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ae1932><tablewidth=100%> | 서울특별시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
순환 | 간선 | 지선 | 광역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간선버스| 심야 ]] | 마을 | 맞춤 | 공항 | |
0~50번 | 51~99번 | 100번대 | 200번대 | |
300번대 | 400번대 | 500번대 | 600번대 | |
700번대 | 800번대 | 900번대 | 1000번대~ | |
맞춤 | 마을 | |||
관련 문서 | ||||
역사 /1970년 개편 이전 /2026년 개편 계획 ㆍ 비판 및 문제점 ㆍ 노선 조정 내역 ㆍ 업체 목록 /공항버스 |
1. 개요2. 결번3. N10(동아운수)4. N32(한국brt)5. N34(대원여객)6. N40(우신운수)7. N65(범일운수, 공항버스)8. 100(한국BRT)㈜☆9. 103(한성여객)☆10. 106(대원여객)11. 108(태릉교통)12. 108(대원여객)13. 108 골프장지선(대원여객)14. 149(한성여객)15. 153(동아운수)16. 161(다모아자동차)㈜17. 163(삼화상운)☆18. 170(동아운수)19. 200(메트로버스)㈜20. 203(대원교통)21. 240A, 240B(대원교통)22. 241A, 241B(대원교통(A,B), 대원여객(B))23. 263(대흥교통)24. 271B(경성여객)25. 300(메트로버스)㈜26. 304(신흥기업)27. 342(메트로버스)㈜☆28. 342(서울승합)★29. 351(서울승합)30. 352(태진운수)31. 361(서울승합)☆32. 362(대성운수)33. 363(한서교통)34. 371(신흥기업)35. 400(한국BRT)㈜☆36. 405(도선여객)☆37. 405A, 405B(삼성여객)38. 407(대성운수)39. 408(대성운수)40. 410(동아운수)41. 462(남성교통)42. 471(한국brt)43. 542(대원여객)44. 570(범일운수, 신성교통)45. 607(신길운수)46. 642(김포교통)47. 660A, 660B(서울교통네트웍)48. 670(서울교통네트웍, 보성운수)㈜49. 700(다모아자동차)㈜☆50. 703(서울운수)☆51. 705(서부운수)☆52. 706(제일여객)☆53. 707(제일여객)☆54. 707(동해운수)☆55. 708(현대교통)☆56. 730(신촌교통)57. 751(선진운수)58. 760(서울운수)☆59. 773(제일교통)60. 775(서울운수)61. N824(태진운수)62. N850(한남여객운수, 범일운수) 63. N854(보영운수, 세풍운수, 우신운수)64. N854(한남여객운수, 범일운수)65. N866(보성운수)66. N876(보광교통, 현대교통)67. N876(보광교통, 현대교통, 유성운수)68. N877(보광교통)
1. 개요
- 폐선, 통합, 변경 등으로 인해 번호가 소멸된 노선을 정리한 문서로, 오름차순으로 정리했다. 개편 당시 계획에 들어있었으나 실제로 운행하지 않았거나 노선이 바뀐 경우, 362번처럼 사라졌다가 환원된 번호는 제외한다. 단, 100번처럼 아예 다른 노선으로 부활한 번호는 넣을 수 있다.
- 시내버스 문서인 만큼, 마을버스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폐선된 마을버스는 서울특별시 마을버스/목록 참조.
- 준공영제하에서 개별 노선의 흑자, 적자 여부는 알 수 없으므로 폐선 사유에서 노선의 흑자, 적자에 대해서는 될 수 있으면 기재하지 않도록 한다.
- 주간선버스는 ㈜, 현존하는 노선과 번호만 같은 노선은 ☆, 현존하는 노선과 번호와 회사 모두 같은 노선은 ★로 표시한다.
2. 결번
- 330~332: 그냥 대성운수가 숫자 맞추려고.[1]
- 344: 상단 사유와 동일.
- 403, 404: 각각 420, 472번으로 연장되어 결번.
- 409: 삼성여객 405B의 계획상 변경 번호이나 더 앞 번호인 400번도 비어있어서 400번으로 변경.
- 450, 451: 본래 4권역발 5권역 간선번호는 전혀 없었지만, 462번이 452번으로 단축되면서 사실상 결번이 됐다.
- 460: 본래 송파공영차고지 - 헌릉로 - 강남대로 - 고속터미널 - 현충로 - 노량진 - 대방역 - 신길역 - 여의도 구간을 한국brt가 운행할 예정이었지만 360번의 신설로 결번. 현재의 경로는 452번이 물려받고 있다. 또, 맞춤버스인 8663번을 삼성역으로 연장시킴과 동시에 정식으로 노선승격을 시킬 때 활용하려 했으나 흐지부지되면서 8663번 폐선과 함께 계속 결번으로 남게 되었다.
- 671: 검단-송정역 간 김포시내버스 671번을 서울 간선버스 전산에 등록시키긴 했다. 그런데 정확한 결번 사유는 미스테리.[2] 다만 2024년 4월 1일부터 비록 지선이지만 671을 가져온 맞춤버스 8671번이 운행되기 시작했다.
- 770: 771번 형간전환 2개월 전인 2009년 11월 고양 버스 77번(현재 폐선)이 770번으로 변경하는 바람에 사용하지 않는다.[3]
- 772: 704번 단축 취소로 결번.
3. N10(동아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N10 문서 참고하십시오.4. N32(한국brt)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N73 문서 참고하십시오.2022년 12월 1월부로 노선이 변경되고 선진운수가 공동 배차에 참가하면서 번호가 N73번으로 변경되었다.
5. N34(대원여객)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N31 문서 참고하십시오.6. N40(우신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N40 문서 참고하십시오.7. N65(범일운수, 공항버스)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N65 문서 참고하십시오.8. 100(한국BRT)㈜☆
출처
운행구간: 도봉산역 - 쌍문역 - 수유역 - 미아삼거리역 - 고려대학교 - 신설동역 - 종로6 ~ 2가 - 무교동(종로1가)[4]
개편 초창기에는 도봉산에서 출발해서 쌍문역, 수유역, 미아사거리역, 성신여자대학교를 거쳐 성대입구 → 창경궁 → 광장시장 → 을지로4,3가 → 종로3,4가 → 종로5가 → 대학로 순으로 회차했던 노선이었는데, 150번 및 160번 이외에도 엄청나게 많았던 도봉/미아로 - 종로 노선 때문에 장사가 잘 되지 않았다. 그래서 미아사거리역 - 창경궁로/대학로 구간을 종암동 - 신설동 구간으로 변경했고[5] 그렇게 잘 다니던 도중이었는데, 동사의 360번 증차문제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다.
360번 노선은 지금도 그렇지만 그때도 인기 노선이었고, 따라서 증차가 필요했는데 서울특별시청의 버스 준공영제 정책 때문에 순수증차가 불가능했던 것이었다. 하지만 한국brt의 노선들 중에는 딱히 차를 뺄 여유가 있는 노선이 없었다. 따라서 편법을 쓰게 되는데, 140번의 송파공영차고지 출발 차량을 모두 360번에 몰빵하게 되고, 빠져나간 만큼의 댓수를 100번을 없애면서 메꾸는 쪽으로 가게 된 것이다.
때 마침 도봉로 간선버스 중에서 가장 잉여였던 101번을 100번과 똑같은 경로로 바꾸면서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 사실상 100번을 우이동 기점 해등로 경유 도봉로 진입으로 바꾸고 동아운수로 넘겨서 101번으로 번호를 바꾼 셈이다. 2010년 1월 8일부로 폐선되었다.
140번, 150번, 160번과 달리 미아로를 전 구간 운행하지 않고 미아사거리에서 왕십리역, 종암사거리방향으로 직진하여 종암동, 고려대학교, 신설동로타리, 종로를 경유해서 종각역네거리(종로1가 사거리)에서 좌회전해서 P자형(엄밀한 의미의 P턴과는 거리가 있지만)으로 회차하던 노선이었다.
9. 103(한성여객)☆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100 문서 참고하십시오.출처
대개편 당시에 22대가 8~12분 간격으로 운행하도록 신설되었다. 15, 34, 34-1번 등에서 차를 긁어모아서 신설했다. 103번은 지금 대비 근로여건이 안 좋던 왕복 운행시간이 3시간 이상 책정될 정도로 소요시간이 긴 노선이었다.[7]
2005년에 우신운수 4011번 노선의 폐선으로 서초역으로 연장되고 아래의 149번으로 바뀌었으나, 405번의 개통으로 다시 서빙고역으로 단축되었다가 용산구청으로 재연장되었으며, 2012년에 번호가 서울 버스 100으로 바뀌었다. 103번 당시와 노선이 비슷하다.
현재 103번은 구 1016번이 연장과 단축을 거치면서 생겨난 노선으로, 이 노선과는 무관하다.
10. 106(대원여객)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106 문서 참고하십시오.11. 108(태릉교통)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202 문서 참고하십시오.출처
운행구간: 불암동 - 삼육대학교/서울여자대학교/육군사관학교 - 화랑대역 - 묵동구길 - 먹골역 - 중화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떡전교네거리 - 청량리역환승센터 - 서울시동부병원 - 상왕십리역 - 도로교통공단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청계8가 - 청계천로 - 명동역 - 남대문시장 - YTN/숭례문 - 서울역환승센터 → 갈월동 → 숙대입구역 → 삼광초교 → 용산중고교 → 우리은행 후암동지점 → 후암동주민센터 → 후암동우체국 → 후암삼거리 → 남대문경찰서 → YTN/숭례문 - 이후 역순
구 도시형 45번. 대개편 때 번호만 바뀐 채 잘 운행했지만, 2005년 9월 10일 광역 9101번이 바로 아래 문단의 108번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될 때 남는 번호가 없자 출발지의 권역이 2권역[8]이었기에 상대적으로 번호 변경이 유리했던 이 노선의 번호를 가지고 가게 되었다. 기존 108번은 202번으로 번호를 변경.
12. 108(대원여객)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108 문서 참고하십시오.13. 108 골프장지선(대원여객)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8번 (골프장 지선) | |||||
기점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덕정동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6가(흥인지문) | ||
종점행 | 첫차 | 04:20 | 기점행 | 첫차 | 06:20 |
막차 | 19:46 | 막차 | 21:40 | ||
배차간격 | 1일 19회 (30~70분) | ||||
운수사명 | 대원여객 | 인가대수 | -[9] | ||
노선 | 덕정동차고지 - 여단앞 - 내회암 - 김삿갓교 - 세창리베하우스 - 옥정고등학교 - 문화공원 - 율정마을7단지 - 율정마을13단지 - 사단앞 - 삼가대삼거리 - 나래아파트 - 양주GS자이 - MBC문화동산 - 회만동 - 중말 - 레이크우드 C.C - 오리골 - 원학동.골프장입구 - 주내파출소 - 양주시청.화원 - 양주역 - 녹양역 - 가능역 - 의정부역.흥선지하차도입구 - 회룡역 - 장수원.신한대학교 - 도봉산역 - 방학역 - 수유역 - 미아사거리역 - 미아리고개 - 삼선교.한성대입구역 → 혜화동로터리 → 창경궁.서울대학교병원 → 이화장 → 흥인지문 → 종로5가.효제동 → 혜화역.마로니에공원 → 동성중학교.동성고등학교 → 삼선교.한성대입구 → 이후 역순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 중에서 유일하게 전산이나 표기상으로 구분되지 않은 지선 노선을 운행하던 노선이었다. 지선 운행중단 시점에서 적청노선으로 불리던 비공식 지선들은 대부분 전산상 노선이 분리되었고, 108번과 비슷한 이유로 전산상 동일노선으로 운행하는 5515번(A/B)이나 금천01번(적/청)은 노선을 구분할 수 있는 최소한의 표식은 갖추고 운행했다. 반면, 108번은 운전승무원이 차량 앞에 두는 판넬 이외에는 초승자 입장에서 지선 운행여부 구분이 어려웠다.
지선 운행 당시, 해당 노선이 BMS상 별도로 구분되지 않았던 관계로 골프장 지선을 타도 본선을 탄 것으로 간주하여 서로 환승은 되지 않았다. 경기도 면허의 노선이 차고지 착발 등 가지노선에 대해 별도로 전산 등록을 하여 환승이 가능했던 것과 대조적[10]인데,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는 체계상 예비차 공동사용 인가를 받은 경우 이외에는 같은 날 한 차량은 단일 노선에서만 운행하게 되어있었기에 운영상의 이유로 지선노선을 분리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11] 결국 이러한 배차 관리나 BMS 오류 등 관리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2017년 8월 21일부로 지선 운행이 중단되었다.
폐선 후 골프장 노선으로 운행했던 봉양동, 내회암 구간은 양주교통의 75번이나 76번, 골프장 구간은 은현교통의 2-4번을 이용해야 한다.
이 노선이 아니어도 머나먼 부산에서도 이와같은 노선을 운행하는 부산 버스 1002번 영산대/대동/장백아파트 지원운행 노선도 공통점이 유사했고, 108번과 포지션도 같다.(두 노선의 공통점은둘 다 좌석버스로 신설. 장거리 노선이자 각 지역버스 최북단으로 등극. 추가로 두 지역버스의 주간 본선/지원운행, 심야버스. 그리고 서울 108번은 주간/심야노선 동일, 다만 부산 1002번은 주간(센텀파크)/심야노선(서면) 자체가 다르다.) 그야말로 평행이론
여담으로 골프장 지선 운행 당시, 774번과 함께 흔하지 않게 서울 면허 시내버스 중에서 시골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몇 안 되는 버스였다. 봉양동, 골프장 부근(만송동 대부분, 삼숭동 자이아파트 외곽)이 그런 편이었다.
14. 149(한성여객)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100 문서 참고하십시오.15. 153(동아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163 문서 참고하십시오.2022년 10월 17일부터 종점이 롯데관악점에서 대방역으로 단축되면서 163번으로 변경되었다.
16. 161(다모아자동차)㈜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710 문서 참고하십시오.운행구간: 도봉산역, 도봉공영차고지 - 수유역 - 미아사거리 - (창경궁로→ / ←대학로) - 종로 - 서대문역(농협본사) - 연세대학교정문 - 마포구청역 - 성산대교 - 등촌중학교 - 공항로 - 발산역 - 김포국제공항 - 방화동(공항버스 차고지)
2004년 7월 대 개편 때 신설된 노선이다. 6권역에서 거의 제대로 된 사실상 유일한 종로 직통 노선이었던데다, 종로에서 끝나지 않고 서울 지하철 4호선이 있는 미아로까지 한 번에 가는 노선이었다. 게다가 강서구에서 출발하는 관계로 길이도 꽤 길어 줘서 6권역의 막차 기능에도 나름대로 충실했다.
하지만 다모아자동차 입장에서는 썩 달갑지 않았는데, 왕복 82km, 왕복 270분 소요로 간선버스 최장거리에 운행시간도 지나치게 길어서 운행기사들의 근로여건이 나빴다.[12] 때 마침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 입주에 맞춰 새로운 수요를 얻기 위해, 또 새로 이전한 상암공영차고지의 활성화를 위해 다모아자동차가 6권역 구간 단축을 요구했다.
이를 알게 된 강서구청에서는 극렬히 반대했고, 버스 동호인은 다모아자동차를 향해 "다짤라자동차"로 부르며 굉장히 깠다. 강서구에서 종로로 바로 가는 몇 없는 노선이었고, 도심에서 강서방면으로 유일한 심야 노선이었기 때문.[13] 그 외에도 6권역에 버스 노선이 부족하다는 것도 논리로 내세웠지만 결국 2008년 12월 20일에 상암공영차고지로 단축되었고, 권역에 맞춰 번호도 710번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그리고 몇 년 후 710번은 수유역(강북구청)으로 다시 한 번 단축되어 도봉구를 완전히 떠났다.
다모아자동차는 161번 12대를 601번으로 이동시켜 강서구민들을 달래 보고자 했지만, 단축안이 현실이 되자 강서구의 교통 현실[14]을 개탄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한 마디로 161번의 단축은 준공영제의 맹점 중 하나인 버스회사의 편의주의를 극명하게 드러낸 것. 개편 전이었다면 장거리를 운행해야 그만큼 수익이 많으니 절대로 단축했을리 없었을테고......
하지만 현재까지 살아있었다 해도 노선 길이가 80km 이상의 장거리 노선이라는 이유로 단축 조정 대상에 포함되었을 것이다.
17. 163(삼화상운)☆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173 문서 참고하십시오.개편 당시 월계동~신촌 구간을 운행하는 173번으로 개통 예정이었지만 6713번과 합쳐져서 163번이 되었다. 하지만 2017년 3월부터 서울특별시 장거리 노선 단축 정책에 따라 173번과 674번으로 분리되어서 개편 초창기안으로 돌아갔다.
현재 이 번호는 동아운수 소속의 163번이 대방역으로 단축되면서 다시 부활했다.
18. 170(동아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163 문서 참고하십시오.출처
운행구간: 우이동(도선사입구) - 국립 4 19 민주묘지입구 - 수유역 - 미아삼거리 - 정릉 - 국민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서대문구청 - 연희교차로 - 연세대학교 - 경의선 신촌역 - 이대역 - 서강대 - 연세로 - 연세대학교 이 후 원위치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구 8번과 8-1번의 '우이동 - 수유역 - 미아사거리 - 국민대 - 평창동 - 세검정 - 유진상가 - 연희동 - 신촌' 구간을 가져와 신설했다. 당시 인가대수는 33대였다.
사고위험으로 인해 2004년 11월 16일에 명물거리 경유에서 신촌기차역 경유로 변경했다. 회차구간이 반대로 바뀐 셈.
신촌에서 만나는 동사 5711번의 문제로 인해[15] 2007년 4월 23일에 5711번과 통합되면서 153번이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2022년 10월 17일에 또 단축되면서 163번이 되었다.
19. 200(메트로버스)㈜
출처
운행구간: 중랑공영차고지 - 망우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떡전교사거리 - 청량리역환승센터 - 신설동 - 종로 - 롯데영플라자 - 숭례문 - 서울역
2004년 7월 1일 대개편 때 신설되었다.
흥인지문과 동대문운동장까지만 운행하던 201번이 서울역으로 연장되면서[16] 노선 중복 문제가 대두되었다.[17]
2005년 3월 10일에 능산지하차도, 우림시장 대신 동성프라자, 중랑구청사거리, 신내지하차도 경유로 바뀌었다. 메트로버스 공지사항
2005년 5월 15일에 폐선되었다. 메트로버스 공지사항 기존 차량들은 다음날에 신설된 273번으로 이동했다.
20. 203(대원교통)
운행구간: 중랑공영차고지 - 망우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떡전교사거리 - 청량리역환승센터 - 신설동 - 종로 - 롯데영플라자 - 숭례문 - 서울역
구 9205번이 2006년 12월 1일에 망우리까지 단축되면서 형간전환한 노선이다. 관련 공지사항
딱 보면 알겠지만, 중복구간이 긴 노선이 너무 많다. 중랑공영차고지를 나가서 종각역에 이를 때까지 서울 버스 260과 100% 겹치고, 그리고 망우역부터는 서울 버스 201과 도심 회차까지 완벽히 겹쳤다.[18] 이렇게 너무 대놓고 중복이 심하다보니 버스 동호인들도 203은 한 분기 이상 넘기기 힘들 거라는 것을 대놓고 예상할 정도였고[19], 결국 2007년 4월 23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기존에 운행하던 BH116은 운행하던 도중에 전부 신차로 교체되었고 나머지 차량들은 당시 신설된 241번으로 이동했다.
21. 240A, 240B(대원교통)
240A번. | 240B번. 출처 |
4212번의 '신내동~건대입구역' 구간이 단축된 후, 2009년 6월 20일부터 딱 3주 동안만 존재했던 노선이다.
기존 240번 차량은 구 4212번 대체용인 240A(면목로 경유)로, 폐선된 9202번의 차량을 대차시켜서 만든 240B는 원래의 노선(면목천로 경유)으로 운행하다가, 240B 배차간격이 30분 이상 벌어지자, 7월 12일부로 240A는 다시 240번으로, 240B은 건대입구로 단축되어 2225번이 되었고 2011년 0213번과 합쳐져 2016번이 되었다.
22. 241A, 241B(대원교통(A,B), 대원여객(B))
241A번. 출처 | 241B번. 출처 |
일부 신내동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해 241번이 2010년 1월 8일에 상봉1동주민센터를 경유하는 A노선과 망우역을 경유하는 B노선으로 분리됐는데, 이 때문에 배차간격이 심하게 벌어지기도 했었다. 결국 3년 8개월 후인 2013년 9월 26일에 다시 통합했으며 현재는 B노선으로 다니고 있다. 즉, 2007년에 최초 신설됐을 당시로 돌아오게 된 셈. A노선은 2311번이 상봉역까지 대체 중이다.
대원여객 차량들은 모두 B 노선에서 운행했다.
23. 263(대흥교통)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463 문서 참고하십시오.차고지 이전 때문에 노선거리가 대폭으로 늘어나버렸다. 서울 버스 463 문서 참조.
24. 271B(경성여객)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271B 문서 참고하십시오.25. 300(메트로버스)㈜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300 문서 참고하십시오.서울역까지 가던 노선과 서울역사박물관, 서대문역까지 가던 노선이 있었다. 재미있게도 둘 다 메트로버스에서 운행하던 노선이었다.
26. 304(신흥기업)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3220 문서 참고하십시오.27. 342(메트로버스)㈜☆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300 문서 참고하십시오.300번 1기 노선을 폐선시키고 만든 노선이나, 300번 2기 노선 신설을 위해서 없어졌다.
28. 342(서울승합)★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342 문서 참고하십시오.출처
361 → 342 → 351 → 342 순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29. 351(서울승합)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342 문서 참고하십시오.361 → 342 → 351 → 342 순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30. 352(태진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345 문서 참고하십시오.운행구간: 송파공영차고지 - 위례신도시24단지 - 송례중/송례초교 - 장지역.가든파이브 - 가락시장 - 석촌역 - 잠실역.롯데월드 - 잠실종합운동장 - 코엑스 - 청담역 - 프리마호텔 - 청담동명품거리 - 압구정로데오역 - 압구정역 - 현대고 - 신사동주민센터 - 한신한강아파트 - 신동초교 - 반포3동주민센터 - 뉴코아아울렛 - 고속터미널 - 신/구반포역 - 국립현충원 - 한강현대아파트 - 흑석역 - 중앙대학교병원
노들로의 자동차전용도로 구간이 입석금지가 되면서 362번이 2014년 8월 4일에 중앙대학교로 단축되면서 부여받은 번호이다. 이 때 위례신도시를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노들로가 자동차전용도로에서 해제되면서 2015년 10월 26일에 다시 여의도로 연장되었고, 번호도 362번으로 환원되었다. 다만 예전처럼 순복음교회 등은 경유하지 않으며, 여의교부터 국회의사당역까지 직진한 다음 회차한다.
362 → 352 → 362 → 345 순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31. 361(서울승합)☆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342 문서 참고하십시오.출처
361 → 342 → 351 → 342 순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현재 이 번호는 남성버스 소속의 361번이 사용한다.
32. 362(대성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345 문서 참고하십시오.33. 363(한서교통)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350 문서 참고하십시오.34. 371(신흥기업)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3220 문서 참고하십시오.35. 400(한국BRT)㈜☆
출처
운행구간: 송파공영차고지(복정역) - 내곡동 - AT센터 - 양재역 - 강남역 - 신사역 - 한남동 - 남산1호터널 - 광화문 - 서울역
대개편 때 신설된 노선으로, 원래는 140번을 따라 종로4가로 운행했으나 수요가 신통치 않아 서울역으로 변경했다.
아무래도 광화문을 거쳐가다 보니 서울 버스 471, 경기광주 버스 1005-1(현재는 폐선)과의 중복을 피할 수 없었고 2005년 4월 10일에 폐선되었다. 이는 x00번 주간선 노선 중 가장 빠른 폐선이었다.
이후 408번이 성남구간 단축으로 인해 이 경로를 답습하게 되었는데, 결국 폐선을 면치 못하게 되었다.
참고로 403, 404는 결번인데, 원래 서울 버스 420과 서울 버스 472가 이 번호들을 받을 계획이었지만 계획단계에서 노선이 바뀌었다.
이후 이 400번이라는 번호는 삼성여객 소속의 405B번이 2013년에 물려받았다.
36. 405(도선여객)☆
출처
운행구간: 개포동 - 영동세브란스 - KT영동지사 - 관세청 - 신사역 - 한남동 - 명동성당 - 을지로 - 서울역
대개편 때 도시형 222번이 단축되면서 생겨난 노선이다. 노선이 실로 애매했고, 인가댓수도 얼마 되지 않아 2005년 초에 폐선.
여담으로, 같은 회사에서 기종점이 완벽히 같은 노선을 운행한다. 물론 경유지는 다르다.
현재 운행 중인 405번은 구 0014번과 0015번의 통합형으로 완전히 다르다.
37. 405A, 405B(삼성여객)
405A번. | 405B번. |
당시 노선도. |
38. 407(대성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407 문서 참고하십시오.운행구간: 송파공영차고지(복정역) - 장지역 - 세곡동 - 내곡동- AT센터 - 양재역 - 강남역 - 신사역 - 한남동 - 한남오거리 - 장충단로 - 동대입구 - 충무로 - 동대문운동장 이후 역순
39. 408(대성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408 문서 참고하십시오.운행구간: 송파공영차고지(복정역) - 세곡동 - 내곡동- AT센터 - 양재역 - 강남역 - 신사역 - 한남동 - 남산1호터널 - 광화문 - 서울역환승센터 - 을지로 - 남산1호터널 - 이후 역순
40. 410(동아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121 문서 참고하십시오.출처
41. 462(남성교통)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452 문서 참고하십시오.42. 471(한국brt)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741 문서 참고하십시오.뉴 슈퍼 에어로시티 2015년식. |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016년식. |
서울역 환승센터를 경유하는 모습. |
43. 542(대원여객)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542 문서 참고하십시오.44. 570(범일운수, 신성교통)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760(폐선) 문서 참고하십시오.사실상 761번은 현재 이 노선에서 영등포 이남 구간이 단축되고, 구산역~가좌역 구간이 역촌역, 응암로, 가재울뉴타운 경유로 조정된 노선이다.
45. 607(신길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673 문서 참고하십시오.46. 642(김포교통)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654 문서 참고하십시오.노들로를 경유하던 시절. | 대림역 경유 후의 모습. |
운행구간: 방화동 - 김포공항 - 송정역 - 발산역 - 목동역 - 대림역 - 보라매역 - 노량진역 - 흑석역 - 고속터미널 - 논현역
2016년 7월 25일 642번이 노들역으로 단축됨에 따라 654번으로 변경되었다.
47. 660A, 660B(서울교통네트웍)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660 문서 참고하십시오.48. 670(서울교통네트웍, 보성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660 문서 참고하십시오.서울교통네트웍 차량 | 보성운수 차량 |
49. 700(다모아자동차)㈜☆
출처
운행구간: 은평공영차고지 - 수색역 - 모래내 - 신촌 - 충정로역 - 퇴계로/을지로 - 동대문운동장
대개편 때 신설된 노선으로, 원래는 연세대 - 이대부고 - 금화터널 - 영천시장으로 운행했다.
2005년 5월에 '동교동 - 신촌 - 이대역'으로 노선이 변경되었고, 이후 2005년 8월 1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이 번호는 동해운수 소속의 9706번이 2010년에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되면서 이 번호를 물려받게 된다. 해당 문서 참조.
50. 703(서울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774 문서 참고하십시오.문산(선유리) - 향양리 - 주내삼거리 - 용주골 - 검전리 - 창만1리 - 신산5리 - 미군부대앞 - 신산3리 - 광탄 - 분수1리 - 용미리 - 용미리묘지 - 국군고양병원 - 고양동 - 응달촌 - 빈정동 - 선유동입구 - 벽제역 - 서울시립승화원 - 세원마을 - 신원마을 - 삼송역사거리.지축차량기지입구 - 구파발 - 연신내역 - 불광역 - 녹번역 - 홍제역 - 무악재역 - 독립문역 - 영천시장 ➡ 서대문역 ➡ 서울역사박물관 ➡ 광화문 ➡ 시청앞 ➡ 숭례문 ➡ 서울역환승센터 ➡ 경찰청 ➡ 서대문경찰서/역순
노선이 불광역으로 단축되면서 774번으로 바뀌었다.
이 번호는 서울매일버스 소속의 9703번이 간선으로 전환되면서 사용 중이다.
51. 705(서부운수)☆
(출처: 영화 《광식이 동생 광태》)
운행구간: 북가좌동 - 모래내우체국 - 가좌역 - (구)성산회관 - 동교동삼거리 - 신촌로터리 - 이대역 - 아현역 - 서대문역 - 세종로사거리 - 종로1~6가 - 흥인지문 - 동묘앞역 - 창신역(회차)
서부운수의 간판 노선이었던 구 도시형 134번이 대개편을 거치며 변경된 노선이다. 뜬금없이 경희대와 외대가 아닌 창신동으로 변경되면서 애매모호한 노선이 되었으나, 강동공영차고지와 서울역을 오가던 구 300번이 폐선되면서 2005년 7월 16일부로 동대문 - 신설동 - 천호대로 - 군자역 - 능동로 - 건대입구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이를 계기로 721번으로 변경되었고, 다시 서부운수의 간판급 노선이 되었다.
현재 이 번호는 구 9710번 단축 후 신수교통에서 쓰고 있다.
52. 706(제일여객)☆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773 문서 참고하십시오.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중 운행거리가 가장 길었는데, 교하차고지에서 서울역까지 잇는 초장거리 노선이었다.[20] 워낙 노선이 길어서 그런지 2017년 11월 1일부로 노선이 단축되며 773번으로 번호가 바뀌었다. 한전성서지사.북한산푸르지오(12026)에 정차후 유턴하여 다시 교하방면으로 되돌아가는데, 단축을 했어도 현재 왕복 84km로 장거리 노선이다.[21]
2024년 10월부로 8701번이 간선버스로 전환되면서 다시 사용 중이다.
53. 707(제일여객)☆
출처
운행구간: 다율리 - 교하/운정지구 - 야당리 - 송산동 - 이마트 - 농수산물센터 - 대화역 - 마두역 - 백석역 - 대곡역 - 고양경찰서 - 화정역 - 화정지구 - 원당역 - 가시골 - 원흥삼거리 - 동산동 - 구파발역 - 불광역 - 무악재 - 독립문 → 경찰청 → 서울역 → 숭례문 → 시청 → 광화문 → 적선동 → 독립문 → 이하 역순
구 907번 도시형버스(706번, 현 773번)에서 2003년 초 분리신설된 907-1번 도시형버스가 전신이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광역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9712번으로 바뀌었다.
2004년 10월 25일 전환되면서 번호가 9712번에서 707번으로 바뀌었다. 이 때 9711번도 동시에 전환하려 했으나 차량 출고로 본 노선만 3주 앞서 전환되었다.
706번과 노선이 거의 같았으며, 차이점은 일산신도시에서 706번과 달리 중앙로 직통(대화역, 주엽역, 마두역 경유)이었다. 하지만 수요가 부족했던 데다 배차간격마저 30분 이상으로 엉망진창이어서 2006년 12월 1일에 폐선되고 차량은 706번으로 흡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해당번호는 2010년 동해운수 9708번이 형간전환할때 부활했으며 이후 2022년 760번이 되면서 공백이 되었으나 2024년 선진운수의 9701번이 형간전환 하면서 다시 사용함에 따라 2번이나 부활한 셈이다.
54. 707(동해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760 문서 참고하십시오.구 9708번이 형간전환된 노선으로, 2022년 6월 27일에 종점이 숭례문에서 영등포소방서로 변경되면서 760번으로 전환되었다.
추후 이 번호는 선진운수 소속의 9701번이 간선으로 형간전환으로 다시 부활되었다.
55. 708(현대교통)☆
운행구간: 은평공영차고지 - 명지대 - 연대앞 - 안국동 → 명동롯데 → 남대문시장 → 시청 → 광화문 → 이하 역순
구 7020번이 수색/성산로 중앙차로를 입성하면서(당시 지선노선은 짤없이 가변차로로 운행해야 했다. 하지만 이런 규칙은 7727과 7728이 중앙차로를 입성하면서 깨졌다.) 2005년 4월 22일 간선으로 형간전환되었다. 이 때 부여받은 번호가 708번. 전환 당시에는 홍은동 - 남대문시장이라는 간선 치고는 짧은 거리(당시 왕복 22km[22])로 인해 버스 동호인들의 눈길을 끌기도 했다.
이후 2008년 12월 20일에 광화문광장 조성 교통 체증 해소를 이유로 을지로입구 - 광화문 단축 및 종로4가 연장이 이루어져 잘 다니던 도중 가스 충전 문제로 2011년 8월 기존 운행대수 그대로 수색으로 연장되는 바람에 배차관리가 어려워져 2012년 8월 28일부로 이대부고로 단축되면서 다시 지선으로 형간전환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716 참조.
현재는 한국brt에서 신설한 노선이 사용 중이다.
56. 730(신촌교통)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740 문서 참고하십시오.57. 751(선진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742 문서 참고하십시오.2021년 1월 15일 교대역으로 연장 되고, 2021년 3월 27일에는 권역에 맞추어 번호가 742로 변경되었다.
58. 760(서울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760(폐선) 문서 참고하십시오.현재 이 번호는 동해운수의 707번이 월드컵대교 경유로 하여금 노선이 바뀌면서 다시 사용하고 있다.
59. 773(제일교통)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773 문서 참고하십시오.60. 775(서울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775 문서 참고하십시오.61. N824(태진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N824 문서 참고하십시오.62. N850(한남여객운수, 범일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N850 문서 참고하십시오.63. N854(보영운수, 세풍운수, 우신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N854 문서 참고하십시오.64. N854(한남여객운수, 범일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N854 문서 참고하십시오.65. N866(보성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N866 문서 참고하십시오.66. N876(보광교통, 현대교통)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N876 문서 참고하십시오.67. N876(보광교통, 현대교통, 유성운수)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N876 문서 참고하십시오.68. N877(보광교통)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N877 문서 참고하십시오.[1] 33x 번호대가 완전히 비어있었음에도 이렇게 한 결과, 의도는 아니나 331번이 경기도 성남시에서 위례신도시를 거쳐 복정역까지 가는 번호로 쓰이게 되었다.[2] 이 번호를 쓸 기회도 얼마든지 있었다. 202번 사례를 보고 혼동소지가 있을 것 같아 피했다는 게 정설.[3] 2009년 당시 고양시 일반좌석버스 번호가 세자리수로 개편되었기 때문. 이 외에 파주 면허 770번 버스도 있었지만, 2007년 773번으로 흡수되었다.[4] 원래는 140과 같이 도봉산 - 쌍문역 - 수유역 - 미아리 - 돈암동 - 혜화동 - 종로1~4가(도봉산행 대학로/종로5가 경유)를 운행했다.[5] 개편 전 아진교통 2-1번과 비슷했다. 2-1번은 대개편 당시에 대체노선 없이 폐지.[6] 이후 2021년 8월 111번 자체는 기존 의정부 면허 노선을 폐선후 서울 면허로 새로 신설되 서울 버스 111번이 됐지만 예전에 의정부 노선과는 달리 종로5가 까지만 운행하여 무교동을 경유하지도, 회차하지도 않는다.[7] 대부분의 차가 6탕, 일부 차가 5탕.[8] 물론 원칙적으로는 1권역을 통해서 서울시로 진입하는 노선이기에 앞자리가 1이 되는 것이 맞는다.[9] 시간대에 맞춰 차량을 차출해 운행.[10] 당시 83번은 차고지로 들어가는 83-2번을 별도로 운행하고 있었는데, 본선 간의 상호 환승이 가능했다. 운전기사가 차고지로 들어갈 때면 중간에 전산상 노선 번호를 83-2번으로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11] 비슷한 이유로 노선이 구분된 702번의 사례를 보면, A/B 노선간 환승은 가능한 대신 A/B 노선간 배차간격의 불균형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12] 심지어 그 163번도 1대당 4바퀴를 돌 때 161번은 무려 6바퀴를 돌았다.[13] 종로4가 기준으로 새벽 1시 20분. 지금은 N26번이 있어 옛날 이야기가 되었다.[14] 이 때는 9호선 개통 7개월 전이었다.[15] 서강대교 입구 노상에서 차량들이 대기하다 보니 이 구간의 교통 흐름에 지장을 상당히 많이 주었고, 신대방삼거리 밑으로는 152번과 완전히 중복되다 보니 노선 관리 면에서도 효율성이 그다지 없었다. 여기에 2005년부터 시작된 가스차량 의무출고가 결정타였다.[16] 舊 55번이 서울역에서 청량리역으로 잘려서 2226번이 되자, 도심접근성이 악화되었고, 구리시에서 서울 시내까지 한 번에 갈 수 있도록 해달라는 민원이 다수 있었다.[17] 신내동부터 종각역까지 260번과 100% 겹쳤고, 201번과는 망우역 - 서울역까지 100% 겹쳤다.[18] 바로 위의 200번이랑 경로가 완전히 동일하다.[19] 다만, 중복구간이 심한 노선들이 오히려 오래 살아남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408번-440번과 771번-7728번.[20] 왕복 약 100km[21] 108번이 폐선 되면서 서울 간선버스 초장거리 노선 타이틀을 받게된다.[22] 343번 신설 전까지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