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1. 개요
제일교통에서 운행했던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5km였다.2.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73번 | |||||
| |||||
기점 | [출발]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진관공영차고지) [도착]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구파발역2번출구) | 종점 |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신성교하차고지) | ||
종점 행 | 첫차 | 04:30 | 기점 행 | 첫차 | 06:25 |
막차 | 23:30 | 막차 | 01:10 | ||
평일배차 | 13~20분 | 주말배차 | 18~25분 | ||
운수사명 | 제일교통 | 인가대수 | 17대[1] | ||
노선 | |
3. 역사
===# 舊 907번 → 9711번 → 706번 #===- 구 907번 심야도시형버스(교하 - 서울역) 노선이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광역버스로 전환됐고, 번호도 9711번으로 변경됐다.
- 수요 감소로 2004년 11월 15일에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되면서, 번호도 706번으로 변경됐다.
- 2011년 3월 27일에 운정신도시 교통 편의를 위해 파주시가 노선 변경을 요청하면서 책향기로 ~ 와석순환로를 경유[2]하도록 노선을 변경했다.
- 2011년 10월 29일에 임시 도로인 운정동문아파트앞 구간을 바깥쪽 신 도로로 다니도록 변경되었다.
- 운정3지구 조성으로 2014년 1월 9일에 교하차고지로 기점을 변경하게 되면서, 왕복 운행 거리가 100km를 넘게 되자 운정신도시 구간을 직선화하려 했지만, 주민들이 반발했고 파주시 에서도 동의하지 않았다.
- 서울시에서 2014년 2월 3일부터 대화동으로 단축하려고 했으나 관련 게시물, 역시나 파주시와 운정신도시 주민들의 반대가 심해서관련 기사 결국 서울시와 파주시, 그리고 운정연합회의 재협상 끝에 단축을 철회하고 운정신도시 구간을 직선화하는 것으로 합의해 2014년 3월 6일 지산중학교를 거쳐서 일직선으로 내려가도록 변경되었다.
- 운정3지구 택지개발사업 조성 공사로 도로가 폐쇄되면서, 2015년 11월 1일부터 산내마을에서 다락골과 다율교차로를 거치지 않고 남북로로 우회하는 방식으로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관련 공문
- 2016년 12월 서울특별시의 장거리 노선 조정 대상에 포함되어 관련 기사 서울 구간 회차점을 구파발역으로 단축하려는 조정안이 올라왔으나, 주민들과 지역구 국회의원까지 동원된 끝에 묻혔다. 관련 기사
3.1. 현 773번
- 위와 같은 단축 반대에도 불구하고 결국 2017년 11월 1일부터 서울특별시의 장거리 노선 단축 정책의 일환으로 한전서대문은평지사 이남 구간(녹번역 - 홍제역 - 독립문역 → 서대문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6번) → 숭례문 → 서울특별시청 → KT광화문지사 → 경복궁역 → 독립문역)이 단축되었고, 번호가 773번으로 변경되었다. 단축된 구간은 2018년 하반기 신설한 708번이 계승한다. 3대가 감차되어 각각 704번, 720번, 7211번에 각각 1대씩 증차되었다. 관련 문서
- 2024년 7월 1일부로 효율화를 이유로 교하영업소 철수와 함께 8월 30일에 폐지한다는 계획이 올라왔다.관련 공문 하지만 차고지 시설 확보로 인해 폐지를 하반기로 연기하고 착발을 진관차고지로 변경하게 되면서 동시에 구파발역 이남 구간이 단축되었다.정보 이번 운행계통 변경으로 운행거리가 84km에서 75km으로, 운행소요시간이 230분에서 210분으로 줄어듦에 따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증편되어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4회/4회/1회 증회되었으나, 막차가 00:30에서 23:30으로 앞당겨졌다. 파주 출발 서울 회차 방식으로 운행하던 노선이 서울 출발 파주 회차 방식으로 변경됨에 따라 서울에서 파주 방향으로의 막차 시간이 크게 당겨졌다. 관련 공문
{{{#!folding [ 변경 전 지도 노선도 보기 ]
- 2024년 9월 20일부터 구파발역 2번출구 정류소에 추가로 정차한다.관련 공문
- 2024년 11월 11일부터 구파발역.롯데몰 서울행 정류소 대신 고양•파주행 정류소에 정차하도록 변경되었다.[3]
- 2024년 12월 1일에 대체 노선 없이 폐선되었다. 폐선분은 709번 신설에 15대가 쓰이고, 704번에 2대가 증차된다.[4] 이로서 1993년 일산신도시와 2002년 운정신도시의 입주부터 함께 성장한 심야 노선은 31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4. 특징
- 파주 - 고양 - 서울 세 도시를 지나는 노선으로, 서울 간선버스 중 최장거리 노선이었다. 그래서 기사들이 운행 중에 백석도서관이나 강촌마을 등에 잠시 정차하여 휴식을 취했고, 차량이 적은 편이라 짧게는 15분, 길게는 30분까지 배차가 벌어졌었다.
- 구파발역입구(중) - 신원당마을 구간은 703번, 가시골 - 백석동.요진와이시티 구간은 95번, 원당역 - 백석동.요진와이시티 구간은 707번, 농수산물센터 - 해솔마을6.7단지 구간은 1500번과 겹쳤다.
- 은평뉴타운10단지(12010) 정류장의 경우 양방향 모두 정차하니 행선판을 꼭 확인하고 타야 했다.
구파발역 2번출구 방향 신성교하차고지 방향 차고지행 교하운정행
- 구파발역 이남 구간이 모조리 단축하면서 노선 대부분[5]이 경기도 구간이며, 771번보다 아웃 서울에 가장 가까운 노선이 되었다. 사실상 과거 일산 경유하던 7733번, 775번급 아웃 서울 노선이 부활한 셈.
- 심야버스 역할을 했었다. 막차가 0시 30분경 출발하며, 회차지(불광역)에서 2시 ~ 2시 10분, 지연되는 날에는 2시 15분경에도 파주행 막차를 탈 수 있었지만, 착발이 진관차고지로 변경되고 막차시간이 조정되면서 심야버스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 심야 운행당시 서울에서 1000/9714/700번 등 일산-서울 간 노선을 이용한 운정신도시 주민들이 백석동, 일산동구청, 강선마을 정류장에서 이 노선으로 환승했기 때문에, 심야에는 일산 → 운정 구간 수요도 나름 있는 편이였다.
- 영등포역에서 고양, 파주로 심야에 이동시 9707번 막차를 타고 일산으로 들어오는 사람들은 중앙로 구간에서 승하차했을 때를 기준으로 백석역이나 일산동구청에서 이 노선의 막차를 노릴 수 있었다.
- 광화문, 숭례문, 연세대학교 등지에서 9714번 막차를 타고 일산동구청이나 강선마을 정류장에 하차하면 이 노선의 막차로 환승할 수도 있었다.
- 반대로 심야에 운정이나 일산 및 덕양구 고양대로 일대에서 통일로, 종로, 강남대로 방향으로 간다면 구파발역 구간을 제외한 서울구간에서 N37번으로 환승이 가능했다.
- 예전에는 9403번처럼 이 노선 역시 심야에는 터져 나갔다. 그러나 단축 후 심야 수요가 상당히 증발했다. 그런데도 심야 운행을 유지했던 이유는 이 노선이 그 시간에 은평북부에서 고양, 고양에서 파주로 가는 유일한 교통수단이기 때문이었다.
- 한국지역난방공사 파주지사를 앞두고 청석교차로에서 목동동으로 빠지기 때문에, 교하지구에 진입하지 않는다. 또한 신성교하차고지 - 해오름마을중심상가 사이 정류장은 무정차 통과했다.
- 700번과 함께 일산신도시 대산로(오마초등학교 입구, 문촌4단지, 유화프라자)에 들어가는 둘뿐인 서울 시내버스 노선이다. 그나마 700번도 대산로상에서는 대진고교 정류장 한 곳만 걸쳐 가는 것이라서, 실질적으로는 이 노선이 대산로에 깊게 들어간다. 대산로를 깊게 운행하는 또 다른 노선인 72번은 일 6회 운행하다가 75번에 흡수 통폐합되었다.
- 백석동이나 화정동에서 한 번에 스타필드 고양으로 갈 수 있는 유일한 노선이라 이용객이 있었다.
- 경기도(고양시, 파주시) 구간만 98%인 이 버스는 구파발역.롯데몰에서 교하차고지까지 주간시간대에는 1시간 4~50분, 심야시간대에는 1시간 2~30분 정도 소요됐었다. 불광까지 운행하던 시절에는 심야시간대에도 1시간 40분 정도 소요됐었고, 706번으로 서울역까지 운행했을 시절에는 편도로만 2시간 40분 이상 걸렸었다.
===# 706번 시절의 여담 #===
- 2004년 대개편 후 일산신도시를 경유하는 최초의 간선버스였다.
- 서울 간선버스 중 유일하게 왕복 100km를 넘었던 초장거리 노선이자, 서울 시내버스 장거리 노선하면 가장 먼저 떠오를 정도로 운행거리가 긴 노선으로 유명했다.
- 구 2000번(교하-서울역), 9714번(교하-서울역)과 기종점이 같았지만, 중간에 강촌마을을 경유하고 대곡역부터는 화정지구와 원당역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노선이 많이 달랐다.
- 2007년에 KBS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인 다큐멘터리 3일에 메인 소재로 등장했다. 촬영 당시 겨울(2007년 11월 19일~21일)이었는데, 이때 갑자기 내린 눈으로 인해 첫차부터 도로에 갇혀서 나갈 차가 없는 상황이었다. 첫차가 옛 다율리차고지에 들어오자마자 1분 만에 다시 나갔을 정도. 심지어 그때 앞차와의 배차는 40분이었다. 촬영 당시에는 통일로에 중앙차로가 구축되지 않았고, 지금과 달리 막 저상버스가 투입되던 시기였기 때문에 기사들의 얘기를 보다 많이 들을 수 있다.
- tvN의 화성인 바이러스에서 버스폐인 화성인이 전체 정류장을 다 외운 노선이기도 하다. (118화) 2011년 방영 당시에는 다율리 기점이었다.
- 버스 동호인들의 노선 답사가 잦아서, 신성교하차고지에서 이 버스를 탄다면 기사님께서 "손님도 광화문 가시냐"고 물어봤다고 한다.
- 늦게까지 파주, 고양과 서울 도심을 연결해주어서 대리기사 셔틀버스로 유명했다. 서울역까지 와서 타 노선으로 환승하거나 북창동 유흥가 쪽 콜을 잡아서 이동하기도 했다. 2017년 노선단축 이후로는 서울역행 타 버스를 타고 N37번으로 환승해 종로나 강남으로 간다.
4.1. 사건.사고
- 2023년 4월 5일에 파주 산내교차로에서 벤츠 차량을 들이받는 사고가 일어났다. 버스기사가 신호위반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 기사
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06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13,357명 | - |
2014년 | 12,742명 | ▽ 615 |
2015년 | 12,780명 | △ 38 |
2016년 | 12,166명 | ▽ 614 |
2017년 | 12,113명 | ▽ 53 |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73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7년 | 7,876명 | - |
2018년 | 8,082명 | △ 206 |
2019년 | 8,227명 | △ 145 |
2020년 | 7,025명 | ▽ 1,202 |
2021년 | 7,092명 | △ 67 |
2022년 | 8,007명 | △ 915 |
2023년 | 7,961명 | ▽ 46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7년 노선단축으로 승객이 약 4000명 감소했다.
4.3. 노선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73번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신성교하차고지 63737 | |||||
교하차고지 63740 | ↓ | ↑ | ||||
해오름마을중심상가 31868 | 해오름마을중심상가 31966 | |||||
산내마을6.8단지 63097 | ↓ | ↑ | 산내마을6.8단지 63096 | |||
산내마을8.12단지(중) 63738 | 산내마을8.12단지(중) 63739 | |||||
두레공원(중) 63262 | ↓ | ↑ | 두레공원(중) 63263 | |||
해솔마을4단지 63632 | 가람마을9단지 63633 | |||||
지산중학교.운정행복센터 63264 | ↓ | ↑ | 지산중학교.운정행복센터 63265 | |||
해솔마을6.7단지 63636 | 해솔마을6.7단지 63637 | |||||
한빛마을1단지 63663 | ↓ | ↑ | 한빛마을1단지 63664 | |||
한빛마을3.6단지 63726 | 한빛마을3.6단지 63727 | |||||
한빛마을4.8단지 63728 | ↓ | ↑ | 한빛마을4.8단지 63729 | |||
한소망교회 63077 | 송학동 63076 | |||||
앵골.광성교회 63075 | ↓ | ↑ | 앵골.광성교회 63074 | |||
일산가구공단 36323 | 일산가구공단 36322 | |||||
철산아파트.탄현역앞.고양시현충 36303 | ↓ | ↑ | 철산아파트.탄현역앞.고양시현충 36348 | |||
서울도시가스 36325 | 서울도시가스 36313 | |||||
성저초등학교 36263 | ↓ | ↑ | 성저초등학교 36278 | |||
농수산물센터 36272 | 농수산물센터 36261 | |||||
장성중학교.대진고등학교 36256 | ↓ | ↑ | 장성중학교.대진고등학교 36273 | |||
연세프라자 36257 | 연세프라자 36259 | |||||
문촌마을6.7단지.쌍용아파트.기 36248 | ↓ | ↑ | 문촌마을.라이프아파트 36249 | |||
유화프라자 36247 | 유화프라자 36232 | |||||
강선초등학교 36238 | ↓ | ↑ | 강선초등학교 36246 | |||
강선마을(중) 36687 | 강선마을(중) 36688 | |||||
일산동부경찰서(중) 36664 | ↓ | ↑ | 일산동부경찰서(중) 36665 | |||
일산동구청(중) 36695 | 일산동구청(중) 36694 | |||||
강촌마을8단지 36186 | ↓ | ↑ | 강촌마을8단지 36626 | |||
우방아파트.강촌마을8단지 36220 | 동아아파트.강촌마을1단지 36627 | |||||
강촌마을2단지.한신아파트 36197 | ↓ | ↑ | 강촌마을2단지.한신아파트 36200 | |||
백석초등학교 36199 | 백석고등학교 36190 | |||||
백송마을1.2단지 36182 | ↓ | ↑ | 백송마을8.9단지 36181 | |||
백석1동행정복지센터 36183 | 백석1동행정복지센터.유니테크빌 36184 | |||||
백석도서관.일산병원 36180 | ↓ | ↑ | 백석도서관.일산병원 36179 | |||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 36716 |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 36175 | |||||
백석동.요진와이시티(중) 36666 | ↓ | ↑ | 백석동.요진와이시티(중) 36667 | |||
대곡역(중) 35621 | 대곡역(중) 35620 | |||||
고양경찰서앞.고양어린이박물관 35388 | ↓ | ↑ | 고양경찰서앞.고양어린이박물관 35389 | |||
화정역.롯데마트 35390 | 별빛마을8단지.롯데마트 35391 | |||||
덕양구청 35602 | ↓ | ↑ | 화정역.덕양구청 35601 | |||
화정동단독주택단지 35402 | 화정동단독주택단지 35397 | |||||
명지병원.은빛마을5단지 35385 | ↓ | ↑ | 명지병원.달빛마을3단지 35393 | |||
화정1동행정복지센터 35394 | 화정1동행정복지센터 35395 | |||||
고양어울림누리.달빛마을1단지 35641 | ↓ | ↑ | 고양어울림누리.달빛마을1단지 35642 | |||
성사2동행정복지센터 35014 | 성사2동행정복지센터 35015 | |||||
신원당마을7단지 35073 | ↓ | ↑ | 신원당마을7단지 35072 | |||
신원당마을입구 35068 | 신원당마을입구 35067 | |||||
원당역 35071 | ↓ | ↑ | 원당역 35070 | |||
흥도동행정복지센터 35047 | 흥도동행정복지센터 35044 | |||||
훼릭스 35043 | ↓ | ↑ | 훼릭스 35046 | |||
가시골 35042 | 가시골 35041 | |||||
원흥동 35040 | ↓ | ↑ | 원흥동 35039 | |||
달걀부리마을 35033 | 달걀부리마을 35045 | |||||
삼송교 35162 | ↓ | ↑ | 삼송교 35158 | |||
동산고등학교 35171 | 동산고등학교 35123 | |||||
동산마을22단지 35170 | ↓ | ↑ | 동산마을22단지 35145 | |||
스타필드고양 35711 | 스타필드고양 35674 | |||||
용사촌입구 35174 | ↓ | ↑ | 용사촌입구.밥할머니공원앞 35173 | |||
큰골입구 35175 | ||||||
동산동능모퉁이.한국지역난방공 35160 | ↓ | ↑ | 동산동능모퉁이.한국지역난방공 35159 | |||
은평뉴타운10단지 12010 | 은평뉴타운10단지 12009 | |||||
구파발역입구 12012 | ↓ | ↑ | 구파발역입구 12011 | |||
구파발역2번출구 12111 | 구파발역.롯데몰 12112 | |||||
↑ | 은평뉴타운10단지 12010 | |||||
진관공영차고지 12469 |
5. 연계 철도역
폐선 당시 기준이다.
* 수도권 전철 3호선: 정발산역[6], 백석역, 대곡역, 화정역, 원당역, 구파발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탄현역, 대곡역
* 수도권 전철 서해선: 대곡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정발산역[6], 백석역, 대곡역, 화정역, 원당역, 구파발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탄현역, 대곡역
* 수도권 전철 서해선: 대곡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