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05:31:18

나카가미 히데오

나가카미 히데오에서 넘어옴
나카가미 히데오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949년 일본프로야구 사와무라상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나카가미 히데오
(요미우리 자이언츠)
사나다 시게오
(쇼치쿠 로빈스)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요미우리 자이언츠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49c00> 1936春夏~1937秋 1938春 1938秋 1939 1940~1941
사와무라 에이지 빅토르 스타루힌 마에카와 하치로 카와카미 테츠하루 빅토르 스타루힌
<rowcolor=#f49c00> 1942 1943 1944 1946 1947~1948
히로세 슈이치 빅토르 스타루힌 후지모토 히데오 곤도 사다오 카와사키 토쿠지
<rowcolor=#f49c00> 1949 1950 1951 1952 1953
타다 후쿠조 후지모토 히데오 벳쇼 다케히코 후지모토 히데오 벳쇼 다케히코
<rowcolor=#f49c00> 1954 1955~1956 1957 1958 1959~1960
오토모 타쿠미 벳쇼 다케히코 오토모 타쿠미 후지타 모토시 이토 요시아키
<rowcolor=#f49c00> 1961 1962 1963 1964 1965~1966
나카무라 미노루 조노우치 구니오 이토 요시아키 타카하시 아키라 카네다 마사이치
<rowcolor=#f49c00> 1967 1968~1969 1970 1971 1972~1973
조노우치 구니오 카네다 마사이치 타카하시 카즈미 와타나베 히데타케 호리우치 츠네오
<rowcolor=#f49c00> 1974 1975~1978 1979 1980 1981
타카하시 카즈미 호리우치 츠네오 니우라 히사오 에가와 스구루 니시모토 다카시
<rowcolor=#f49c00> 1982 1983 1984 1985 1986
에가와 스구루 니시모토 다카시 에가와 스구루 니시모토 다카시 에가와 스구루
<rowcolor=#f49c00> 1987 1988~1989 1990 1991~1992 1993~1997
니시모토 타카시 쿠와타 마스미 사이토 마사키 마키하라 히로미 사이토 마사키
<rowcolor=#f49c00> 1998 1999 2000~2006 2007 2008
쿠와타 마스미 발비노 갈베스 우에하라 고지 우츠미 테츠야 타카하시 히사노리
<rowcolor=#f49c00> 2009 2010 2011 2012 2013
세스 그레이싱어 우츠미 테츠야 도노 슌 우츠미 테츠야 미야구니 료스케
<rowcolor=#f49c00> 2014~2016 2017 2018~2022 2023 2024
스가노 도모유키 마일스 마이콜라스 스가노 도모유키 타일러 비디 토고 쇼세이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221815><tablebgcolor=#221815>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요미우리 자이언츠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34년 ~ 현재
초대
미야케 다이스케
(1934~1935)
2대
아사누마 요시오
(1935~1936)
3대
후지모토 사다요시
(1936~1942)
4대
나카지마 하루야스
(1943)
5대
나카가미 히데오
(1944~1946)
6대
나카지마 하루야스
(1946~1947)
7대
미하라 오사무
(1947~1949)
8대
미즈하라 시게루
(1950~1960)
9대
카와카미 테츠하루
(1961~1974)

10대
나가시마 시게오
(1975~1980)
11대
후지타 모토시
(1981~1983)
12대
오 사다하루
(1984~1988)
13대
후지타 모토시
(1989~1992)
14대
나가시마 시게오
(1993~2001)
15대
하라 타츠노리
(2002~2003)
16대
호리우치 츠네오
(2004~2005)
17대
하라 타츠노리
(2006~2015)
18대
타카하시 요시노부
(2016~2018)
19대
하라 타츠노리
(2019~2023)
20대
아베 신노스케
(2024~)
:일본시리즈 우승 / : 센트럴리그 우승 / : 단일리그 우승
}}}}}}}}} ||

}}} ||
파일:show_img (1).jpg
나카가미 히데오
中上英雄 / Hideo Nakagami
한국명 이팔용 (李八龍)
출생 1918년 5월 18일
사망 1997년 4월 26일 (향년 78세)
출신지 일본 제국 경상남도 동래군[1]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학력 시모노세키 상업학교 - 메이지대학
신체 170cm 65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42년 도쿄 교진군 입단
소속팀 도쿄 교진군 (1942~1946)
주부니혼 드래곤즈 (1947)
요미우리 자이언츠 (1948~1955)
지도자 도쿄 교진군 감독(1944~1946)[2][3]
요미우리 자이언츠 코치/2군 감독(1956~1957)
1. 개요2. 보유 기록3. 생애
3.1. 유년기 ~ 대학야구3.2. 교진군의 에이스 겸 감독: 1942~19463.3. 주니치 유니폼을 입게 되다 : 19473.4.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돌아가다 : 1948년 ~ 1955년
4. 일본야구 최초의 퍼펙트 게임 주인공5. 선수 은퇴 후6. 평가7. 기타

[clearfix]

1. 개요

한국계 일본인 야구선수.

2. 보유 기록

  • 단일시즌 최저 평균자책점 (0.73,1943년)
  • 일본 최초의 퍼펙트 게임 달성 (최고령달성 32세 41일)
  • 일본프로야구 최초 통산 200승을 달성
  • 일본프로야구 통산 승률 역대 1위(.697)
  • 일본프로야구 통산 평균자책점 역대 1위(1.90)
  • 200승 투수중, 유일한 2자리수 패배(200승 87패)
  • 역대 최연소 감독(1946년, 25살)
  • 일본프로야구 연속 완봉승(1943년, 6경기)
  • 일본프로야구 투수 한시즌 최다 홈런(1950년, 7홈런)

3. 생애

3.1. 유년기 ~ 대학야구

1918년, 현재의 부산광역시인 동래군에서 태어나 8살에 일본 시모노세키 시 히코시마로 건너갔다. 소학교 4학년때 야구를 처음 접했고 시모노세키 상업학교에 진학한후[4] 1935년 봄 고시엔과 1937년 봄 코시엔에 출전한 경력이 있으며 고교 졸업후 메이지대학 으로 진학했다.

메이지대학에서 4년간 34승을 거두머[5] 도쿄 6대학리그에서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3.2. 교진군의 에이스 겸 감독: 1942~1946

파일:external/giantsplayer.up.n.seesaa.net/g090224.jpg

1942년, 학교를 졸업한 그는 교진군에 입단, 첫해 111이닝 10승 0패 ERA 0.81을 기록하며 화려한 데뷔기록을 장식했으며 이듬해 1943년에는 본인의 커리어 하이를 기록하며 모든 기록을 갈아치운다.
  • 432⅔이닝 34승 11패 ERA 0.73을 기록하며 다승왕, 최고승률, 평균자책점 3관왕을 달성[6]
  • 교진군의 시즌 승수가 54승이었는데 그중 34승을 혼자서 기록.
  • 1943년 5월 22일 고라쿠엔 구장에서 열린 나고야 군 과의 경기에서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다.
  • 8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62이닝 연속 무실점 기록을 달성.[7]
  • 8월 2일부터 9월 12일까지 6경기 연속 완봉승 달성.
  • 완봉승을 총 19번을 달성했는데 이는 동해에 노구치 지로[8]가 거둔 기록과 동률이며 일본프로야구 타이기록이다.

역대급 시즌을 보낸 그는 다음해인 1944년에는 중일전쟁으로 인해 인원이 부족해지자 투수겸 3번타자 겸 감독으로 부임하게 되었는데 이는 일본프로야구 역사상 최연소 감독으로 기록된다.[9] 이해 개인성적은 10승 8패 1.58, 탈삼진 114개로 평범했으나[10] 팀성적은 19승 14패 2무로 2위를 기록했다.[11]

3.3. 주니치 유니폼을 입게 되다 : 1947

패전 위기때문에 아예 리그가 열리지 않았던 1945년을 지나[12] 1946년 시즌 중반까지 감독직을 맡았는데 시즌 도중 나카지마 하루야스가 교진군 감독으로 부임하게 되자 다시 선수로 돌아가게 되었다. 그러나 이해 6월, 종전후 고향인 히토요시 시로 귀향해 농사를 짓고있던 카와카미 테츠하루[13]를 교진군에서 데려왔는데 이때 가와카미가 "3만엔은 줘야 너네팀으로 돌아감. 안주면 안 감."를 외쳤고[14] 구단측에서 이를 받아들여 3만엔을 주고 데려왔는데 당시 1만엔을 받았던 나카가미는 "군대 가서 몇년을 쉰 저놈이 뭐길래 3만엔이나 받냐?? 나도 3만엔 줘!" 라고 외치기 시작했다.

구단측에서는 "아니 저 놈까지 주면 다른 놈들도 또 들고 일어날텐데 그럼 가와카미가 더 큰 액수를 요구할꺼 아냐?"라는 생각에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이에 빡친 나카가미는 이듬해에 교진군에 사표를 쓰고 나와 새롭게 창설된 "국민야구연맹"에 가입 신청을 했으나[15] 어른의 사정으로 거절당했고 결국 주부니혼 드래곤즈에 입단하게 된다.

주부니혼 입단 후 17승 15패 1.83을 기록하면서 순항하는듯 했으나 전반기가 끝나갈 무렵 어깨를 다치면서 후반기에는 경기를 뛰지 못했다.

3.4.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돌아가다 : 1948년 ~ 1955년

파일:external/www.ritomo.jp/ungiants02.jpg
1950년. 왼쪽부터 카와카미 테츠하루, 나카가미 히데오, 치바 시게루.

1947년 시즌 종료 후, 요미우리 자이언츠미하라 오사무 감독이 나카가미에게 교진군으로 돌아올 것을 요청했고 주부니혼 구단측에서도 "쟤 어깨가 저래서야 뛸 수 있겠는가?" 라고 의문을 표하며 전력 외 선수로 빼서 방출해 버렸다. 1948년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돌아온 그는 주부니혼 시절 부상당한 어깨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아서 전반기에는 외야수로 활약했는데 후반기에는 다리를 다치는 바람에 투수로 돌아왔다고 한다. 투수로 복귀하면서 슬라이더를 배웠는데 당시 일본 프로야구에서도 쓰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로 희귀한 구종이었고, 이 슬라이더를 정말 잘 던진 선수가 바로 나카가미 였다고 한다.

1948년 부진한 시즌을 보냈지만[16], 이듬해인 1949년부터는 일본 야구의 전설이 되어버렸다. 당시 래빗 볼을 도입하면서 반발력이 전 시즌에 비해 넘사벽급으로 올라가 버려 투수들의 평균자책도 껑충 뛰어버린 와중에도, 그 해 일본 프로야구 선수들 중 나카가미만 유일한 1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1949년 시즌에는 평균자책 1위(1.94), 다승 2위(24승), 승률1위(24승 7패 .774), 사와무라 상 수상, 베스트 나인[17]에 선정되는등 제 2의 전성기를 맞이하며 그 누구도 반박할 수 없는 최고의 투수 반열에 올랐다.

이듬해인 1950년에도 360⅓이닝을 던지며 26승 14패, 평균자책 2.44, 33번의 완투승을 기록했는데 이 해 일본 프로야구 최초의 퍼펙트 게임을 달성하게 된다(자세한 내용은 하기에 기재). 이후로도 오오토모 타쿠미, 벳쇼 다케히코와 더불어 교진 마운드 3총사로 불리며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이끌어 나가는 에이스 급 투수로 활약했고 1949년부터 1953년까지는 매 시즌 15승 이상을 기록했다. 그러나 1954년 시즌에는 손가락 부상으로 인해 경기 출장수가 급감하고 1승밖에 챙기지 못했으며 1955년에도 1승에 머무르면서 프로 통산 200승을 채우고 현역에서 은퇴했다.

그가 기록한 통산 기록은 367경기, 2628⅓이닝, 200승 87패, 승률 .697, 평균자책점 1.90 이며, 이중 통산 승률과 평균자책은 현재 일본프로야구 개인통산 최고기록이다. 또한 200승 이상을 기록한 투수 중 유일하게 2자리 패배를 기록한 투수이기도 하다.[18]참고

4. 일본야구 최초의 퍼펙트 게임 주인공

파일:external/gtekorea.co.kr/re_1335498369.jpg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dfcc97c3.jpg
퍼펙트게임 당시 사용했던 글러브. 도쿄돔 야구박물관에서 전시중. 아오모리 야구장에 있는 퍼펙트 게임 기념비. 비석에 새겨진 문구는 다음과 같다. "아오모리 시영 야구장에서 일본야구사상 최초 완전시합 달성."

1950년 6월 28일[19], 교진군과 니시닛폰 파이리츠[20]간의 경기가 아오모리 구장(青森球場)에서 열렸다.[21] 사실 이 날 선발 투수는 타다 후쿠조(多田文久三)로 예정되어 있었지만 경기 당일 아침 타다가 식중독으로 인한 구토와 복통으로 병원으로 실려가는 바람에 나카가미가 갑자기 선발로 등판하게 되었다. 덧붙이자면 전날 나카가미는 다음 날 자신의 등판은 없을 것이라 지레짐작 하고 이동중이던 기차와 숙소에서 새벽까지 마작을 하며 밤을 새웠다고 한다. 한마디로 맨 정신이 아닌 몽롱한 상태로 마운드에 오른 것이다.

오후 4시 14분 심판의 플레이 볼 선언과 함께 시작된 이 날 경기는 불과 1시간 19분 후, 일본 프로야구의 새 역사를 쓴 경기로 기록되었다. 나카가미는 이날 경기에서 9이닝 27타수 0피안타 0사사구 ERA 0.00. 내야플라이 3개, 내야땅볼 11개, 외야플라이 6개, 탈삼진 7개로 니시닛폰 타선을 농락하며 일본 프로야구 사상 최초의 퍼펙트 게임 달성의 주인공이 되었다. 당시 기사에 따르면 나카가미가 1948년 밥 펠러의 투구 내용을 기록한 책으로 배워 주 무기로 사용한 슬라이더[22]를 니시닛폰 타자들이 전혀 공략하지 못했다고 하며, 아쉽게도 그날 경기 사진은 남아있지 않다.[23]

아래에도 나와 있지만 이 때 그는 아직 대한민국 국민이었다. 그래서 NPB 최초의 외국인 퍼펙트게임이기도 하다.

참고로 이날 경기를 당시 중학생이었던 테라야마 슈지[24]가 지켜 봤다고 한다.

5. 선수 은퇴 후

현역에서 물러난 나카가미는 1956년부터 1957년에 요미우리 1군 코치와 2군 감독을 역임했지만, 시나가와 카즈에치바 시게루 사이의 알력다툼에 밀려 결국 유니폼을 벗었다. 이후 다이와 증권 사회인 야구팀 감독을 맡기도 했으며 요미우리 신문 LA 지부 주재원으로 근무한 적도 있다.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B0U0XmzaL._SL500_AA300_.jpg
일본야구전당에 게시된 그의 동판

1976년에 일본야구전당에 입성했고, 1997년 4월 26일, 심근경색으로 인하여 도쿄도 치요다구에 있는 도쿄경찰병원에서 향년 78세로 작고했다.

6. 평가


영웅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일본프로야구사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로 그가 남긴 기록들을 보자면 정말 일본프로야구 역사에 한획을 그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투수가 가진 최초, 최다 기록중 상당수가 이사람 기록이다.

7. 기타

  • 개명을 정말 많이한 인물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귀화하기 전 이름은 이팔룡(李八龍)이었으며 중학교 때 후지모토 하치류(藤本 八龍)로 바꿨다가 이후 후지모토 히데오(藤本 英雄)로 다시 개명했다. 그리고 데릴사위로 결혼하여 부인 쪽 성을 따라 나카가미 히데오라는 이름으로 개명해서 그의 인생에서 이름을 총 3번 바꾸었다. 다만 일본 야구계에서는 보통 후지모토 히데오로 통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 등록명도 후지모토 히데오로 등재되어 있고, 각종 스포츠 기록물들에도 후지모토 히데오로 기재되어 있다.
  • 1968년, 대한야구협회의 초청으로 한국을 방한, 전국순회 강연을 다녔는데 이때 신중하게 생각지 않고 일본 국적으로 귀화해 버린 것을 크게 후회했다고 털어놓았다. 사실 한국 전쟁 이후 젊은 재일 한국인 남성들이 한국에 가면 한국 군대에 징집된다는 루머가 재일교포 사회에서 퍼지면서, 나카가미도 그런 소문에 솔깃하여 귀화했다고 한다.[25]요미우리 자이언츠 감독 시절에는 일본 국적이 아닌 대한민국 국적[26]을 가지고 있었다는 얘긴데 요미우리 최초 외국인 감독이었던 셈이다. 당장 퍼팩트게임 달성당시에는 한국 전쟁이 발발한지 3일 뒤였고 국적도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어서 당시 요미우리 팬들이 징집을 우려했다.

[1] 현재의 대한민국 부산광역시.[2] 선수 겸 감독.[3] 1945년은 전쟁으로 인해 리그 중단. 감독겸임시절엔 1982년 주니치 리그우승 감독이었던 곤도 사다오가 에이스 노릇을 했다.[4] 이때 이팔룡에서 일본식 이름인 후지모토 하치류(藤本 八龍)로 개명했다.[5] 역대 일본대학야구 통산 승리 10위 기록이자, 메이지대 선수로는 역대 최고기록.[6] 참고로 1943년과 1947년에는 탈삼진 1위도 기록했지만, 당시 일본프로야구에서는 탈삼진 타이틀은 없었기 때문에 수상 경력이 없다.[7] 참고로 이 분야 1위는 가네다 마사이치가 기록한 64⅓이닝[8] 한신 타이거즈의 레전드로 이 기록을 달성했을 당시에는 세이부 라이온스|니시테츠 군(西鉄軍) 소속이었다. 참고로 세이부 라이온즈의 전신 니시테츠 라이온즈와는 모기업만 같았던 다른 구단이다.[9] 거기다 비공식적이지만 요미우리 최초 외국인감독이자 한국태생 유일한 프로감독이기도 하다.[10] 물론 탈삼진왕을 차지했다.[11] 평범한 기록이 팀 승수의 반 이상을 책임졌다.[12] 이 무렵 고향 대한민국은 광복을 맞이했다. 이 시점에서 그의 국적은 일본 제국에서 미군정으로 변경된다. 그가 서류상 자국 선수에서 외국 선수가 되는 시점이었다.[13] 1938년부터 1942년까지 교진군에서 뛰었다가 전쟁 때문에 징집되어서 전쟁터에서 구르다 귀향한 것이다.[14] 이는 일본프로야구 역사상 최초로 선수가 구단측에 계약금을 요구한 사건으로 기록되며 이를 "3만엔 홀드사건"으로 부른다.[15] 1947년에 조직되었지만 1년만에 해체되었다. 하계리그와 추계리그로 나뉘어 져있었으며 4개팀이 51경기(하계 30경기, 추계 21경기)를 치렀다.[16] 한편 이 무렵은 대한민국 정부가 처음으로 수립되었으며, 국적이 또다시 미군정에서 대한민국으로 변경된다.[17] KBO 골든글러브와 같은 것이다. 다만 여기는 수비를 보고 뽑는데 논란이 골든글러브 만큼이나 많은 편이다.[18] 150승 이상으로 따지면 180승 96패를 기록한 사이토 마사키가 있다.[19] 불과 3일전 모국에서 6.25 전쟁이 발발했으며 그 또한 대한민국 국적 남성으로서 징집대상이었으나 여러 사정상 징집되지는 않았다. 본인 또한 해당 문제를 잘 알고 있었으며, 후일 일본에 귀화하는 이유가 된다.[20] 西日本パイレーツ. 1950년에 후쿠오카에서 서일본 신문에 의해 창단되어 센트럴 리그 연맹에 가입했지만 그 해를 끝으로 여러 사정으로 인해 1951년에 동년 창단된 퍼시픽 리그 연맹의 같은 지역 팀인 니시테츠 클리퍼스에 흡수통합되어 니시테츠 라이온즈가 되었다.[21] 현재의 아오모리 시영 야구장(青森市営野球場)이며, 이 야구장에는 최초의 퍼펙트게임 달성을 기념하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구글 어스로 보자.[22] 히데오 본인은 "작은 커브"라고 불렀다. 일본야구 슬라이더의 비조, 한국계 후지모토.[23] 당시 아오모리 구장에는 총 4명의 신문기자가 있었는데 이들 중 사진기자는 단 한명도 없었다. 일본 위키백과에 따르면 이 경기 전날까지 날씨가 심히 좋지 않아서 사진기자 들이 오지 않은 것이 그 이유라고 한다. 그래서 사진이 남아있지 않은 것이라고.[24] 寺山修司. 일본의 극작가, 수필가, 하이쿠 시인, 비평가, 배우, 사진 작가 등 로 활동 방대한 양의 문학 작품을 발표한 인물.[25] 예전에는 그런 소문들이 돌아다녔다. 장훈의 어머니인 박순분 여사도 장훈이 일본으로 귀화하는 것은 절대 반대했지만, 재일교포 고교야구팀으로 선발되어 한국에 갈때에는 한국에 가지 말고 일본에 남아 있으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다행히도 장훈이 직접 민단에 확인해서 소문이 거짓임을 알고 장훈이 한국으로 가는 것을 허락했다. 현재 재일 한국인의 징집은 없지만, 지원제도가 있긴 했다.[26] 엄밀히 말하자면 미군정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