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04097>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정몽주선생묘
1.#26 이덕남장군묘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정발장군묘
1.#76 이천설성산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고송정지(탄옹고지)
1.#126 석수동석실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1.#176 하우현성당사제관
[33]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2호로 지정변경[34]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3호로 지정변경[35] 사적 제423호로 승격[36] 사적 제479호로 승격[37] 사적 제480호로 승격[38] 사적 제467호로 승격[39] 사적으로 승격[40] 사적 제464호로 승격[A] 2024년 7월 4일에 경기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이 경기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되며 지정해제[42] 사적으로 승격[43] 사적 제468호로 승격[A] 2024년 7월 4일에 경기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이 경기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되며 지정해제[45] 사적 제469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29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수원여기산선사유적지
1.#226 연천 대전리 산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ffffff 오산시 궐리사 烏山市 闕里祠}}} | |
영문 | Gwollisa Shrine in Osan City |
종류 | 경기도 기념물 |
주소 | 경기도 오산시 궐동 147-1 |
문화재 지정일 | 1994년 4월 20일 |
연락처 | 031-373-0151 |
1. 개요
오산시 궐리사 (烏山市 闕里祠)는 경기도 오산시 궐동에 위치한 사당이다. 1994년 경기도의 기념물 제147호로 지정됐다.2. 내용
공자의 후손인 조선의 문신 공서린이 후학을 가르치기 위해서 설립하였다고 한다. 고종 때 서원 철폐로 인해 서원이 철거 되었으나, 1900년에 다시 지어져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1994년 4월 20일에는 '오산시궐리사'라는 명칭으로 경기도의 기념물 제147호로 지정되었다.
작은 규모의 사당이며[1], 공자의 고향 궐리에서 이름을 따왔다. 궐리사의 현판은 정조 대왕의 친필이다.
해마다 공자를 기리기 위해 봄, 가을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