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2 21:00:59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급행

급행버스(대구)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목록
,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3px; color: #fff"
전체 노선 목록버스 회사 목록요금 현황폐선 목록

파일:세운버스 급행8-1.jpg
파일:영진2363.jpg
대구 급행버스의 운행 모습.
파일:대구급행2307.png
급행버스 노선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2025년 2월 24일 이후(펼치기/접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대구급행2502.png
}}}}}}}}}

1. 개요2. 특성3. 차종4. 연혁5. 요금6. 목록

1. 개요

대구광역시에서 운행하는 급행버스 노선. 법령상으로 좌석버스, 그 중에서 일반좌석버스로 분류된다.[1]

2. 특성

2006년 시내버스 개편으로 신설되었으며 도시철도가 다니지 않는 외곽과 시내 중심부 혹은 다른 외곽을 빠르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버스는 빨간색으로 도색되어 있고 100% 좌석형 차량으로 이루어져 있다.

행선판, 노선도 등에 표시되는 고유 색상은 2011년도까지 컬러풀 대구 로고 색상 중 하나인 분홍색이었다가 도색 개정과 함께 빨간색으로 바뀌었다.

대구의 한쪽 끝에서 도심을 경유해서 반대쪽 끝을 지정된 정류장만 정차하며 나머지는 건너뛰는 방식으로 빠르게 연결하는 버스다.[2][3] 좌석 통합요금제로 좌석간선이 사라진 후 유일한 좌석버스로 한 노선 당 승차장은 20개 내외로 러시아워나 상습 정체구역이 아니라면 확실히 빨리 간다. 급행버스 정차 정류소만 승차가 가능하다. 2006년 급행버스 도입 때는 급행전용노선안내판을 따로 설치했으나, 일반 정류장보다 앞에 설치하는 바람에 급행버스가 정차하면 뒤로 일반버스가 줄줄이 기다리는 사태가 벌어져 결국 2009년경에 모두 철거되었다.

급행 노선이 늘어남에 따라 기존에 급행버스를 운행하지 않던 세운버스, 광남자동차, 신진자동차, 우진교통, 경북교통이 급행 노선을 가지게 된다. 이중 신진자동차와 우진교통은 기존 노선에 참가하는 방식으로 급행을 운행하게 되었다.[4][5]

급행 노선 같은 경우 급행9번, 9-1번 제외 전부 2개 이상의 운수회사가 공동배차한다.

도심을 가로지르는 급행1, 급행2, 급행3, 급행5, 급행6번은 대규모 도심 행사가 있을 때마다 한시적으로 새벽까지 운행하며 그 횟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특히 2018년 12월 28일부터 30일까지는 도심 통과 시각이 0시 30분으로 연장되었으며 연말인 31일에는 무려 새벽 1시 30분까지 연장되었다.

3. 차종

차종은 고급차량[6]을 주로 투입하는 하는 부산과는 달리 여기는 고급차량이라고는 아예 없고 전차량 도시형버스 좌석형을 넣는다.[7] 리클라이닝은 지원되지 않지만 그래도 대부분 34석이라 좌석 간격은 넓은 편이다. 2010년대 중반 이후로는 대우차도 34석으로 출고된다. 타 지역 전중비형 좌석차량이 대부분 38석인 걸 감안하면 좌석 간격이 넓은 편이다. 해피투게더 현대교통,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계열은 에어 서스펜션 옵션이 적용된 차량도 있다.

신설된 후 18년동안 좌석버스라는 이유로 저상버스가 투입되지 않았다. 좌석형 저상버스 모델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대전 급행버스는 그냥 급행버스를 입석노선으로 지정해 저상버스를 투입했지만 대구시의 경우는 급행노선을 좌석버스로 운행하기 때문에 계단이 있는 고상버스의 좌석형 버전을 유지해왔었다. 그러다가 2024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법 개정 시행으로 인한 판매량 저조라는 이유로 현대자동차측에서 계단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 버스차량을 단종시켜버리자 기존 구형 좌석형 계단버스에서 신형 좌석형 계단버스로 교체시키는데에 문제가 생겨버린것이다.

부산 급행버스처럼 41인승 현대 유니버스 프라임 CNG 모델이나 현대 유니버스 엘레강스 CNG 모델같은 고급형 좌석버스를 투입하여 급행버스 고급화를 노려볼 수도 있었지만 급행버스의 저상화가 교통복지 차원에서 더 낫다고 판단한 대구시는 현대자동차에 좌석형 저상버스 제작을 의뢰했으며, 현대자동차에서도 대구시의 요청을 받아들여 저상버스 판매시 좌석형을 옵션으로 적용하기 시작했다. 이로인해 2024년 10월경 좌석형 저상버스가 도입되기 시작하였으며 # 2024년 도입 예정 업체 및 대수는 동명교통, 영진교통 각 2대, 세운버스 1대다. 좌석형 저상버스의 시제차량은 모든 대구시내버스 운수 업체들을 각각 돌며 순회전시를 하였다. 순회전시 완료 후인 2024년 10월 24일부터 동명교통에서 전국 최초로 인도받아 급행3번에 투입되었으며 이후 영진교통에서도 좌석형 전기 저상버스가 출고되어 급행2번에 투입되었다.

4. 연혁

  • 2006년 2월 19일 : 급행1, 급행2, 급행3
  • 2012년 10월 20일 : 급행4
  • 2015년 8월 1일 : 급행5, 급행6, 급행7, 급행8
  • 2022년 1월 22일 : 급행8-1
  • 2023년 7월 1일 : 급행9, 급행9-1
  • 2025년 2월 28일 : 급행4, 급행6, 급행9-2, 급행9-3, 급행10

준공영제를 실시하고 시간이 지난 후에도 급행 노선을 5개나 신설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와 달리 2006년 개편 이후 급행노선 신설이 없다가 2012년 10월 20일 급행4번이 신설되었다. 그러나 급행 노선이 적은 관계로 좌석버스 신차의 경우 상당히 적은 편이다. 그런데 외곽지역이 점점 개발되면서 급행노선의 중요성이 커지자 도리어 일반버스 차량을 좌석버스로 개조하고 급행노선에 투입하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2015년 개편으로 1개의 간선 노선이 급행으로 형간전환되고 3개의 신설노선이 생기면서 좌석버스의 비중이 지금보다 늘어났다. 이 중 급행7번과 급행8번은 일반좌석버스가 아닌 직행좌석버스로 개통하려는 시도가 있었다가 무산되고 현재와 같이 되었다.[8]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안에 따르면 앞산터널범안로를 경유하는 대곡-가창-범물-반야월간의 급행10번, 군위와 칠곡을 연결하는 급행9-2번과 급행9-3번이 신설된다. 급행4번은 폐지되고 급행6번은 간선으로 전환된다.

5. 요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700, #006700 20%, #006700 80%, #006700);"<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6700><tablebgcolor=#00670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2024년 12월 기준[1]
대구권 광역환승제 지역 버스 요금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구분 현금[6] 교통카드(선·후불)
대구
경산
영천
급행 일반 2,200원 1,950원
청소년 1,300원 1,100원
어린이 800원 650원
노인[2] 2,200원 0원[3]
좌석
일반
(순환·간선·지선·출근 포함)
마을
DRT
일반 1,700원 1,500원
청소년 1,000원 850원
어린이 500원 400원
노인[2] 1,700원 0원[3]
김천
구미
칠곡
성주
구미좌석[5]
KTX리무진[5]
성주좌석[4][5]
일반 2,000원 1,900원
청소년 1,600원 1,300원
어린이 1,000원 800원
김천좌석
일반
공단순환
마을
일반 1,500원 1,500원
청소년 1,200원 850원
어린이 800원 400원
고령
청도
일반 1,500원 1,500원
청소년 850원 850원
어린이 400원 400원
[1] 2024년 12월 14일부터 시행한 요금체계
* 만 5세이하 영유아 3인까지 무료 운임
}}}}}}}}}


간선버스, 순환버스, 지선버스와 달리 요금이 더 비싸며 다른 노선에서 내려 급행버스로 환승하면 추가 요금이 차감된다.[9] 그리고 일반 - 급행 - 급행 순으로 환승할 경우 첫 번째 급행버스 환승 시 400원이 차감되고, 두 번째 급행버스 환승 시 또 추가로 400원이 차감된다. 반면에 급행 - 급행 - 급행으로 환승할 경우 후행 급행버스들 탑승 시 추가요금이 차감되지 않는다.

2024년 1월 13일부터 요금이 인상되었다. 교통카드 이용 시 1,650원에서 1,950원으로 인상되었고 현금 이용 시 1,800원에서 2,200원으로 인상되었다. 이번 요금조정은 2016년 12월 이후 7년 만이다. #1 #2 #3

2024년 11월 1일 급행9번, 급행9-1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현금 없는 버스를 시행한다.

6. 목록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d8202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노선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3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6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간선, 지선, 순환버스는 전부 일반버스이다.[2] 다만 급행7번은 외곽 지역(북구 동호동, 달서구 대곡동)을 도심 미경유로 빠르게 연결한다. 급행4번, 급행8-1번은 외곽 지역(달성군)과 도시철도역인 설화명곡역(급행4번), 진천역(급행8-1번) 구간을 연결하고 급행9번, 급행9-1번은 외곽 지역(군위군)과 도시철도역인 팔거역을 연결한다.[3] 한 군데 예외가 있는데 바로 시지지구다. 이쪽은 시가지에서 상당히 떨어진 편이지만 2호선이 그 역할을 잘 해 주어서 급행버스가 없다.[4] 이들이 새로 맡은 급행1, 3번은 각각 신흥버스, 동명교통 대신에 참여하는 것. 동명의 급행3번은 단독 배차였지만 공차거리를 줄이고자 참여한다.[5] 참고로 2006년 개편 계획안에서는 당시 모든 회사가 가지고 있던 좌석버스 차량을 처리할 방법이 없자 급행노선에 한해 공동배차를 유지하는 방안이 제기되기도 했다. 다만 당시에는 좌석버스 출신 간선노선을 좌석 간선으로 구분하기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무산되었다. 그런데 그 좌석 간선은 개편 후 8달만에 전부 일반 간선으로 변경된다.[6] 유니버스, FX시리즈[7] 과거 현대교통이 계열사인 경일교통 출신 BH115E 차량을 당시 대구 좌석버스 도색으로 재도색까지 한 상태로 범물동 차고지에 대기시켜 놓았으나, 버스운영과에서 허용하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다만 당시에는 현대교통이 급행 노선을 운행하고 있지 않아서라는 허용 불가 명분이 있긴 했다.[8] 직행좌석버스는 2025년 개편에서 재추진한다.[9] 예를 들어 성인 1명이 간선버스 706번를 타고 중앙로역에서 급행버스를 제외한 다른 종류의 버스로 환승했을 경우에는 추가 요금이 발생하지 않으나, 급행2번을 탔을 경우 추가 요금 400원이 차감되는 것이다. 물론 교통카드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당연히 환승혜택이 적용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