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1 23:35:20

그릇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TCG 매직 더 개더링의 카드에 대한 내용은 그릇(매직 더 개더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TCG 매직 더 개더링의 카드:
그릇(매직 더 개더링)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생활용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1AE8D5><colcolor=#000> 🍖
식품
· 계란 · · 통조림 · 밀가루 · 식용유 · 소금 · 설탕 · 육류 · 채소
🧽주방용품 조리기구
부엌칼 · 주방가위 · 집게 · 국자 · 프라이팬 · 냄비 · 냄비받침 · 주걱 · 도마
주방 청소용품
수세미 · 행주 · 식기건조대 · 주방세제 (관련문서 : 설거지)
저장용품
· 접시 · 그릇 · 반찬통 · 수저 · 호일 · 비닐봉투 · 지퍼백 · 주방 랩 · 수저통
식사기구
젓가락 · 숟가락 · 포크
🛁
위생용품
개인위생 용품
휴지 · 물티슈 · (양치 - 칫솔 치약) · 이쑤시개 · 비누 · 샴푸 · 바디워시 · 클렌징폼 · 린스 · (타올 - 샤워타월 · 이태리 타올) · 발밀이 · (화장품 - 스킨 · 로션 · 립밤) · 손톱깎이 · 족집게 ·
성 위생 용품
생리대 · 탐폰 · 생리컵 · 윤활제 ·
🧹
청소용품
세탁/건조용품
세제 · 락스 · 섬유유연제 · 빨래판 · 빨래망 · 옷걸이 · 빨래집게 · 빨래건조대
청소/폐기 용품
걸레 · 탈취제 · 분무기 · 휴지통 · 빗자루 · 뚫어뻥 · 쓰레받기
📱
전자제품
정보전달 제품
핸드폰(또는 스마트폰) · 컴퓨터 · 오디오 · 전자시계 · 셋톱박스
생활 전자제품
세탁기 · (냉/난방 제품 - 에어컨 · 선풍기 · 난로) · 고데기 · 전기밥솥 · 헤어드라이기 · 청소기 · 전등 · 오븐 · 토스터 · 전자레인지 · 냉장고 · 건조기
회선/연결 제품
멀티탭 · 콘센트 · 충전기
📗
문구
메모
· 공책 · 수첩 · 포스트잇 · 메모지 · 종이
필기도구
샤프 · 볼펜 · 연필 · 지우개 · 마커 · 수정테이프 · (가상 저장 공간에 필기 - 키보드 · 마우스)
기타
도장 · 인주 · 테이프 · 가위 · · 연필깎이 · 연필꽂이
}}}}}}}}} ||

1. 도구
1.1. 종류1.2. 비유적 표현1.3. 관련 문서
2. 잘못됨

1. 도구

음식이나 물건 따위를 담는 도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세는 단위는 장, 개, 벌, 죽 등이 있다. 깊이가 얕은 것은 접시, 깊은 것은 , 물건을 담기 위한 네모난 것을 상자, 액체를 담는 것 중 주둥이가 넓고 작은 것은 , 액체를 담는 것 중 주둥이가 좁은 것은 이라 부른다.

종류로는 구리주석 등의 합금으로 만든 유기, 으로 만든 도자기 또는 뚝배기, 스테인리스, 유리, 나무 등이 있다.

유물로서 출토된 그릇은 문명의 발달과 양식을 판단하는 데 좋은 지표가 된다. 인류가 보관과 저장의 개념을 깨우치면서 단순히 동굴이나 창고에 쌓아두는 것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간 것이 그릇의 출현이다. 문화권마다 그릇(특히 도기)의 모양이 천차만별이고, 특색 있는 그릇들도 많다. 시드 마이어의 문명에서 도기 제조가 작품마다 최주요 기술 중 하나로 나오는 것도 우연은 아니다.

서양 요리에서는 단단한 이나 파이를 그릇으로 써서 요리와 그릇까지 모두 먹을 수 있게 만들기도 한다. 한국에서도 파스타가 빵그릇에 담겨있는 빠네 파스타를 파는 식당이 간혹 있다.

흔히 무기, 판타지 계열에서 신의 무구로 불리는 '신기'의 는 한자로 이 문서의 그릇을 뜻하는 (그릇 기)이다.

15세기부터 '그릇'으로 쓰였다.

1.1. 종류

1.2. 비유적 표현

어떤 일을 해 나갈 만한 능력이나 도량 또는 자격 등을 가진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 또는 사람의 아량을 의미한다. 주로 능력이 안 되는 사람을 두고 "걔는 그럴만한 그릇이 안 돼.", "그릇이 작다." 라고 표현하는 데 쓰인다. 여기서 나온 고사성어대기만성이다.

1.3. 관련 문서

2. 잘못됨

'그릇되다'(형용사)와 같은 형태로 쓰이며, 어떤 일이 사리에 맞지 아니함을 뜻한다. '그르다'라고 줄여 쓰기도 하다. "그르치다"란 동사어원이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