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05 23:28:46

김보당(무인시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배역의 실존인물에 대한 내용은 김보당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c1c12 40%, #000000 100%); color:#ffffff; margin: -5px -10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줄거리 · 평가 · 유튜브 스트리밍
황제는 폐위되셨소이다
등장인물
주인공

파일:무인시대 이의방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정중부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경대승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이의민 아이콘.png · 파일:무인시대 최충헌 아이콘.png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핵심인물 이고 · 채원 · 두경승 · 문극겸 · 조원정 · 허승 · 두두을 · 박진재
이의방 측근 무비 · 조씨 · 사평왕후
이준의 · 이린 · 이춘부 · 오랑
정중부 측근 정균 · 송유인 · 종참 · 순주
경대승 측근 김자격 · 경진 · 손석 · 김광립
이의민 측근 최씨 · 부용 · 아란 · 이지순 · 이지영 · 이지광
박존위 · 부루 · 최부 · 자선
최충헌 측근 송씨 · 최우 · 최향 · 최충수 · 홍련화 · 자운선
노석숭 · 김약진 · 정숙첨 · 노인우 · 만적
황실 의종 · 명종 · 신종 · 희종 · 강종 · 고종
공예태후 · 선평왕후 · 대령후 · 임씨 · 수안궁주 · 성평왕후
신료 김돈중 · 한뢰 · 윤인첨 · 한문준 · 조영인 · 유응규 · 이규보
이소응 · 기탁성 · 진준 · 이광정 · 이영진 · 석린
왕광취 · 최전첨 · 조 환관 · 최 상궁 · 최세보
기타 수혜 · 현소 · 김보당 · 조위총 · 망이 · 망소이 · 김사미
외국인 금 세종 · 야율규 · 완안정 · 걸노 · 합진 · 완안자연 · 포리대완
}}}}}}}}}}}} ||
파일:김보당 간나새끼.jpg
<무인시대>의 김보당
1. 개요2. 배우3. 극중 행적

[clearfix]

1. 개요

KBS 대하드라마 <무인시대>의 등장인물. 실존인물 김보당을 바탕으로 한 배역이다. 배우 권혁호가 맡았다.

2. 배우

배우 권혁호는 <태조 왕건>에서 공산 전투에서 왕건을 위해 전사하는 8공신 중 하나인 '전의갑'을 맡았으며, 그 밖에 <부부 클리닉 사랑과 전쟁>에 '불륜남'으로 자주 등장했다.

3. 극중 행적

무신정변이 들어선 초반부에 등장했으며,[1] 후에 벌어질[2] 김보당의 난의 주동자라고 등장 초기부터 언급된다.

무신들이 정치에 참여하는 것에 은연 중에 불만을 품고 문신들과의 대화 중 이걸 서슴치 않고 드러내기도 했으며, 동년배 친구인 유응규[3]가 명종이 새로 즉위했다는 인준을 받기 위해 금나라에 갔다오자 "어째서 금나라에 갔을 때 무신들을 쓸어달라고 군사 요청을 하지 않느냐."라고 책망하기도 했다.[4]

의종이 폐위된 것에 깊은 불만을 품고 있었기에 자신처럼 폐위된 의종을 추종하는 무리들과 자주 비밀리에 회동을 가지며 반란을 준비하거나 의종에게 용포를 전달하는 등 물밑 작업을 벌인다. 대간들과 합세하여 좌승선 문극겸과 우승선 이준의를 삭탈관작 하라는 직언을 올리며 본격적으로 스토리에 관여하기 시작한다. 직언을 올린 결과 공예태후의 뜻을 받아들인 명종이[5] 김보당 세력과 이준의와 문극겸 모두를 좌천시키는 것으로 사건을 무마시키게 된다.

동북면 병마사로 좌천되어 기회를 엿보다가 원악도로 달려가 이광정의 군대를 한큐에 쓸어 버리고 폐위된 의종을 보위하여 기어이 반란을 일으킨다. 그래도 어느 정도 능력은 있는 모양인지 안북 도호부 일대를 장악하고 의종은 잠시지만 동경에 입성하기까지 하고, 다른 곳의 반군은 진준과 경진에 의해 진압된 와중에도 김보당의 주력군만은 제법 잘 버티는 모습을 보이는데, 진압군을 이끌고 온 조원정에게 직접 화살을 쏴 부상을 입히는 등, 진압군과의 첫 전투에서는 승리를 거둔다. 하지만, 조원정이 진준과 경진의 도움을 받아 거짓 패배하는 척하여 반란군을 성 밖으로 끌어내 포위하여 반란군을 박살내버리고[6] 김보당은 사로잡혀 개경으로 끌려온다.

의종에 대한 충심을 언급하며 명종을 정통성 없는 황제라며 디스하며 죽기 직전에 실제 역사처럼 조정의 문신들이 모두 공모했고 그들의 이름을 밝히지 않았으니 그들이 또 다시 거병할 것이라는 말을 남기고 참수당하는데, 궁지에 몰려 있던 이의방이 이것을 빌미로 하여 거병을 일으키게 된다.

[1] 작중에는 언급되지 않지만 의종의 실정에 비판적이었기 때문에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한다. 이후에 돌아서서 의종 빠돌이가 된 것을 보면 무신들의 행각이 심히 막장이었던 듯하다.[2] 30화 후반부에 벌어진다.[3] 유응규는 생몰년이 기록되어 있어서 당시 40대 초반이었다고 나이를 확실히 알 수 있지만, 김보당은 출생년이 기록되어 있지 않아서 실제로 동년배였는지는 알 수 없다. 김보당도 당시 정3~4품을 오갔기 때문에 매우 빨리 승진했다고 가정해도 유응규보다 더 젊을 가능성은 낮고, 동년배거나 더 나이가 많을 가능성이 높다.[4] 사실 금나라도 사정이 여의치는 않아서 고려에게 갑질을 할 여유는 없었기에 군신 관계 요구를 제외하면 가급적 고려를 건드리지 않으려고 노력했다.[5] 김보당 일당의 죄를 물을 거면 이준의와 문극겸의 죄도 함께 묻고, 그들의 죄를 묻지 않겠다면 이준의와 문극겸의 죄도 묻지 말라는 조언을 해줬다.[6] 이때 조원정과 일기토를 벌이나 단 한 합 만에 옆구리를 찔리고 낙마하며 패배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3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