전문가 수준이 아니라 핵전쟁을 지휘할만한 능력을 의미한다.[3] 다만, 미 육군항공대가 그의 육군항공사령관 재임시기 이미 육군으로부터 반독립 상태에 있어 실질적으로 공군참모총장의 업무를 수행하기는 했다. 2차대전 시기 합동참모회의에 그도 참여하며 미군의 항공작전 전반을 총괄하였다.[4] 현재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 있는 연구소지만 워낙 중요한 국책연구기관이라 공군 인사들이 부소장을 맡는다. 다만 21세기 들어서는 별 자리 줄이는 추세라서 웬만하면 2~3성급 장성이 임명되는 편.[5] 야마모토 이소로쿠의 참모로, 진주만 공습을 기획한 전범자로 유명하다[6] 해군기관학교. 일본 해군의 기관장교 양성 학교[7] 이 인간은 경질당했는데 중일전쟁이 일어난 게 코민테른에 의한 사주이며 일본은 피해자라고 주장했다. 그 때문에 잘린 뒤에 우익 단체들과 어울리고 있다. 관련 아사히신문 기사를 번역한 글 거기다 2014년 2월 9일 도쿄도지사 선거에도 참여하겠다고 밝혔다.[8] 일본에선 비행이라고 한다.[9] 일등공좌 시절에 항자대 제3 보급창(3rd Air Dept.) 기획과장, 항공막료부 총무과 홍보실장, 공장보 시절에 항자대 보급본부 간사를 역임했으며 방위대 출신으로 이공계통이 아니다.[10] 일본군 육군 시절 인사행정분야에서 근무했으며, 항자대시절 항공지원집단, 방위연구소(자위대 안보 싱크탱크)에서 근무하였다. 장비시설본부에서 근무한 적이 있지만 공학계 기술관료라고 보기에는 전공이나, 주 커리어 면에서 무리가 있기에 이전해서 서술한다.[11] 계급이 낮다 싶을 수 있는데 1966년부터 1987년까지 중국군은 계급이 없어서 계급 폐지 전의 계급을 적어서 그렇다.[12] 왕슈밍부터는 전원이 2급상장이다. 2급은 생략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