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케이블카·곤돌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케이블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서울특별시 | 남산 케이블카ㆍKBS관악산송신소케이블카전용 |
부산광역시 | 금강공원 케이블카 | |
대구광역시 | 앞산 케이블카 | |
경기도 | 송암스페이스센터 케이블카 | |
강원특별자치도 | 삼척 해앙케이블카ㆍ설악산 케이블카ㆍ백암산 케이블카 | |
경상북도 | 금오산 케이블카ㆍ독도전망대케이블카 | |
경상남도 | 영남알프스 얼음골 케이블카 | |
전북특별자치도 | 내장산 케이블카ㆍ대둔산 케이블카 | |
전라남도 | 두륜산 케이블카 | |
폐지된 노선 | 보문산 케이블카 | |
전용 : KBS 송신소 전용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곤돌라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서울특별시 | |
인천광역시 | | |
부산광역시 | 송도해상케이블카 | |
대구광역시 | 팔공산 케이블카 | |
경기도 | 에버랜드 스카이크루즈ㆍ임진각 평화곤돌라ㆍ제부도 해상케이블카 | |
강원특별자치도 | 발왕산관광케이블카ㆍ춘천 삼악산 호수케이블카 | |
충청북도 | 청풍호반케이블카 | |
경상북도 | | |
경상남도 | 거제파노라마 케이블카ㆍ사천바다케이블카ㆍ통영 케이블카ㆍ하동 플라이웨이 케이블카 | |
전라남도 | 명량 해상케이블카ㆍ목포해상케이블카ㆍ여수해상케이블카 | |
|
남산 케이블카 南山索道 / Namsan Cable Car | |
노선 정보 | |
분류 | 궤도운송수단 |
기점 | 회현동정거장 |
종점 | 남산타워정거장 |
역 수 | 2개 |
개업일 | 1962년 5월 12월 |
소유 | 불명 |
운영 | 한국삭도공업주식회사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605m |
시종점 고저차 | 138m |
운행속도 | 약 3.2 m/s |
편도 운행 시간 | 약 3분 |
객실 정원 | 48명 |
노선의 평균 경사각 | 약 77° |
지상구간 | 전구간 |
홈페이지 | 남산 케이블카 |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에서 중구 예장동 남산 정상 부근까지를 잇는 케이블카이다. 명동역 인근에 위치해 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여객용 케이블카[1]로 서울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다. 남산서울타워로 가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한다.[2]남산오르미를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명동역과 서울스퀘어 앞에서 셔틀버스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케이블카가 목적이 아니라 남산을 가는 게 목적이라면, 01A번, 01B번 순환버스 요금도 1,400원으로 저렴하니 그냥 남산까지 쭉 타고 가는 게 훨씬 낫다. 케이블카 탑승장 앞에도 순환버스가 운행하나, 어차피 여기에 정차하는 차량은 기점에서 출발한 직후이거나 남산에서 내려온 차량이라 무의미하다.
그러나 상기한 수단들은 2004년 버스 대개편 이전에는 없었던 교통수단으로, 196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근 40여년간 남산 케이블카가 남산을 편하게 오르는 유일한 대중 운송 수단이었다. 그 외에는 택시나 자가용으로 올라가거나 아니면 걸어올라갈 수밖에 없었다. 물론 그 시절에도 남산 케이블카는 대량운송용이라기보다는 관광용이긴 했다. 일단 승차장 위치부터가 남산 중턱이라... 그 시절 서울구경 코스 중에 택시 타고 남산 케이블카 승차장으로 올라와 남산타워 구경하는 게 있었다.[3]
요금은 아래와 같다.
왕복 | 대인 14,000원 소인 10,500원 65세 이상, 국가유공자, 5.18 민주부상자, 장애인 9,500원 단체 30명 이상 대인 11,500원 단체 30명 이상 소인 8,500원 |
편도 | 대인 11,000원 소인 8,000원 65세 이상, 국가유공자, 5.18 민주부상자, 장애인 7,000원 단체 30명 이상 대인 9,000원 단체 30명 이상 소인 6,500원 |
2. 논란
2.1. 케이블카 운영독점 특혜논란
운영기관의 케이블카 무제한 운영권 독점 논란이 있다.남산 토지소유권은 국가에 있고 또한 케이블카 사업허가권 역시 서울특별시에 있다. 하지만 박정희 정부에서 허가권 자체를 무기한으로 계약해 현재까지 수 십 년 동안 독점운영하고 가족기업이라 현재 설립자의 자손이 대표로 재직중이다. 현재 상식으로는 이해하기는 어려운 대목이다.
서울시 의회 자료에 따르면 2016년도 이 회사의 대표가 지급받은 연봉이 무려 6억원에 이른다고 한다.
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2005년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에서 김선아와 현빈, 정려원이 케이블카를 탑승하던 편을 여기서 찍었다.2009년 드라마 꽃보다 남자에서 구혜선과 이민호가 남산 케이블카를 이용한 촬영씬이 있다.
무한도전 등 예능 프로에도 가끔 등장한다. 링크. 오! 수정[4]과 카페 느와르에도 나온 적이 있다.
꽃보다 할배 동유럽편에서 잘츠부르크 관광 후 이동 중에 할배들이 이 남산케이블카에 얽힌 추억을 얘기하는데, '삭도'란 명칭까지 정확히 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본의 예능 프로그램이었던 성우여행사에 어서오세요에서도 등장. 그 때 모리타 마사카즈와 카네다 토모코가 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