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한국어로 "북부교통\에 대한 내용은 센다 운송그룹 문서 참고하십시오.
서울특별시 중랑구 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시내버스 | 경성여객 | 대원교통[a] | 메트로버스[b] | |||
보광운수 | 북부운수 | ||||||
마을버스 | 중랑운수 | 금창운수 | |||||
사라진 버스 회사 | |||||||
시내버스 | 선진교통 | 우성버스 | |||||
마을버스[c] | 대중교통 | 세화마을버스 | 태릉시장마을버스 | ||||
[a] 중랑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 [b] 주간선버스 회사 / [c] 현 보광운수(舊 용림교통)로 통합된 회사 | |||||||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북부운수 주식회사 北部運輸 株式會社 Buk-bu Transportation Co., Ltd. | |
설립일 | 1974년 9월 23일 |
업종 | 시내버스 운송업 |
대표자 | 최윤준 |
주요 주주 | 최윤준: 20.66% 최형식: 13.46% (2022년 12월 31일 기준) |
기업구분 | 중소기업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직원 수 | 482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
자본금 | 23억 4,000만원(2022년 기준) |
매출액 | 500억 7,415만 5,079원(2022년 기준) |
영업이익 | 4억 1,124만 7,731원(2022년 기준) |
순이익 | 18억 7,247만 8,294원(2022년 기준) |
자산총액 | 362억 9,636만 7,361원(2022년 기준) |
부채총액 | 94억 5,929만 820원(2022년 기준) |
부채비율 | 35.25%(2022년 기준) |
소재지 | 본사 -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로 230 (면목동) 신내동영업소 -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역로 25 (신내동, 중랑공영차고지) 예장주차장 사무실 -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26길 36 (예장동)[1] |
[clearfix]
1. 개요
지선버스 2211번 | 순환버스 01A번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로, 순환버스 노선을 보유한 업체이다.[2] 그리고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 중 처음으로 고상차량에도 플라스틱 시트를 적용한 회사이다.[3]
2. 특징
2권역에 위치한 회사 중 가장 버스가 많다.[4] 이름이 유사한 서부운수, 중부운수와는 지배 구조상 관계가 없다.[5] 서부운수는 서울승합이 회사 규모를 줄이며 노선을 나누어 낼 때 생겼으며, 북부운수와 중부운수는 서울시영버스에서 민간업자로 넘어오면서 설립됐다. 당시 운행 노선은 단 하나로 시영버스 205번(지금의 272번)이었고, 이후 여러 회사 노선들을 인수하면서 규모가 커진 것. 시영버스 노선을 불하받은 회사는 북부운수와 중부운수 외에도 대진여객을 통해 노선을 불하받은 동성교통과 송파상운이 있다.차고지가 면목4동(중랑구민회관 옆)에 있다 보니 면목동 일대와 바로 옆의 동대문구 장안동 교통을 거의 다 이 회사가 책임지고 있다고 보면 된다.[6]
경성여객과 달리 본사 내에 CNG 충전소가 있으며, 2권역 업체 중 공영차고지 입주 업체를 빼면 이것도 유일하다. 노선 대다수(01번, 2312번 제외)가 면목로를 경유하는데다 노선마다 배차간격이 비교적 짧은 편이라 서울 지하철 7호선이 개통하기 전의 면목로(사가정역) 일대는 종로만큼이나 혼돈스러웠다(지금도 도로 확장이 안 되어서 마찬가지). 한편 장안동은 면목동에서 중랑교랑 겸재교를 경유하지 않는 이상 무조건 경유하는 동네이다. 중랑천을 건너지 않는 2312번을 제외하면 모든 노선이 동대문구를 경유하며, 장안동을 양방향 경유하는 2112, 2211, 2233 3노선은 장안동 구석구석을 다녀서 지하철역과 다른 버스 노선과 연계한다.
2004년 버스 개편 당시 메트로버스에 출자한 회사다. 3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메트로버스의 최대 주주이고, 북부운수 사장이 메트로버스 사장을 겸임하고 있다.
2003년 6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청계천 무료 셔틀버스를 운영했던 여러 회사 중 하나다.
모든 노선의 막차가 0시도 되기 전에 회차점을 찍는다.
한때는 서울에서 속칭 3분요리 방식으로 예비차량을 운영하고 있는 회사 중 하나였다.[7] 예비차의 달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동 예비차는 LED에 항상 남산 갈 준비가 됐다.[8] 지금은 순환버스도 하나만 남은 터라 그렇게 부각될 정도는 아니다.
또 이 회사에서 2312번을 제외한 모든 지선버스는 양방향이 겹치거나 멀리 돌아서 온다.[9] 장안동에서는 2112번, 2211번, 2233번이 돌아간다. 그나마 2211번은 외우기 쉽지만 2112번, 2233번은 휘경동에서도 돌아가므로 장난이 아니다(특히 2112번. 2233번은 휘경동 구간을 한 방향으로만 다니기에 거기선 낫다). 2311번은 휘경동으로 살짝 돌아가고, 2230번은 사가정역에서 입체교차한 후 중랑구청까지 원정갔다가 온다. 물론 262번도 260번에 비해 신내동과 동대문구, 도심 코스가 돌아가는 코스다. 또, 간선버스는 그렇다 해도 너무 배차가 길다. 지선버스 중에 빨리 오는 편인 노선은 2211번뿐이다.[10] 게다가 지선버스 배차는 2211번을 제외하고 배차가 길다.
중랑공영차고지 소속 노선들은 모두 한강을 건너간다. 간선 262번은 마포대교, 지선 2311번과 2312번은 각각 잠실대교, 구리암사대교를 경유한다. 그리고 2211번을 제외한 모든 중랑구 노선들은 사가정역에서 만난다.[11]
버스에는 부착하지 않았지만 사실 이 회사도 자체로고가 있으며, 순수 중랑구 버스회사에서는 유일하다. 과거 순환버스에는 새기고 다녔었다. 현재는 노선변경, 노선우회 등으로 게시되는 안내문에서만 볼 수 있다.
2017년 11월에 드디어 전기버스 대차분으로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순환도색 신차를 출고하면서 결국 프리머스 전기버스는 폐차됐다. 이번 신차는 2012년 태진운수 이후로 5년 만에 들어가는 순환도색 신차이다. 2003년 당시와 비교하면 제대로 차급이 상향된 셈.
면목동차고지 노선들 중 일부는 중랑차고지에 주박하는 경우도 있다. 면목동차고지가 좁기 때문이다(특히 주변도로도 중랑구에서는 악명 높은(?) 면목로).[12] 면목동 노선에 신차가 나오면 일부는 신내동에서 작업한다.[13] 2017년에 나온 남산순환버스 현대 신차들은 면목동, 신내동 나눠서 작업했다. 가끔 2112번, 2211번, 2230번, 2233번, 272번이 신내동에 등장하기도 한다. 그리고 신내동 노선인 262번이 면목동 본사에서 차량을 점검하기 위해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2019년 12월에 02번을 시작으로 남산순환버스들의 전기 프리머스 도색을 하고 다니던 프리머스 가스 차량들이 순차적으로 전부 노란색으로 재도색됐다. 2020년 이후 순환버스 운행차량을 전기로 바꾸면서 기존의 CNG 차량들을 타 노선으로 보냈으며, 녹색순환버스 전기화 영향 때문에 2011년식 BS106마저 전부 다 칼대차됐다.
2021년 8월부터 시행되는 남산서울타워 관광버스 진입 금지 조치로 인한 수요 증가에 대비해 순환버스 10대 증차가 확정되어 한정면허로 에디슨 e-화이버드 5대와 하이거 하이퍼스 5대를 출고했다. 해당 증차분 차량들은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언제부터 운행에 투입될지는 미지수였으나 2023년 2월에 하이퍼스 2대가 01번에 투입되었으며 나머지 3대는 여전히 방치중이다. 화이버드의 경우 에디슨모터스 공장에 방치되어 있다가 2023년 11월에 5대 전부 2230번에 투입되었고 그 대신 차돌리기를 통해 2230번 차량 5대를 01B번으로 이동시켰다.
2022년 12월 1일부터 심야버스 운행에도 참여한다.
2023년 3월 1일부터 현금승차 폐지 확대운영 업체로 선정됐다. 그래서 2023년 3월 1일부터 이 회사의 버스는 심야노선인 N72번을 제외하면 교통카드가 있어야 승차 가능하며, 교통카드가 없으면 승차할 수 없다.
3. 여담
- 신흥기업 창업주랑 북부운수 창업주가 동일인물이다.
- 총 196대를 보유하고 있어, 서울시에서 네 번째로 규모가 큰 업체이다. 1위는 293대를 보유한 선진운수, 2위는 동아운수(208대), 3위는 대원여객, 한성운수, 한남여객운수(203대)다. 단, 북부운수는 순환버스 한정면허로 일부 차량이 순증차된 것이기에, 코로나19가 나아지면 다른 업체들과 달리 규모가 커질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4. 영업소
- 면목4동 본사(1차고지) :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로 230 (면목동 378-3) - 01, 272, 2211, 2230[14]
- 면목4동 본사(2차고지) :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로 217 (면목동 391-1) - 2112, 2233[15]
- 신내동(중랑공영차고지) :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역로 25 (신내동 63) - 262, 2311, 2312A
5. 운행 노선
밑줄 표기 구간은 양방향이 동시에 경유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버스 행선판으로 목적지를 확인한 후 이용해야 한다.5.1. 간선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262 [공동배차1][신내] | 중랑공영차고지 | 양원역 - 망우역 - 면목역 - 면목두산아파트 - 촬영소사거리 - 청량리역 - 신설동역 - 동대문 - 종로2~6가 - 남대문시장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청파동 - 원효로2.3가 - 청암동강변삼성아파트 → 삼부아파트 → 샛강역 → 여의도역 → 여의도환승센터 | 여의도환승센터 | 6~10 |
272 [본사] | 면목4동 | 사가정역 - 상봉역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 - 신설동역 - 성북구청.성북경찰서 - 창경궁.서울대학교병원 - 경복궁 - 이대부고 - 연세대학교 - 서대문종합사회복지관 | 남가좌동 | 4~7 |
5.1.1. 심야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N72 [공동배차2][본사] | 중랑공영차고지 | 양원역 - 상봉역 - 사가정역 - 장안교 - 청량리역- 신설동역 - 신당역 - 이태원역 - 전쟁기념관 - 공덕역 - 신촌로터리 - 홍대입구역 - 합정역 - 서울월드컵경기장 - DMC첨단산업센터 | 은평공영차고지 | 25~40 |
5.2. 지선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2112 [본사] | 면목4동 | 사가정역 - 휘경동[22] - 장안동[23] - 촬영소사거리 - 신답역 - 동대문구청 - 신설동역 - 동대문 - 혜화역 - 한성대입구역 - 성북초교 | 서울다원학교 | 10~14 |
2211 [본사] | 면곡시장 - 장안동[25] - 장안동근린공원 - 휘경여중고 - 삼육서울병원 | 회기역 | 5~7 | |
2230 [본사] | 사가정역 - 상봉역 - 중랑구청 - 상봉터미널 - 용마공원입구 - 중화중학교 - 사가정역 - 장안2동주민센터 - 전농사거리 - 서울시립대입구 - 청량리역 | 경동시장 | 7~11 | |
2233 [본사] | 사가정역 - 장안교 - 장안동[28] - 촬영소사거리 - 전농사거리 - 청량리역 - 신설동역 - 동대문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청구역 - 금호사거리 | 옥수동 | 12~18 | |
2311 [신내] | 중랑공영차고지 | 서울의료원 - 중랑구청 - 상봉역 - 면목2동 - 휘경여중고 - 사가정역 - 중곡초등학교 - 중마초등학교 - 군자역 - 어린이대공원후문 - 광진구청 - 잠실역 - 석촌역 - 오금역 - 송파중학교 | 문정동 | 10~12 |
2312A [공동배차3][신내] | 서울의료원 - 중랑구청사거리 - 망우역 - 면목2동 - 사가정역 - 구리암사대교 - 명일역 - 길동역 - 중앙보훈병원역 - 상일근린공원 - 강일역 - 강일리버파크7~10단지 | 강동공영차고지 | 8~30 |
5.2.1. 맞춤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8221 [공동배차4][본사] | 장안2동주민센터 | 장안동삼성쉐르빌아파트 → 장한평역 → 전곡시장 → 답십리촬영소 → 동아.위더스빌아파트 | 답십리역 | 5~13 |
5.3. 순환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01A/B [본사] | 남산예장주차장 | 충무로역 → 동대입구역 → 남산서울타워 → 남대문시장 → 광화문 → 청와대 → 안국역 → 종로2가 | 남산예장주차장 | 6~9 |
충무로역 → 동대입구역 → 남산서울타워 → 남산케이블카 | 15~18 |
6. 폐선 및 공동배차 철수한 노선[35]
6.1. 순환버스
- 01[A](동대문운동장 → 종로4~6가 → 광장시장 → 을지로1~4가 → 삼성화재 → 서울신문사 → 한국통신 → 세종문화회관 → 덕수궁 → 삼성플라자 → 염천교 → 서울역 → 숭례문 → 남대문시장 → 롯데백화점 → 을지로1~6가 → 동대문운동장)
- 02[A](동대문운동장 → 을지로5~6가 → 중구청 → 대한극장 → 남산골한옥마을 → 명동역 → 회현역 → 숭례문 → 시청 → 삼성생명 → 롯데백화점 본점 → 북창동 → 염천교 → 서울역 → 회현역 → 명동역 → 스카라극장 → 을지로4~6가 → 동대문운동장)
- 03[B](N서울타워 → 남산도서관 → 남대문경찰서 - 서울스퀘어 → 회현역 → 남산3호터널 → 해방촌 → 이태원동 → 한강진역 → 버티고개역 → 약수역 → 동대입구역 → 국립극장 → N서울타워)
- 03(서울특별시청 → 경복궁 → 인사동 → 종로2가 → 명동 → 서울특별시청)
- 04[B](남산예장주차장 → N서울타워 → 남산도서관 → 시청 → 낙원상가 → 종로3~6가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동대입구 → N서울타워 → 남산예장주차장)
- 05[B](N서울타워 → 남산도서관 → 남대문시장 → 명동역 → 남산한옥마을 → 충무로역 → 퇴계로5가 → 광희문 → 충무아트홀 → 청구역 → 약수역 → 동대입구역 → 국립극장 → N서울타워)
6.2. 지선버스
- 2011(면목4동 - 사가정역 - 장안교 - 휘경동 - 장한평역 - 장안사거리 - 배봉초등학교 - 성바오로병원 - 제기동역 - 신설동역 - 동묘앞역 - 동대문역) - 구 155번의 동대문운동장역 - 옥수동 구간을 붙여서 2233번이 되었다.
- 2111(면목4동 - 사가정역 - 면목역 - 혜원여중, 고등학교 - 서일대학교 - 사가정역 - 장안교 - 장안2동 주민센터 - 전농사거리 - 동부교육지원청 - 서울시립대학교 - 서울성심병원 - 청량리역 - 경동시장 - 홍파초등학교 - 고려대역 - 종암경찰서 - 월곡역)
- 2212(면목4동 → 장평교 → 국민은행장안동지점 → 우리은행장안동지점 → 장한평역 → 희정약국[45]- 우리은행장안동지점 → 장평중학교 → 서울장평초등학교 → 조흥은행장안동지점[46] - 장안2동주민센터 - 휘경여자중, 고등학교 - 휘봉고등학교 - 중랑교 입구 - 회기역 → 왔던 구간으로 장안2동주민센터까지 운행 → 장안교 →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 고등학교 → 동대문구민회관 → 장한평역 → 우리은행장안동지점 → 장안사거리 → 국민은행장안동지점 → 장평교 → 면목4동) - 2211의 하위호환 노선[47]
- 2213(면목4동 - 사가정역 - 장안교 - 휘경동 - 장한평역 - 장안동사거리 → 신답역 → 용두역, 동대문구청 → 신설동역 → 제기동역 → 성바오로병원 → 전농동) - 구 402번의 존치 노선이었으나 신설 예정이었던 1214번의 동대문 - 성북동 구간과 합쳐 2112번이 되었다.(동대문 - 옥수동 구간은 구 143-1번의 연장 노선인 0212번(현 7212번)으로 들어갔다.)
- 2227 : 중랑공영차고지(삼거리) - 당너머 - 우디안아파트220동 - 새솔초등학교 - 우디안아파트114동 - 중랑경찰서후문 - (→ 새우개마을 / 신내능마을 ←) - 신내역 - 동서울교회 - 양원리 - 송곡여고, 양원역입구 - 서울특별시 북부병원 - 망우동고개 - 금란교회 - 삼용사입구 - 용마공원입구 - 면일초등학교 - 혜원여자중, 고등학교후문 - 농협앞 - 면목역 - 중랑구치매지원센터 - 홈플러스 면목동점 - 면목두산아파트 - 사가정역 - 사가정시장 - 면목금호어울림아파트 - 용마폭포공원 - 용마산역 - 면목동 → 용암사입구 → 대원고등학교 → 중곡동종점 → 중곡동성당 → 국립서울병원 → 중곡역 → 용곡삼거리(대원교통으로 부터 인계 및 메트로버스와 평일에 공동배차를 하는 식으로 운행했다)[48]
- 3215(면목4동 → 사가정역 → 장안교 → 전농동 → 서울시립대학교 → 청량리역 → 왔던 구간으로 면목4동까지 운행 → 군자역 → 아차산역 → 광진구청 → 잠실대교 → 잠실역 → 석촌역 → 오금역 → 문정동 → 왔던 구간으로 면목4동까지 운행 및 종착) - 노선 자체는 면목4동에서 청량리까지 갔다가 잠실대교 건너 문정동에서 회차 후 다시 면목동차고지로 오는 노선이었으나 2013년 9월 26일자로 2311번으로 노선 변경과 동시에 중랑차고지 기점으로 변경했다.
6.3. 맞춤버스
- 8002(서울역 - 남산N타워)
- 8223(회기역 - 장한평역)
- 8272(신설동역 - 사천교) - 노선 자체는 272와 동일했으나 신설동역 일대를 2회 경유한 것이 차이점이었다.
- 8361(강일동 - 여의도) - 서울승합, 메트로버스와 공동배차했다. 그리고 이 노선 공동배차 당시 북부운수만 유일하게 공차회송을 했었다.
7. 면허 체계
참고로 2000년 회사 통폐합때 혁성운수의 노선을 받았음에도 혁성운수 면허였던 서울 74 사 91##호와 92##호가 없는데 이는 혁성운수가 당시 통폐합된 다른 회사들과 달리 퇴출이 아닌 면허 자진반납으로 폐업절차에 들어갔고, 따라서 북부운수는 혁성운수의 면허를 승계받은 게 아닌, 다시 새로 면허를 발급받아서 운행했다.또한 비슷한 시기에 넘겨받은 동부운수 노선들(522적, 청) 소속 차량 역시 면허를 새로 발급받아 운영했다. 여담으로 동부운수의 차량 번호는 현재 거의 남아있지 않은데 이전에 노선 폐지 등 기타 이유로 타 회사에 넘어간 면허들도 소수일 뿐더러 2000년 1월 경영부실로 퇴출할 때 노선 배분 당시 기존 번호들을 모두 말소하면서 번호를 새로 발급받았기 때문이다. 이는 522-2를 넘겨받은 동아운수도 마찬가지이다.
- 서울 70 사 2740 ~ 2755호, 6204 ~ 6329호
- 서울 71 사 2701 ~ 2710호
서울 75 사 2940 ~ 2943호- 북부운수 증차 면허. 구.205-1번(좌석) 증차분이다. 지금은 다른 업체로 매각되었기에 사용하지 않는다.[49]
7.1. 타 회사 출신 면허
- 서울 74 사 3827, 3876호
- 구.상원여객(구.동아여객) 면허. 구.삼선버스가 상진운수의 구.24번을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였다. 이후 서울승합과 흡수합병되면서 넘어갔다가 서울승합의 감차과정에서 면허도 같이 넘어왔다.
- 서울 74 사 4320호
- 서울 74 사 6102, 6121, 6123 ~ 6124, 6136, 6145 ~ 6146, 6150, 6152 ~ 6155, 6157 ~ 6158, 6161 ~ 6163, 6165, 6175 ~ 6178호
- 구.신한교통(구.선진교통) 면허. 북부운수와 흡수합병되면서 대거 넘어왔다.
- 서울 74 사 7021호
- 우신운수 면허. 우신운수가 구.205번 공동배차에 철수하면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8805호
- 서울 74 사 9681 ~ 9683, 9685 ~ 9688, 9690 ~ 9691, 9693 ~ 9700, 9713, 9715 ~ 9717, 9719 ~ 9722, 9724, 9726, 9732, 9735 ~ 9737, 9747 ~ 9760, 9762, 9770 ~ 9779호
- 구.서울시영버스 면허. 구.205번을 인수하면서 받았다. 사실상 북부운수의 주 면허다.
8. 보유 차량
8.1. 차량 관련 일화
한때 보유 중인 버스는 대다수가 자일대우버스였다. 1977년 HD160 다수, 1987년 RB520L, 1988년~1990년 RB520SL을 상당수 출고한 것 외에는 꾸준히 자일대우버스만 출고했는데[50], 2000년 혁성운수의 53, 54번을 인수할 때 자일대우버스만으로는 제 때에 버스를 투입할 수 없어 하도 급한 나머지 현대자동차에서 버스를 출고한 적도 있다. 하지만 2008년과 2009년 두차례에 걸쳐 전 차량 자일대우버스로 다시 대차했다.그러다 서울특별시청에서 2010년 12월 21일자로 남산 순환버스에 한국화이바 프리머스 전기버스를 투입하면서 전차량 자일대우버스 기록은 깨졌다. 하지만 2011년 5월에도 자일대우버스 신차를 투입하는 등 자일대우버스 사랑은 여전했다.
2015년 11월 자일대우버스의 부식, 잔고장 문제와 A/S 문제로 학을 떼면서 현대자동차를 출고했으며, 272번과 2233번 노선으로 11월 23일부터 투입했다.신차사진 그리고 전기버스 출고 이전까지 현대버스로 완전히 전향했다. 전광판은 싸인텔레콤을 사용하지만 2011~2015년에 잠시 컴텔싸인으로 전향한 적이 있다.[51]
이 회사의 가장 큰 차량 특징은 독특한 옵션이다. 현대차는 타사와 비교하면 지극히 평범한 옵션으로 뽑았지만 자일대우버스는 옵션을 독특하게 뽑았다.
자일대우버스의 경우 크롬시티를 제외하고 로얄시티, 로얄미디는 무조건 주황 손잡이가 달려있었다. 타사에서 이와 같은 옵션은 동아운수의 대우 저상/준저상 차량 밖에 없었다. 또 모든 차량이 저상버스에 달리는 플라스틱 의자다.[52]
북부운수의 방침상 2017년에 출고한 그린시티[53]도 플라스틱 의자다.
2017년에 무려 77대나 현대차로 대차되면서 현대차의 비중이 자일대우버스를 앞질렀고 2019년에는 현대 저상버스를 30대 넘게 뽑았다. 동시에 현대차가 100대를 넘는다. 신길교통과 더불어 대우차 이미지에서 현대차 이미지로 변신한 회사들 중 하나이다. 단, 전기버스는 일렉시티의 비싼 가격과 주변 회사들이 인휠모터로 데였다는 입소문으로 인해 현대차를 아예 뽑지 않는다.
2023년에 대형버스 투입이 불가능한 2211번에도 하이거의 중형 전기 저상버스를 도입했다. 그리고 동년 8월 말에 자일대우버스는 전멸했다.
중형버스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회색봉 개선형 고상은 없다. 2017년에 청록봉 팬더미디를 모두 대차시킨 뒤 이후로는 중형버스도 얄짤없이 저상으로 교체하기 때문.[54]
8.2. 현재 보유차량
8.2.1. 현대자동차
- 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8.2.2. 하이거
8.2.3. 우진산전
8.2.4. KGM커머셜
8.2.5. CRRC
8.3. 과거 보유차량
8.3.1. 자일대우버스
- 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090 로얄미디 F/L 천연가스버스
- 대우 NEW BS090 뉴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 대우 BF101 디젤
- 대우 BV101 디젤
- 대우 BS105 디젤
- 대우 BS105L 디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L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L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06 로얄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10CN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10CN F/L 천연가스버스
- 대우 NEW BS110 천연가스버스
8.3.2. 현대자동차
8.3.3. 기아
8.3.4. KGM커머셜
9. 지배구조
2022년 12월 기준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최윤준 | 20.66% | 대표이사 |
최형식 | 13.46% | 감사 |
박희서 | 13.08% | |
최상훈 | 10.80% | 이사 |
최원정 | 8.31% | |
최희정 | 8.31% | |
최면식 | 7.69% | |
조영수 | 4.70% | |
윤태순 | 3.50% | |
조영준 | 2.99% | |
박준규 | 2.30% | 이사 |
김경희 | 1.40% | |
김영신 | 1.40% | |
김영환 | 1.40% |
10. 둘러보기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colcolor=#fff> 강남구 | 도선여객 | 정평운수 | |
강동구 | 서울승합 | |||
강북구 | 동아운수 | 선일교통 | 삼양교통 | |
영신여객 | 한성운수 | |||
강서구 | 공항버스 | 김포교통 | 다모아자동차 | |
영인운수 | 정평운수 | |||
관악구 | 관악교통 | 보성운수 | 한남여객운수 | |
광진구 | 신흥운수 | |||
구로구 | 군포교통 | 보성운수 | 서울매일버스 | |
금천구 | 범일운수 | 보영운수 | 신인운수 | |
노원구 | 흥안운수 | 삼화상운 | 한성여객 | |
진아교통 | 태릉교통 | |||
도봉구 | 서울교통네트웍 | 아진교통 | ||
마포구 | 다모아자동차 | 유성운수 | ||
서대문구 | 서부운수 | 신촌교통 | 원버스 | |
현대교통 | ||||
서초구 | 대흥교통 | 삼성여객 | 우신운수 | |
우신버스 | ||||
성동구 | 태진운수 | 대원교통 | 대원여객 | |
성북구 | 대진여객 | 도원교통 | 상진운수 | |
송파구 | 남성버스 | 동성교통 | 대성운수 | |
서울버스 | 송파상운 | 진화운수 | ||
한국brt | 한서교통 | |||
양천구 | 관악교통 | 도원교통 | 세풍운수 | |
신길교통 | 양천운수 | 중부운수 | ||
은평구 | 보광교통 | 신수교통 | 선진운수 | |
원버스 | 유성운수 | 제일교통 | ||
종로구 | 동해운수 | |||
중랑구 | 경성여객 | 대원교통 | 메트로버스 | |
보광운수 | 북부운수 | |||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 ||||
동대문구 | 동작구 | 영등포구 | 용산구 | |
범례 | ||||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 흥안운수 계열사 |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 KD 운송그룹 계열사 | |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1] 순환버스 운행 중에만 사용하며 실질적 관리는 면목동 본사로 통합되어 있다.[2] 예전에는 유일하게 순환버스를 운영하던 회사였으나(정확히는 2015년 이후. 이전에는 태진운수랑 다른 회사들도 있었다), 2020년 순환버스 개편에 따라 메트로버스와 대원여객도 운영하기 시작하면서 다시 여러 회사가 순환버스를 운영하는 것과 다름 없었다. 하지만 2022년 6월 27일에 01A, 01B번이 폐선돼 북부운수가 다시 순환버스를 운영하는 유일한 회사가 됐다.[3] 다만, 당시의 북부운수는 자일대우버스를 주력으로 사용했기에 자일대우버스 기준으로 최초 적용한 것이다. 현대버스에 플라스틱 시트를 적용해 일반차량을 뽑은 곳은 마을버스 업체인 연일교통이다. 이후, 영인운수가 화재사고로 신도양 취소분을 업어온 뒤 동아운수가 정식으로 출고했다. 동일 사장이 겸임하는 메트로버스와 함께 서울에서 둘 뿐인 대우 고상버스 플라스틱 시트 보유 업체였다.[4] 대원여객이 노선 트레이드를 통해 2권역 출발 노선을 없애면서 북부운수가 차량대수 1위가 됐다. 사실 대원여객이 있던 시절에도 2권역 기점 노선만 따지면 북부운수가 1위였다.[5] 과거에는 남부운수와 동부운수도 있었다. 그리고 중랑구 버스회사 중 진짜로 서울승합 분사 출신은 경성여객이다. 북부운수 대부분 노선들은 서부운수 721번과 만나며(262번과 272번은 다른 노선과도 만난다.), 중부운수 노선들과 만나기도 한다. 예를들어 2233번-6211번, 262번-603번.[6] 면목2동은 면목8동에 있는 경성여객이 담당하며, 북부운수 노선 중 면목2동을 경유하는 노선은 이전까지 없었다가 2312번을 공동 배차하면서 면목2동을 경유하는 노선을 보유하게 되었고, 이후 2311번의 노선 조정으로 면목2동으로 다니는 노선이 하나 더 늘게 되었다. 참고로 북부운수의 주력 구간은 면목로, 사가정역 일대, 동대문구이다. 동대문구는 01번과 2312번을 제외하고 모두 경유한다.[7] 당시 운행했던 02, 03, 05번 기준. 시티투어+순환버스+주박/대기버스=헬파티. 그냥 파랑, 초록 상관없이 휴차면 그냥 끼우고 원정 보냈다. 물론 프리머스(특히 전기차)의 잔고장 문제로 벌어진 일이며 이전엔 그런 일이 없었다.[8] 그래서 262와 272, 그 외 소속 지선노선 예비차량도 LED가 달려있으며, 차체 후면과 측면에는 번호를 끼울 수 있는 행선판 틀을 적용. 주변 회사인 경성여객, 메트로버스, 대원교통과 다른 케이스이며, 그 외 다른 공동예비차를 운행하는 회사들의 고상버스도 마찬가지.[9] 그래서 2312번을 뺀 모든 지선버스들은 방향 행선판을 부착했다. 대신 2230번은 나머지 노선들과 달리 양방향 겹치는 정류장을 다니는 건 아니나 혼동 방지를 위해 일부러 부착했으며(사가정역 - 중랑구청 구간 기준), 2311번은 반대로 노선이 변경된 터라 더는 그 행선판이 필요 없어졌다(이 노선들 외에는 순환버스들이 행선판을 부착했으며, 반대로 272와 262번은 그걸 더이상 부착하지 않는다). 덤으로 행선판 디자인이 과거에는 흰 바탕에 글자를 색깔로 썼다면, 지금은 바탕색을 다르게 했다.[10] 2311번은 길다고 쳐도 나머지는 기본 10분은 깔고 온다. 동대문구민회관 정류장에서 2112번 한대가 지나가면 다음 차량은 15분 정도가 뜨는 게 정상이다. 어떨 때는 차고지다. 하나 더 추가하자면 골목을 엄청 다니기 때문에 조심하자. 왜냐하면 길이 좁기 때문에 추월이나 기타 등등이 힘들어 기사들이 욕을 엄청 한다.[11] 사가정로, 면목로로 서로 교차하며, 2211번은 면목로에서 사가정역 반대쪽인 군자역 방향으로 운행을 시작하여, 답십리로를 경유한다. 또, 7호선 연계역은 도보 5분 거리인 용마산역이 전부.[12] 그래도 옆동네에 비하면 나은 편이다. 대신 반대로 경성여객 본사 주변도로인 용마산로는 왕복 4차선이라 면목로보단 양호하다.[13] 특히 면목동 노선에 신차가 대량으로 나오면 면목동, 신내동 나눠서 작업한다.[14] 01번은 주박과 차량 정비만 면목4동에서 한다. 실질적 기종점은 남산예장버스주차장.[15] 선진교통 차고지로 사용되던 곳으로, 주말에는 타 노선 휴차도 이 곳에 주차된다.[공동배차1] 대원교통과 공동배차.[신내] 신내영업소 소속[본사] 면목본사 소속[공동배차2] 유성운수, 보광교통과 공동배차.[본사] [본사] [22] 장안2동주민센터 → 장안동현대아파트 → 휘경여중고, 휘경주공아파트 → 휘경공고, 휘경주공아파트 → 한국산업인력공단(서울지역본부)[23] (성북 방면) 성복교회 → 장안현대홈타운(정문) → 동대문구민회관 → 파라브아파트 → 장한평역 → 북한연구소 → 우리은행장안동지점 / (면목동 방면) 파라브아파트 → 장한평역 → 북한연구소 → 우리은행장안동지점 → 동경호텔 → 경남호텔 → 장안동삼성쉐르빌 → 새서울병원 → 신한은행장안동지점 → 장안동근린공원[본사] [25] 장안사거리 - 우리은행장안동지점 → 장한평역 → 청년회의소 → 촬영소사거리 → 장안지구대 → 역순[본사] [본사] [28] (옥수 방면) 장안2동주민센터 → 휘경여중고, 휘경주공아파트 휘봉초등학교 → 한국산업인력공단(서울지역본부) → 장안현대홈타운 → 동대문구민회관 → 파라브아파트 → 장한평역 → 북한연구소 → 우리은행장안동지점 → 동경호텔 → 경남호텔 → 장안삼성쉐르빌 / (면목 방면) 장안현대홈타운(정문) → 동대문구민회관 → 파라브아파트 → 장한평역 → 북한연구소 → 우리은행장안동지점 → 동경호텔 → 경남호텔 → 장안삼성쉐르빌 → 새서울병원 → 신한은행장안동지점 → 장안동근린공원 → 장안교[신내] [공동배차3] 대원여객과 공동배차.[신내] [공동배차4] 상진운수, 한성운수, 태릉교통과 공동배차.[본사] [본사] [35] 이 중 2011번과 2213번, 2218번은 개편 전에 계획된 노선일뿐 시행되지 않았다.[A] 도심순환노선[37] 청계천 순환노선[38] 강남 노선[A] [40] 대원여객과 공동배차.[A] [B] 남산순환노선[B] [B] [45] 현재 장안동우체국 정류장[46] 현재 NH농협장안평지점 정류장[47] 변경 전에는 휘봉고등학교에서 한천로를 경유하여 신이문역까지 운행했다.[48] 262번 출신 차량으로 공동배차 했었다. 2018년 11월 26일(실질적으론 11월 24일)로 공배 종료.[49] 2940 ~ 2941호는 영인운수에 있다. 2942호와 2943호는 메트로버스와 현대교통이 각각 보유하고 있다가 유성감차로 말소되었다.[50] 1987년에 삼선버스로부터 1986년식 RB520L을 3대 넘겨받은 기록 또한 존재한다. 1987년 상반기에 삼선버스측이 서울시 명령에 따라 205번을 북부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을 했었기 때문. 또 우신운수도 1987년에 서울시 명령에 따라 205번을 공동배차로 운행을 하던 전례가 있다. 이는 얼마 못가 종료되었다.[51] 단 2012년식 중형버스는 다시 싸인텔레콤이었다.[52] 2008년부터 자일대우버스로 대거 바꿀 때 선택한 것. 그 전엔 평범한 스펀지 시트로 출고했다.[53] 우측 첫번째 창문은 통유리로 나왔다.[54] 또한 현대차 자체를 2010년대 중후반에만 출고하여 하차벨 전구수가 6개 이하로 줄어든 연식의 개선형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