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23:44:24

동해운수

파일:고양시 CI.svg 경기도 고양시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관내 시내 가온누리엠 고양교통
명성 서울여객 선진버스
관외 시내 동해운수 서울매일버스 선진운수CL 신촌교통
마을 고양도시관리공사 관산운수 대덕운수 대림교통
대화교통 동일운수 명보교통 백마운수
보람운수 보은교통 부광운수 성우교통
신일산교통 신일산운수 여산교통 자안운수
주원교통 하나교통 한진교통 화정교통
홍성(주)
CL : 현금 승차 제한 업체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파일:종로구 CI.svg 서울특별시 종로구 버스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시내버스 동해운수,[a][b],
마을버스 나경운수 대산교통 삼청교통 와룡운수
은수교통 인왕교통 종로운수
사라진 버스회사
시내버스 승원여객,[a],
마을버스 교남마을버스
[a] 종로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 [b] 경기도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동해운수 주식회사
東海運輸 株式會社
Donghae Transport Co., Ltd.
설립일 1966년 2월 26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김경희, 정병천
주요 주주 김경희 외 5인: 97.17%
자사주: 2.83%
(2022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229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1억 1,500만원(2022년 기준)
매출액 220억 9,141만 9,629원(2022년 기준)
영업이익 1억 3,797만 1,550원(2022년 기준)
순이익 -6억 9,697만 4,176원(2022년 기준)
자산총액 183억 3,826만 8,052원(2022년 기준)
부채총액 30억 3,452만 1,787원(2022년 기준)
부채비율 19.83%(2022년 기준)
소재지 본사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경의로 772 (대화동)
면허등록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35나길 14 (혜화동)[1][2]

1. 개요2. 특징3. 명칭4. 노선 현황
4.1. 운행 노선4.2. 과거 운행했던 노선
5. 면허 체계6. 보유차량7. 지배구조8. 여담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서울7728_2484.png 파일:서울700.png
지선버스
7728번
간선버스
700번

서울특별시시내버스 업체. 차고지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경의로 772(대화동 1994)에 있다.

2. 특징

전통적으로 7권역 지역에서만 노선을 굴리고 있는 서울특별시시내버스 업체다.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에서 숭례문까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 1개, 영등포까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 1개, 디지털미디어시티역까지 운행하는 1개와 대화동에서 신촌(서울)까지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 1개를 보유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송파구 소재 시내버스 운수업체인 동부운수를 계열로 뒀으나 2000년 1월초에 부도로 청산했다.

1966년에 설립되어 수색에서 서울역을 잇는 53번 입석(1970년 개편 이후 147번)을 개통하면서 시내버스 사업을 시작했고, 1977년에 능곡과 서울역을 잇는 148번을 개통하면서 고양시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1990년대에 들어서 일산신도시가 본격적으로 개발되자 903번을 통해 일산에 진출했다.[3]

2002년, 사각램프 슈퍼 에어로시티 천연가스버스를 출고했을때 한때 도시형 좌석화 천지로 만들었던 버스등급 다운그레이드의 원흉[4]이다. 에어로 스페이스 대차를 천연가스 연료로 하는 로얄시티와 슈퍼 에어로시티로 대차하면서 타사의 좌석들이 슈퍼 에어로시티로 대차하게 만든 일등 공신이자, 유리창이 깨진 차를 반 년 넘도록 청테이프로 대충 막고 다녔을 정도로 정비따윈 아오안이었던 회사였으나, 2011년 이후로는 현대차량만 출고하고 있다. 또한 준공영제가 있어서 차량 관리 상태가 명성운수 수준으로 좋다.

일산지하도네거리 본사 외에는 원릉역 인근에 영업소가 있었으며, 화전동에도 영업소가 있었다.[5][6]

이 회사에 소속된 네 노선이 모두 만나는 곳은 대화동 차고지 밖에 없다.[7] 또한 일산 - 신촌, 숭례문방면 노선을 주로 운행해 오다가, 707번이 월드컵대교 경유 노선으로 선정되어 760번으로 바뀌면서 영등포에 처음으로 입성했다.[8]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 중 9년을 채우고 차량을 대차하는 대표적인 업체이지만 2011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고상차량의 경우 2002년식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 입석(3대) 대차분이며, 이 중 2대가 9년 채우고 707번 저상 신차로 대차되고 2002년식 동글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형 차량 몇 대는 2013년에 11년을 채워서 대차한 적도 있다.[9] 또한 2006년식 로얄시티의 경우 2016년에 대차된 사례도 있고, 700번의 2012년식 저상 차량과 7728번의 2012년식 고상차량의 경우[10] 2022년에 신형 저상버스로 대차된 사례도 있어서 항상 9년을 채우지는 않는다. 2016년까지는 신차를 출고하다가 2020년까지 신차를 출고하지 않았고, 동년 9월, 즉 4년 9개월 만에 신차를 출고했다.

에어컨 쪽에 붙이는 시정홍보 포스터[11]에 잘 신경을 쓰지 않는다. 2022년 12월 기준으로 다른 회사들은 민선 8기 슬로건인 '동행 매력 특별시 서울'이 붙어있는 서울시 안심소득 시정홍보 포스터가 게재되어 있는데, 여기는 무려 민선 6기 시절에 제작한 서울로 7017 홍보 포스터가 게재되어 있다. 2012년식 저상 차량이 굴러다니던 시절 붙인 홍보물인데, 이 차량들의 대차분인 2022년식 개선형 저상에 이 홍보물을 그대로 물려줬다. 특히 700번이 심한 편. 다만 일부 차량에는 다른 홍보물이 붙여져 있기는 한데, 그래봤자 2021년 재보궐선거 이후 민선 8기 시정이 출범하기 전까지 썼던 시정슬로건인 '다시 뛰는 공정도시 서울'이 붙어있는 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사업 포스터다.

신촌교통[12], 한국brt(진관지사)와 마찬가지로 과거에는 이 회사 또한 7권역 회사답게 과속과 난폭운전이 심각했었으나, 현재는 회사 자체적으로 개선을 하여 저속운행이 높은 편이다.[13] 특히 7728번의 경우 서오릉로의 원흥주유소~원당역 구간에서도 저속으로 운행하여 다른 차량들에게 많이 추월당하는 편이며, 700번이나 760번, 771번이 앞에 가고 있으면 광역버스들은 바로 중앙차선에서 나와서 추월해서 저 멀리 사라진다. 또한 700번의 경우 대곡 하이웨이 구간에서도 저속운행을 계속하는지라 다른 차량들에게 많이 추월당한다. 사실상 7권역 최강 저속업체라고 봐도 될 정도이다.[14] 실제로 40km/h도 내지 않는 차량이 대부분이며 KD나 서울교통네트웍보다도 느리다는 평도 있다.

반면에, 폭주하는 기사들도 종종 존재한다. 예를 들면, 7728번 버스기사가 1775호 버스를 몰고 신사초등학교 정류장에서 롤러코스터 마냥 풀악셀을 밟아서 3분 안에 디지털미디어시티역까지 가는 경우가 있었다.

승차문 위와 운전석 창문 위에 차량번호를 표기한다.

3. 명칭

동해라는 이름과는 다르게, 동해시동해바다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비슷하게 이름에 동해가 들어가는 동해상사고속하고도 관계가 없다.

4. 노선 현황

7728번을 뺀 모든 소속노선이 전신을 광역버스에 두고 있으며, 덕양구 주교동의 교외선 원릉역 인근에 있던 원당차고지를 2005년에 없애면서 상당수 노선을 억지로 대화동 본사로 늘리는 바람에 노선들의 운행 거리도 긴 편이다. 이 차고지가 없어진 이유에 대해서는 이 부지가 한국철도공사에서 임차해서 사용하던 곳이었는데, 재계약 협상이 결렬되었다는 카더라가 있다. 이러한 탓에 원래부터 도시형이었고 현재도 유일한 지선버스7728번도 2019년 2월 15일에 직선화되기 전까지 일산에서 능곡을 거쳐 서울을 왔다갔다하는 간선 내지는 광역급 길이를 자랑했었다.

과거 일산 → 서울 광역버스가 2시간이 걸린다는 뉴스기사에 나온 업체가 바로 이 동해운수. 또한 이 회사 출신 버스 기사가 쓴 수필집이 간행되기도 했다. 책 제목은 "거꾸로 가는 시내버스".

대화동차고지에 천연가스 충전소를 마련했고[15] 자가용 차량에도 가스를 판매하는 충전소다.[16] 비슷한 곳으로는 태릉교통 별내동 본사, 신길교통 부천 상동영업소동성교통 분당영업소, 신촌교통 설문동영업소고양교통 식사동 본사, 고양공영차고지에서도 자가용에 CNG를 판매한다.

서울매일버스 일산차고지[17]와 마주보는 쪽에 차고지가 있다.

그리고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모든 포털 사이트나, 어플 정보에는 동해운수(36-350)에 정차한다고 되어 있다. 인가상으로는 틀린 점이 없으나 실제로는 위치가 다르다. 이 정류소는 대화교통 056번남정여객 074번이 정차하는 정류장이다. 실제로는 차고지 입구에 있는 천막에서 기다리면 된다. 그러면 차량들이 알아서 문 개폐를 하고 출발한다.

저상버스는 2020년 9월 29일을 기점으로 전 노선 모두 보유한다.[18]

동해운수 대화동 차고지는 홍대입구역 ~ 오두산통일전망대를 잇는 이른바 "홍대입구-통일전망대선 광역철도" 사업이 시행되면 해당 철도 사업을 위해 부득이하게 매입, 철거할 예정이다. 일산역에서 신선이 분기하는데 하필이면 이 분기점이 동해운수 차고지이기 때문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선을 건설할 때 이미 홍대입구-통일전망대선 계획을 반영하여 설계되었다. 이 노선을 구상할 당시 경기도청과 동해운수 간 협의를 통해 노선 건설 시 차고지를 이전하기로 협의까지 마친 상태이다. 고양시에서는 설문동과 성석동에 전기버스 공영차고지를 건설하고 있는데, 완성되면 동해운수 역시 설문동/성석동 공영차고지로 이전시킬 예정. 이렇게되면 대화동 종점에서 설문동까지 연장 운행하게 된다.

4.1. 운행 노선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700 대화동 대진고등학교 - 국립암센터 - 백석역 - 대곡역 - 행신동 - 항공대입구 - 수색역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세대학교 → 이대후문 → 경복궁세종문화회관숭례문 →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 충정로역 → 신촌로터리 → 연세대학교 숭례문 8~20
760 대화역 - 일산동구청 - 백석동우체국 - 일산화훼단지 - 능곡역 - 소만마을 - 항공대입구 - DMC첨단산업센터 - 서울월드컵경기장 - 선유도공원 - 당산역 - 영등포시장 영등포소방서 12~20
771 (→ 일산시장 →/← 일산역 ←) - 하늘마을 - 동국대병원사거리 - 고양시청 - 원릉역 - 성사2동주민센터 - 화정역.덕양구청 - 행신동 - 항공대입구 - DMC첨단산업센터 - 상암초등학교 디지털미디어시티역 16~24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7728 대화동 탄현역 - 탄현마을 - 일산터미널 - 동국대병원사거리 - 고양시청 - 원당역 - 도래울마을 - 화랑교차로 - 덕산중학교 - 새절역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연세대학교연세로 → 신촌로터리 → 동교동삼거리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신촌로터리 10~16

4.2. 과거 운행했던 노선

  • 좌석버스 1000번 : 명성운수의 방해공작에 지친 나머지 서울 신성교통으로 매각했다. 현 김포 버스 2000.[19]
  • 심야좌석 914 : 1994년 선진여객(현 선진운수)와 공동 배차했으나, 아예 선진운수로 양도했다.[20]
  • 도시형 147: 동해운수 화전영업소를 기점으로 하던 노선이다. 2004년 개편 때 SM버스에 팔아넘겼다.[21]
  • 707: 노선 변경 및 760번으로 변경
  • 9706: 700번으로 형간전환
  • 9708: 707번으로 형간전환
  • 9713: 노선 단축 및 771번으로 형간전환
32번 좌석 삼화상운 인수함 창동 시청 이때 면호가서울 74 사 3629 ~ 3646호

5. 면허 체계

  • 서울 70 사 7251 ~ 7252, 7288 ~ 7289
    • 서대문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면허. 면허등록지가 서대문구 소재였을 때 흔적이다.[22] 이 면허들은 모두 700번에 있다.
  • 서울 74 사 2451 ~ 2500
    • 동해운수 주 면허. 노선 매각으로 인해 사실상 2455호부터 시작한다.(대신에 또 다른 2451호가 들어왔지만 구.삼선버스 증차면허다)
  • 서울 74 사 1771 ~ 1788호, 2688 ~ 2691
    • 동해운수 증차 면허.

===# 타 회사 출신 면허 #===
  • 서울 74 사 2622, 2624호
    • 구.범진여객 면허. 구.범진여객의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3629 ~ 3630, 3636 ~ 3638호
    • 삼화상운 면허. 삼화상운의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4085호
    • 구.동북운수(구.동아버스) 면허. 서울버스가 구.87번을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를 구.731번을 구.한성버스로 매각하면서 넘어갔다가 구.20번(좌석)을 신성교통이 인수하면서 받았다가 신성교통의 감차과정에서 면허도 같이 넘어왔다.
  • 서울 74 사 4109호
    • 서울승합 면허. 서울승합의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5661호
    • 구.신진운수 면허. 구.신진운수의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6291호
    • 신흥기업 면허. 구.삼선버스가 구.21번(좌석), 구.21-1번(좌석)을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이나 서울승합과 흡수합병되면서 넘어갔다가 서울승합의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7194, 7196호
    • 보광교통 면허. 서울승합이 구.59번(좌석)을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이나 서울승합의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7276, 7278호
    • 유성운수 면허. 구.삼선버스가 구.80번(좌석)을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이나 서울승합과 흡수합병되면서 넘어갔다가 서울승합의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7421호
    • 구.우성버스 면허. 구.동부운수로 넘어갔다가 구.67번이 폐선되면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8599호
  • 서울 75 사 1040, 1051호
    • 구.동부운수 면허. 구.삼선버스가 구.36번(좌석)을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이나 서울승합과 흡수합병되면서 넘어갔다가 서울승합의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5 사 1467호
    • 도선여객 증차 면허. 도선여객(삼영교통) 감차과정에서 신성교통으로 넘어갔다가 신성교통의 감차과정에서 넘어왔다.
  • 서울 75 사 1580 ~ 1581, 1585호
    • 구.상신교통 증차 면허. 구.60번이 폐선되면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5 사 1661, 1670호
    • 서울승합 증차 면허. 서울승합의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5 사 1722, 1730호
    • 상진운수 증차 면허. 구.삼선버스가 구.24번을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이나 서울승합과 흡수합병되면서 넘어갔다가 서울승합의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5 사 2056, 2058호
    • 서울승합 증차 면허. 서울승합의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5 사 2451, 2504호
    • 구.삼선버스 증차 면허. 서울승합과 흡수합병되면서 넘어갔다가 서울승합의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5 사 2759호
    • 보성운수 증차 면허. 보성운수의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6. 보유차량

6.1. 현재 보유차량

6.1.1. 현대자동차

6.2. 과거 보유차량

6.2.1. 현대자동차

6.2.2. 자일대우버스

6.2.3. 기아

7. 지배구조

2022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경희 외 5인 97.17% 대표이사 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자사주 2.83%

8. 여담

  • 고양시 유출입 서울버스 중 유일하게 서울에 차고지를 가지고 있지 않다. 게다가 그나마 고양시 내의 차고지도 서울에서 꽤 먼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점은 서울 버스로써의 확장성에 큰 제약이 있다.[25] 물론 서울 관내에 차고지를 마련하면 된다고는 하지만 자가 차고지는 땅값 문제로 쉽지 않을 것이고 공영차고지 입주도 여유가 있어야 가능한 것이므로 결코 만만한 일은 아니다. 다만 서울특별시의 감독을 받는 다는 점과 경기도의 고양시를 사실상 주력 지역으로 삼는 다는 점이 하나의 생존 전략이 될 수도 있다.[26]

9. 둘러보기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colcolor=#fff> 강남구 도선여객 정평운수
강동구 서울승합
강북구 동아운수 선일교통 삼양교통
영신여객 한성운수
강서구 공항버스 김포교통 영인운수
정평운수 다모아자동차
관악구 관악교통 보성운수 한남여객운수
광진구 신흥운수
구로구 군포교통 보성운수 서울매일버스
금천구 범일운수 보영운수 신인운수
노원구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진아교통 태릉교통
도봉구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
마포구 다모아자동차 유성운수
서대문구 서부운수 신촌교통 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 대흥교통 삼성여객 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 태진운수 대원교통 대원여객
성북구 대진여객 도원교통 상진운수
송파구 남성버스 동성교통 대성운수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
한국brt 한서교통
양천구 관악교통 도원교통 세풍운수
신길교통 양천운수 중부운수
은평구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 유성운수 제일여객
종로구 동해운수
중랑구 경성여객 대원교통 메트로버스
보광운수 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 동작구 영등포구 용산구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흥안운수 계열사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colcolor=#fff> 광명시 범일운수 보영운수 세풍운수 한성운수
고양시 동해운수 서울매일버스 선진운수 신촌교통
부천시 신길교통
안양시·군포시·의왕시 서울매일버스 군포교통 대원여객 우신버스
성남시 남성버스 동성교통
구리시 대원여객
남양주시 태릉교통
의정부시·양주시 대원여객 제일여객
파주시 신수교통 제일여객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1] 상법상 본점[2] 검색하면 주택으로 나온다. 어라?[3] 고양시가 고양군이었던 시절까지만 해도 삼송, 화전 일대를 제외한 고양군 내에서 버스 노선을 운영했던 업체는 토착 업체인 명성운수, 1985년에 757번을 원릉역으로 연장시키며 본격적으로 고양시에 진출한 신성교통, 그리고 동해운수밖에 없었다. 선진운수신촌교통은 일산신도시가 개발될 때 고양시에 진출한 업체이다.[4] 사실 일산권이 도시형 좌석화가 이루어진 그 시초가 동해운수다. 동해운수가 당시 자금문제로 고급형 차량을 대차시키고 천연가스버스 도시형 버스를 투입했었는데, 신촌교통과 신성교통이 동해운수를 따라가서 고급형 차량을 수출시키고 도시형급 좌석으로 대차했었다. 그러나 선진운수는 이를 무시하고 경쟁력 강화를 위해 몰래 고급형으로 대차하려고 하자 "치사하게 너네만 고급차량 뽑냐? 누군 뽑고싶어서 뽑는줄 아냐?"(이 당시 에어로 스페이스와 BH116은 천연가스 차량이 없었다.) 하면서 압력을 넣어 취소하게 했다고 한다. 이 상황은 실제로 선진운수 창업주 시절의 운전기사들에 의해서 저런 이야기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래도 2021년 기준 7권역 광역버스도 다른 지역 광역버스 처럼 현대 유니버스를 다시 투입한 노선들이 많아졌다. 신성교통이였다가 서울매일버스로 양도된 9703번, 9711번에서 볼 수가 있다. 하지만 다른 노선들은 아직도 도시형 좌석형 차량으로만 다니는 중. 심지어 오래전도 아니고 최근에 개통한 노선 마저도 도시형 좌석형을 투입하는 경우가 있으니... 다만 이쪽은 이야기가 좀 다른게 서울시 면허가 아니라 고양교통이라는 고양시 소속 업체인지라 상술한 것 처럼 이렇게 된 이유가 명확한 선진운수와 동해운수, 신촌교통, 서울매일버스, 제일여객, 신수교통과는 달리 고양교통의 속사정은 현재까지도 이유 불명이다.[5] 현재 화전동주민센터 행신방향 정류장 부근이며 지금은 그 자리에 대상 베스트코가 들어서 있다.[6] 주로 구 147번이 주박하던 장소였고, 동사 차량들이 운행 도중 세차나 주유를 하러 들어오곤 했었다.[7] 대화동 차고지는 실질적 본사이며 상법상 본사(본점)은 종로구에 있다. 상식적으로 본사가 서울 관외에 있는데 서울 면허를 발급 받을 수는 없다.[8] 영등포역 바로 앞으로는 가지 않는다. 9707번의 코스로 다니기 때문.[9] 전국적으로 매우 드물었던 2002년식 동글이 램프 SAC 보유사이기도 했다.[10] 2023년 기준 어느 정도 생존해있으며, 2023년 8월 초중반에 일부가 신형 저상버스로 대차되었다. 나머지 차량들도 빠르면 2024년, 늦으면 2025년까지 모두 대차될 것으로 보인다.[11]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를 타면 에어컨 공조기가 달려있는 쪽에 볼 수 있다.[12] 다만 이쪽은 7727번의 속도가 좀 빠른 편이다. 동일한 구간을 같이 지나는 선진운수707번, 9707번이나 제일여객773번, 9714번, 그리고 서울매일버스9711번과 같이 잘 밟는 노선들과 견줄 정도이다. 물론 명성운수고양교통, 신성교통, 신일여객, 서울여객처럼 경기도 면허인 회사들은 지나친 과속으로 인하여 속도제한이 걸린 2022년 현재까지도 당연히 못 따라간다.[13] 그나마 선진운수, 신수교통, 서울매일버스, 제일여객은 현재까지는 잘 밟고 있다.[14] 고양시나 파주시, 심지어 서울시 관내에서도 동해운수 차량이 보이면 대놓고 추월하려고 하거나, 아예 동해운수 차량들이 양보를 해 줄 정도로 느리다. 이쪽 기사들에게는 동해운수가 가장 눈엣가시 취급이며, 동해운수 차량때문에 신호에 걸리는 경우가 많다면서 불만을 토로할 정도.[15] 그전에는 이동식 충전소였고, 원당 노선이 대화동으로 입성한 후 9708번과 9713번은 늦은 오전과 오후 대낮 시간에 운행 도중 은평공영차고지로 들어가서 가스 충전을 했던 적이 있었다. 원당 노선도 원당 종점을 두었을 때도 마찬가지였고, 이동식 충전소 철거로 범일운수처럼 운행 중간에 가스차량들은 은평공영차고지에서 충전하여 이동 승차도 했던 것.[16] 간혹 가다 서울운수광역버스가 동해운수 차고지로 들어오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서울운수 영업소가 KINTEX로 이전한 후에는 상대적으로 가까운 고양공영차고지로 이동하여 충전한다. 그러다가 서울매일버스로 운행사가 바뀌면서 기존 일산차고지가 부활함에 따라 다시 동해운수 차고지에서 충전한다.[17] 2018년 8월에 KINTEX로 이전했었다가 2021년 5월에 서울매일버스로 노선이 양도되면서 다시 복귀했다.[18] 2020년 9월 중순에 4년 만에 신차를 출고하여 707번에 2대 투입했으며 9월 29일 드디어 7728번에도 저상 신차가 2대 투입되었다.[19] 이 과정에서 서울 74사 2472호가 함께 넘어갔다.[20] 이 과정에서 서울 74사 2461 ~ 2462호가 함께 넘어갔다.[21] 이 과정에서 보광교통에 동해운수 주면허의 차호들 일부가 존재하기 시작했다.[22] 2002년에 성북구 정릉동으로 옮겼고 2005년에 현재 면허등록지인 종로구 혜화동으로 옮겼다.[23] 좌석버스로만 소수 도입했다.[24] 2002~2003년에 연비문제로 조기대차했다.[25] 예컨데 160번처럼 한강을 건너서 강 남쪽 지역으로 가는 노선을 계획한다고 할때 서울시에서 허락을 해준다는 가정하에 계획을 세우기가 참 어렵다. 고양시 관내의 한강 대교중 서울과 연결되어 있고 입석 진입이 가능한 유일한 대교인 행주대교를 이용하려면 대화동 차고지에서 능곡까지 수익성이 나면서도 굴곡을 최소화 한 노선을 짜는 것도 일인데다가 그렇게 해서 행주대교 지나봐야 김포공항이고 서울 강남(江南)권의 중심지역인 영등포 쪽이나 강남3구쪽으로 가려면 한참을 걸리므로 사실상 신규노선 개발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더군다나 저속 운행이 사실상 표준으로 자리잡은 동해운수 특성상 지금의 저속 운행으로 구로나 하다 못해 동작까지 간다면 결코 만만치 않을 것이다.[26] 다만 서울버스는 준공영제라 경기도 버스만큼 경쟁을 할 필요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