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무공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 1951 김용식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김용배 육군준장 |
1951 박노규 육군준장 | 1951 김백일 육군중장 | 1951 김홍일 육군중장 | 1951 함준호 육군중장 |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
1951 최용남 해병소장 | 1951 김성은 해병중장 |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 1952 이형근 육군대장 | 1951 권동찬 육군준장 |
1952 김종오 육군중장 |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 1953 장덕창 공군중장 | 1953 최용덕 공군중장 |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
1953 김교수 육군대위 | 1953 김한준 육군대위 | 1953 김용배 육군대장 | 1953 민기식 육군대장 | 1953 임충식 육군대장 |
1953 한신 육군대장 | 1953 김점곤 육군소장 | 1953 이성가 육군소장 | 1953 이용문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 1953 김동빈 육군중장 | 1953 김종갑 육군중장 | 1953 백인엽 육군중장 |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
1953 유재흥 육군중장 | 1953 최영희 육군중장 | 1953 함병선 육군중장 | 1953 최치환 총경 | 1954 김만술 육군대위 |
1954 허봉익 육군대위 | 1954 김경진 육군소령 | 1954 김웅수 육군소장 | 1954 송석하 육군소장 | 1954 엄홍섭 육군소장 |
1954 임선하 육군소장 |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 1954 김옥상 육군일병 | 1954 조재미 육군준장 |
1954 안낙규 육군중사 | 1954 박병권 육군중장 | 1954 이응준 육군중장 | 1954 이준식 육군중장 | 1954 장도영 육군중장 |
1954 최석 육군중장 | 1954 최창언 육군중장 | 1954 박옥규 해군중장 | 1954 김석범 해병중장 | 1955 김창룡 육군소장 |
1955 정긍모 해군중장 |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 1960 미군무명용사 -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 1961 국군무명용사 - |
1964 박정희 대통령 | 1966 이종세 육군상사 | 1966 강재구 육군소령 | 1966 이인호 해병소령 | 1967 송서규 육군대령 |
1967 채명신 육군중장 | 1967 지덕칠 해군중사 | 1967 정경진 해병대위 | 1967 신원배 해병소위 | 1968 최규식 경무관 |
1968 이익수 육군준장 | 1968 최범섭 육군중령 | 1970 이세호 육군중장 | 1972 이무표 육군대위 | 1972 임동춘 육군대위 |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 1980 육군대장 | 2002 장철부 육군중령 |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 2011 조달진 육군소위 |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colbgcolor=#000><colcolor=#fff> 이익수[1] 李益秀 | |
출생 | 1923년 10월 16일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부여군 | |
사망 | 1968년 1월 24일 (향년 44세) |
경기도 양주군 광적면 | |
본적 | 전주 이씨[2] |
학력 | 판교국민학교 공주농업학교[3] 경성법학전문학교 육군사관학교8기 특별반 |
계급 | 준장[4] |
복무 기간 | 1949~1968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이다.2. 생애
충청남도 부여군출신으로 어린시절 병약해 보약과 가족의 간호로 극복했다. 판교국립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공주농업학교에 진학해 학업에 열중하면서 독립운동에 도움이 되기 위해 유도와 중국어를 배웠다. 3학년때 결혼했고 4학년때 경성법학전문학교로 편입했다.이 시기 징용대상에 선정되었으나 부친인 이현만이 일본 관리를 고학력자이며 중국어에 능통하다고 설득했고 징용대상에서 면제되었다. 대신 관동군 지나사령부가 있는 난징으로 건너가 사무직으로 일하며 간수역할을 겸했다. 1944년 봉천 육군병원에 늑막수술을 받고 난징으로 돌아왔으나 탈출해 이범석휘하 한국광복군에 들어갔다. 상하이지부 경리부장으로 일하다가 광복을 맞이했고 400명의 광복군과 함께 군산으로 귀국했다.
이범석이 만든 국군준비대인 민족청년당 소속으로 충청도 일대를 담당했으며 자원자들을 훈련시켰다. 민족청년당이 해체되고 새워진 호국군 소속 간부로 작전참모로 활동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설립되고 육군사관학교의 타군의 경험이 있는 인물을 훈련시키는 특별기수인 8기로 입교해 5개월 후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했다. 제2보병사단 제25연대에 배치되었다.
농번기 대민 지원 중 6.25 전쟁이 발발하자 원대복귀해 의정부 인근에서 북한군의 기갑부대를 만나 퇴각했고 특공대를 만들어 지연전을 펼치며 사관학교 생도들을 재편성해 서울에서 북한군을 맞이했다. 미아리 뒷산 인근에서 저항했으나 아들의 권유로 퇴각했고 한강 철교가 끊긴 시점에서 나룻배를 통해 한강을 건넜고 수원까지 이동했다. 잔여병을 재편성해 지연전을 시작했다.
7월 10일 조치원-전의 전투 당시 고지를 확보하고 경계 중 안개를 틈타 북한군이 박격포, 항공지원을 앞세워 공격해오자 권총으로 북한군 기관총 사수를 쓰러뜨리고 기관총을 빼앗아 북한군들에게 사격해 많은 피해를 입히고 퇴각시켰다. 이후 계속 후퇴하며 낙동강, 진주에서 북한군과 전투를 치렀고 제주도로 건너가 신병을 양성했다.
10월 20일 중위로 진급했고 제11보병사단 20연대 5중대장으로 임명되어 지리산의 진주, 남원쪽에서 공비소탕 작전을 펼쳤고 물자들을 탈취했다. 하지만 부대원들에게 분배하지 않고 민간에 돌려줬으며 자신이 받은 포상휴가를 거부하고 공비소탕에 집중했다. 그 후 남강인근 소작봉, 600고지 전투에서 공을 세워 미국 은성훈장을 수여받았다. 그 해 대위로 진급했다.
휴전 후 제주도 제1훈련소로 발령 받아 본부 부식계장, 교도연대 작전과장, 정보과장, 감찰과장을 역임했다. 감찰관으로 발탁되어 감찰 교육을 받고 감찰 학교에서 수석으로 졸업해 당시 대구에 있었던 감찰본부 선임장교로 뽑혔다. 이후 제25보병사단 감찰부장, 논산 제2훈련소 감찰부 차장을 거쳤고 제2보병사단으로 복귀해 3대대장, 육군대학 수료 후 제25보병사단 75연대 1대대장으로 복무했고 제3보병사단 군수참모, 18연대 부연대장을 거쳐 육군본부 인사참모로 영전함과 동시에 대령으로 진급했다. 작전참모를 거쳐 전사과장, 강원도 병무청장으로 복무했다. 국방대학교 군사학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제1보병사단 15연대장으로 임명되었다. 임명되자마자 군사비품을 빼돌리는 장병들을 훈계하고 외출 외박을 금지시켰다. 교육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훈련 후 적극적인 피드백을 했다.
1968년 1월 21일 북한 무장공비들이 빠르게 서울로 직행하자 파주시 인근에 있다는 것을 파악하고 15연대가 출동했다.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노고산 지역에서 무장 공비 3명을 발견하고 도로를 차단, 노고산 일대를 포위했다.
1월 24일 6중대는 포위망을 형성하고 계속 압축해 가다가 무장공비가 있는 30미터 전방까지 돌격전을 감행하여 1명의 공비를 사살하였다. 그들은 방공호를 유리한 엄폐물로 이용하여 수류탄과 기관단총으로 사격을 해댔다. 아군은 사격을 받으며 빙판을 타고 올라가야 했고, 공비들은 안전한 호에서 아래를 내려다 보며 사격을 가하니 피해가 컸다. 수색중대장 송광수 대위가 비탈을 올라갔으나 전사했다. 증원하려 했지만 실전 경험이 없는 병사들의 희생만 눈에 보였고, 곁에 있던 경비소대장 김진태 소위에게 너희들은 따라오지 말라고 하고선 단신으로 수류탄과 권총만을 차고 산등성을 올라갔다.
20m 전방까지 접근해가서 생포를 목적으로 귀순을 권고했으나 나머지 2명은 이에 불응하여 총격을 가했다. 수류탄을 투척하기 위해 사정거리를 재려 고개를 드는 순간, 호에서 나와 도망가던 한 명의 소총탄에 맞아 1968년 1월 24일 오후 3시 전사했다. 그를 사살하고 북으로 도주에 성공한 공비는 박재경으로 전해진다.
사후 준장으로 특진했으며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고 태극무공훈장을 수여받았다.
3. 여담
- 2015년 1월 이달의 호국인물로 선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