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무공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 1951 김용식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김용배 육군준장 |
1951 박노규 육군준장 | 1951 김백일 육군중장 | 1951 김홍일 육군중장 | 1951 함준호 육군중장 |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
1951 최용남 해병소장 | 1951 김성은 해병중장 |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 1952 이형근 육군대장 | 1951 권동찬 육군준장 |
1952 김종오 육군중장 |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 1953 장덕창 공군중장 | 1953 최용덕 공군중장 |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
1953 김교수 육군대위 | 1953 김한준 육군대위 | 1953 김용배 육군대장 | 1953 민기식 육군대장 | 1953 임충식 육군대장 |
1953 한신 육군대장 | 1953 김점곤 육군소장 | 1953 이성가 육군소장 | 1953 이용문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 1953 김동빈 육군중장 | 1953 김종갑 육군중장 | 1953 백인엽 육군중장 |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
1953 유재흥 육군중장 | 1953 최영희 육군중장 | 1953 함병선 육군중장 | 1953 최치환 총경 | 1954 김만술 육군대위 |
1954 허봉익 육군대위 | 1954 김경진 육군중령 | 1954 김웅수 육군소장 | 1954 송석하 육군소장 | 1954 엄홍섭 육군소장 |
1954 임선하 육군소장 |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 1954 김옥상 육군일병 | 1954 조재미 육군준장 |
1954 안낙규 육군중사 | 1954 박병권 육군중장 | 1954 이응준 육군중장 | 1954 이준식 육군중장 | 1954 장도영 육군중장 |
1954 최석 육군중장 | 1954 최창언 육군중장 | 1954 박옥규 해군중장 | 1954 김석범 해병중장 | 1955 김창룡(군인) 육군소장 |
1955 정긍모 해군중장 |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 1960 미군무명용사 -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 1961 국군무명용사 - |
1964 박정희 대통령 | 1966 이종세 육군상사 | 1966 강재구 육군소령 | 1966 이인호 해병소령 | 1967 송서규 육군대령 |
1967 채명신 육군중장 | 1967 지덕칠 해군중사 | 1967 정경진 해병대위 | 1967 신원배 해병소위 | 1968 최규식 경무관 |
1968 이익수 육군준장 | 1968 최범섭 육군중령 | 1970 이세호 육군중장 | 1972 이무표 육군대위 | 1972 임동춘 육군대위 |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 1980 육군대장 | 2002 장철부 육군중령 |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 2011 조달진 육군소위 |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 2018 콘라도 디 얍 필리핀 육군대위 |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colbgcolor=#000><colcolor=#fff> 김금성 金錦成 | |
출생 | 1927년 11월 27일 |
충청북도 청주 | |
사망 | 1961년 8월 19일 |
복무 | 대한민국 공군 |
최종계급 | 공군 준장 |
복무 기간 | 1950~1961 |
[clearfix]
1. 개요
김금성(金錦成, 1927년 11월 27일 ~ 1961년 8월 19일)은 대한민국의 6.25전쟁 참전 군인이다.2. 생애 및 군 경력
초기 생애 및 공군 입대김금성 준장은 1927년 11월 충청북도 충주에서 출생하였다.
1950년 10월, 공군 소위로 임관한 후 제1전투비행단 정찰대에서 L형 연락기를 이용한 적정 정찰, 연락, 전단 살포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후 전투조종사로 전환하여 한국 공군의 주요 작전에 참전하며 혁혁한 공을 세웠다.
6.25 전쟁 참전
F-51 전투기 출격 및 주요 전투 임무 수행
1951년 10월부터 강릉기지에서 F-51 전투기로 출격을 개시하였다.
김금성 준장은 전쟁 기간 동안 총 195회 출격을 기록하며 전투조종사로서는 두 번째로 많은 출격 횟수를 기록하였다.
주요 작전 참여
1952년 1월 : ‘승호리철교 차단작전’
북한군 후방 보급로를 차단하기 위해 평양 근교의 승호리철교 폭격 작전에 참여하여 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1952년 3월 : ‘송림제철소 폭격작전’
북한군의 주요 군수물자 생산기지였던 송림제철소를 폭격하여 적의 전쟁수행 능력에 큰 타격을 입혔다.
1953년 3월 : ‘351고지 탈환을 위한 근접항공지원작전’
351고지 전투에서 국군과 유엔군을 지원하는 근접항공작전에 참가하여 전세를 유리하게 이끄는 데 기여하였다.
전투 중 생존 능력과 조종 실력
김금성 준장은 전쟁 중 여덟 차례나 적의 대공 포화에 전투기가 피탄되는 위험을 겪었으나, 뛰어난 조종 실력으로 모두 극복하였다.
이러한 용기와 기량은 동료 조종사들에게 귀감이 되었으며, 전쟁 기간 공군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데 기여하였다.
전쟁 이후 공군 발전에 기여
전쟁이 끝난 후에도 공군사관학교 생도대장 및 제10전투비행단장으로 근무하며 한국 공군의 전력 강화와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의 헌신과 공훈은 대한민국 공군 역사에서 중요한 업적으로 남아 있다.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김금성 준장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1961년 태극무공훈장을 추서하였다.
또한 2019년, 대한민국 국가보훈처는 그를 "11월의 6.25 전쟁영웅"으로 선정하였다.
3. 공훈
태극무공훈장 (1961년 8월 22일 추서)국가보훈처 이달의 6.25전쟁영웅(2019년 11월)
4. 참고 자료
호국의 별, 7집, 국방부, 1983대한민국 국가보훈처, "6.25 전쟁영웅 김금성 공군 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