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04097>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정몽주선생묘
1.#26 이덕남장군묘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정발장군묘
1.#76 이천설성산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고송정지(탄옹고지)
1.#126 석수동석실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1.#176 하우현성당사제관
[33]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2호로 지정변경[34]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3호로 지정변경[35] 사적 제423호로 승격[36] 사적 제479호로 승격[37] 사적 제480호로 승격[38] 사적 제467호로 승격[39] 사적으로 승격[40] 사적 제464호로 승격[A] 2024년 7월 4일에 경기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이 경기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되며 지정해제[42] 사적으로 승격[43] 사적 제468호로 승격[A] 2024년 7월 4일에 경기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이 경기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되며 지정해제[45] 사적 제469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29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수원여기산선사유적지
1.#226 연천 대전리 산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344c3c> 서울특별시 | 배봉산 보루 · 북한산성[A] · 불암산성[A] · 아차산 일대 보루군[A] · 아차산성 · 탕춘대성 · 호암산성 | ||||
경기도 | 남한산성 · 당항성 · 도기동 목책성 · 독산성 · 문수산성 · 반월성 · 북한산성[B] · 불암산성[B] · 아차산 일대 보루군[B] · 이성산성 · 파사성 · 죽주산성 · 행주산성 · 호로고루 | |||||
인천광역시 | 강화산성(강화석수문)ㆍ강화중성 ·강화외성ㆍ정족산성 · 계양산성 | |||||
충청북도 | 단양 적성 · 덕주산성 · 삼년산성 · 상당산성 · 온달산성 · 장미산성 · 충주산성 | |||||
충청남도 | 공산성 · 부여 가림성 · 부여 나성 · 부소산성 · 영인산성 | |||||
전북특별자치도 | 동고산성 · 미륵산성 · 위봉산성 · 우금산성 | |||||
전라남도 | 자미산성 · 마로산성 · 검단산성 · 봉대산성 | |||||
광주광역시 | 무진고성 | |||||
경상북도 | 가산산성 · 가야산 산성 · 금돌성 · 금오산성 · 명활성 · 주산성 | |||||
대구광역시 | 달성 · 용암산성 · 초곡산성 · 팔거산성 | |||||
경상남도 | 고성 만림산 토성 · 분산성 · 우불산성 · 화왕산성 · 갈마봉산성 · 자마산성 · 제덕토성 | |||||
부산광역시 | 금정산성 | |||||
울산광역시 | 관문성 | |||||
강원특별자치도 | 영원산성 · 정양산성 | |||||
[A]: 경기도와 겹침. [B]: 서울특별시와 겹침. | ||||||
행정구역은 현재 대한민국 기준 읍성 조창성 차단성・관문 왜성 | }}}}}}}}} |
1. 개요
죽주산성은 경기도 안성시에 위치한 비봉산 중턱에 위치한 산성이다. 1973년 경기도의 기념물 제69호로 지정됐다.2. 내용
죽주산성은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돼 왔어서, 여러 시기의 축성법을 간직하고 있는 우리나라 축성기술사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죽주산성은 내성과 중성, 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축 성벽을 일부 공유하며 고려, 조선시대에 계속 수축되었다. 초축성벽은 산 정상부에서 능선을 따라 곡간부를 감싸도록 쌓은 것으로 보인다. 성벽의 둘레는 1,322m로 삼국시대 성곽 중 대규모에 속한다. 성벽은 기저부를 계단식으로 정지하고, 내벽과 외벽 및 속채움까지 모두 돌로 쌓았다. 성돌은 장방형으로 가공하여 바른층쌓기 방식으로 수직에 가깝게 쌓아 올렸다. 외벽에는 보축성벽을 덧붙여 쌓았다. 이러한 축성법은 죽주산성은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초 신라가 쌓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고려 고종 23년(1236)에 몽골군이 죽주산성을 공격하자 죽주방호 별감 송문주 장군이 15일 동안을 싸워 적을 물리쳤는데, 이를 죽주산성 전투라고 부른다. 이 때에 삼국시대에 초축된 성벽을 수축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