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인 삼화고속에 대한 내용은 삼화고속 문서 참고하십시오.
서울특별시 노원구 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시내버스 | 흥안운수 | 삼화상운 | 한성여객 | 진아교통 | 태릉교통[a] | |
마을버스 | 번창교통 | 성서교통 | 수락운수 | 오렌지교통 | 한마음교통 | ||
없어진 버스 회사 | |||||||
시내버스 | 상신교통 | 신우교통 | |||||
[a] 경기도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 |||||||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흥안운수 계열사 | |||||
서울특별시 | 남양주시 | ||||
흥안운수 | 삼화상운 | 한성여객 | 관악교통 | 서울교통네트웍 | 흥안마을버스 |
삼화상운 주식회사 三和商運 株式會社 Samwha Transportation Co., Ltd. | |
설립일 | 1966년 3월 19일 |
업종 | 시내버스 운송업 |
대표자 | 조장우, 조장용 |
주요 주주 | 조장우: 31.42% 조장용: 30.00% (2023년 12월 31일 기준) |
기업구분 | 중소기업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직원 수 | 323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
자본금 | 25억원(2023년 기준) |
매출액 | 287억 6,750만 8,728원(2023년 기준) |
영업이익 | 10억 2,423만 2,793원(2023년 기준) |
순이익 | 40억 6,201만 1,141원(2023년 기준) |
자산총액 | 511억 9,413만 3,548원(2023년 기준) |
부채총액 | 143억 2,146만 5,363원(2023년 기준) |
부채비율 | 38.84%(2023년 기준) |
소재지 | 본사 - 서울특별시 노원구 덕릉로 811 (상계동) 월계1영업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로 280 (월계동) 월계2영업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로45길 41 (월계동) 상계1영업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덕릉로126길 24 (상계동) 상계2영업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노원로 487 (상계동) |
[clearfix]
1. 개요
타고 싶은 버스가 되자.
삼화상운의 슬로건
삼화상운의 슬로건
지선버스 1137번 | 간선버스 173번 |
현재 차량 보유댓수는 116대로, 노원 흥삼한 중 가장 적다. 2004년 대개편 이전에는 상신교통 + 삼화상운이 통합되었기 때문에 150대를 훌쩍 넘겼으나 서울교통네트웍으로 면허 이관[2], 한성여객과 흥안운수로 일부 차량 양도[3] 대개편 당시의 잉여차량 말소, 이후 2005, 2009년 유상감차 말소를 거치면서 지금 수준으로 줄었다.
1987년에 흥안운수로 인수된 이후 현재까지 계속 계열관계가 유지된다.
1997년에 삼화교통(현 삼화고속의 계열)에게서 도시형/좌석 161번을 인수한다. 또한 개편 전 2001년에는 같은 월계동 소속 상신교통을 인수한다. 이 때 30, 30-1, 30-2번 등을 인수하는데, 32번은 지금 103번으로 잘 다니는 중이다. 173번이 들어오는 월계1동 차고지는 옛 상신교통 자리이다.
2004년 개편 당시 용산구 1번 마을버스를 공동배차를 하던 태영운수에 넘기면서 마을버스 사업에서 철수하였다.
한편, 1987년에 흥안운수에 인수되고, 수요가 적은 공기수송노선을 결행하기도 하고[4], 흥안운수와 삼화상운이 당시 15, 34-1번 등을 운행하던 한성여객과 20, 7번 등을 운행하던 한성버스에 압력을 지속적으로 넣는다. 결국 이는 한성여객의 경영난으로 인해 2003년 흥안 계열이 되면서 끝난다.[5]
173번과 103번이 들어오는 월계1동 차고지[6] 외에는 흥안운수의 상계10동 상계주공 7단지영업소[7]와 상계4동 종점에서 출발한다. 그 중 103번이 중간에 들어갔다 나오는 월계2동 월계초교 건너편에 영업소가 하나 더 있다.[8]
앨리슨이 꽤 있는 흥안운수 계열에서 그나마 ZF가 좀 보인다.
속도가 많이 줄어든 흥안운수 계열사에서 가장 스피드가 있다. 1137번의 경우 지선노선 중에서는 이례적으로 상당히 빠른 편이다. 146번만 봐도 삼화상운 차량은 새벽 동일로 구간에서 속도가 빠르다.
여담으로 섬밭로를 제외한 노원로의 로급 도로에서 이 회사의 노선을 볼 수 있다.[9]
도로명 | 간선 노선 | 지선 노선 |
동일로 | 102, 146 | 1129, 1137, 1140, 1143, 1224 |
노원로 | 102, 146 | 1129, 1137, 1140, 1143, 1224 |
상계로 | 102 | 1129, 1137, 1224 |
한글비석로 | 없음 | 1137, 1140, 1143, 1224 |
덕릉로 | 102 | 1140, 1224 |
공릉로 | 없음 | 1224 |
월계로 | 103, 173 | 1137, 1140 |
화랑로 | 173 | 1130, 1133,1143 |
광운로 | 173 | 1130, 1133, 1137, 1140 |
석계로 | 173 | 1130, 1133 |
초안산로 | 없음 | 1130 |
중계로 | 없음 | 1140, 1143 |
섬밭로 | 없음 | 없음 |
2023년 3월 1일부터 현금승차 폐지 확대운영 업체로 선정되었다. 그래서 2023년 3월 1일 부터 이 회사의 버스는 교통카드가 있어야 승차 가능하며, 교통카드가 없으면 승차할 수 없다.[10]
2. 면허 체계
- 서울 70사 68##호 ~ 69##호[11]
- 서울 74사 3451호 ~ 3640호 , 4701호 ~ 4761호[12]
- 서울 75사 1561호 ~ 1584호[13], 2892, 2895~2898호[14]
3. 차량 관련
한때 자일대우버스, 현대자동차, 기아, 쌍용자동차(!) 버스를 모두 출고했으나 2000~2010년대까지 현대버스 위주로 출고했다.흥안운수처럼 지선, 간선에 대한 신차 차별이 심하다. 개편 이후부터 간선버스에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 신차들을 넣었지만 지선 노선에는 연식이 오래된 다 쓰러져 가던 디젤차들이 일상이었다. 이후 2007년까지 뉴 슈퍼 에어로시티와 서울교통네트웍에서 넘어온 2002~2003년식 슈퍼 에어로시티[15]를 가져오면서 디젤차량을 갈아치웠다.
계열사 흥안운수처럼 2009년부터 저상버스를 투입하기 시작해, 2016년까지 저상버스만 발주해 저상버스 투입이 가능한 간선버스 노선에 신차를 집중적으로 투하했으며 나머지 노선에는 대부분 구형 NSAC이 다녔다.[16] 처음부터 싸인텔레콤 제품이 설치된 차량이 단 한 대도 없었으며 모두 컴텔싸인이다.
하지만 2017년에 10년 만에 NSAC 고상형을 발주하면서 저상버스를 투입할 수 없는 노선에도 새차가 들어가고 지선버스에도 저상버스가 보급되는 등 차량 구성이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 반대로 2020년대 초반에는 오히려 저상 비중이 높은 노선 중 173번이 노후화가 극심해지고 있다.
흥안운수처럼 2017년식 이후 뉴슈퍼에어로시티도 고상버스는 스펀지, 저상버스는 하이백.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 중 가장 마지막으로 글로벌900을 보유하고 있었다.
2018년 10월, 흥삼한 계열사중 최초로 NSAC 개선형을 2대 출고했다. 투입 노선은 103번.
흥안 계열사를 통틀어 최후의 2007년식이 있었던 회사이자 서울 시내버스 회사 중 2007년식을 거의 마지막까지 보유하고 있었던 회사이다. 또한 흥안운수, 한성여객과 마찬가지로 저상버스 투입 가능 노선은 100% 저상화를 달성했지만, 노선경로 문제로 저상을 투입할 수 없는 노선[17]이 많기에 저상버스 대수는 다소 적다.
2014년 12월에는 무려 현대 블루시티를 출고해 146번에 투입했다.
2020년 12월 흥안운수와 함께 에디슨 NEW e-화이버드와 중국 하이거 하이퍼스 11L을 출고해서 146번에 투입했다.
에디슨모터스의 몰락 이후로는 BYD를 주력으로 출고한다. 동시에 2019년 말 이후로는 신차출고가 없었던 173번도 4년만의 신차출고로 전기버스가 운행한다.
2023년 말에 관악교통, 서울교통네트웍에 이어 일렉시티를 출고해 173번에 투입했고 같은 시기 흥안운수도 일렉시티를 첫 출고했다.
4. 운행 노선
공동 배차 노선이 많다.[18]4.1. 간선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102 [공동배차1][상계2] | 상계7단지 | 노원역 - 중계역 - 창동주공4단지 - 신창.창동시장 - 북부시장입구 - 미아역 - 미아사거리역 - 길음뉴타운 - 혜화동 | [흥인지문|동대문]] | 8~12 |
103 [월계2] | 월계동 | 광운초교 - 장위동고개 - 길음뉴타운 - 성북구청.성북경찰서 - 신설동역 - 종로2~6가 → 광화문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남대문시장 | 서울역 | 6~12 |
146 [공동배차1][상계2] | 상계7단지 | 도봉구청 - 수락산역 - 도봉면허시험장 - 중계역 - 서울과학기술대입구 - 태릉입구역 - 중화역 - 면목2동 - 면곡시장 - 군자교 - 화양사거리 - 영동대교 - 청담역.경기고교 - 한국무역센터.삼성역 - 선릉역 - 역삼역 | 강남역 | 1~12 |
173 [월계1] | 월계동 | 광운대역 - 석계역 - 월곡역 - 고려대학교 - 신설동역 - 청계1~8가 - 남대문시장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만리동고개 - 공덕역 - 서강대학교 - 이대역 | 신촌기차역 | 7~13 |
서울09출근 [동행] [공동배차2][상계2] | 민락교 | 고산대방노블랜드아파트 → 고산수자인디에스티지 → 고산동.빼뻘 → 불암산역 | 노원역9번출구 | 15(평일 4회) |
서울09퇴근 [동행] [공동배차1][상계2] | 노원역1번출구 | 불암산역 → 고산동.빼뻘 → 고산수자인디에스티지 → 고산대방노블랜드아파트 | 민락교 | 20(평일 2회) |
4.1.1. 심야버스
<rowcolor=#ffc600>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N61 [공동배차3][상계2] | 상계7단지 | 노원역 - 상계백병원 - 하계역 - 태릉입구역 - 중화역 - 면목2동 - 면곡시장 - 군자역 - 건대입구역 - 영동대교 - 청담역.경기고교 - 한국무역센터.삼성역 - 선릉역 - 강남역 - 교대역 - 남부터미널 - 경남임광아파트 - 사당역 - 서울대입구역 - 신림역 - 난곡입구 - 디지털단지오거리 - 개봉역 - 신정현대아파트 | 양천공영차고지 | 15~30 |
4.2. 지선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1129 [상계2] | 상계현대아파트 | 마들역 - 상계7단지 - 노원역 - 노원구청 | 창동역 | 15~40 |
1130 [월계2] | 청백1단지 | 염광고등학교 - 인덕대학교 - 광운대역 | 석계역 | 8~15 |
1133 [월계2] | 월계동 | (← 광운대학교 ←) - 하계역 - 중계역 - 광운대역 | 석계역 | 10~20 |
1137 [상계2] | 상계7단지 | 상계역 - 마들역 - 도봉면허시험장 - 상계백병원 - 하계역 - 광운대학교 - 장위동고개 | 미아사거리역 | 7~11 |
1140 [공동배차4][월계1] | 월계동 | 하계역 - 중계역 - 상계119안전센터 - 상계역 - 중계1동주민센터 | 은행사거리 | 13~20 |
1143 [공동배차5][상계1] | 중계동 | (← 서울과기대후문 ← 신내5단지 ← 서울과기대후문 ←) - 은행사거리 - 상계119안전센터 - 상계역 - 마들역 - 수락산역 | 수락리버시티 | 15~30 |
1224 [공동배차1][상계1] | 상계4동 | 상계역 - 은행사거리 - 노원경찰서 - 하계역 - 서울과기대 - 태릉사거리 - 먹골역 - 중랑역.동부시장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 | 5~10 |
4.2.1. 맞춤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8112 [공동배차1][상계2] | 상계7단지 | 노원역 - 마들역 - 수락산역 - 수락중고교 | 수락리버파크 | 15 |
5. 이전 운행 노선
- 1016 (월계동 - 장위동 - 돈암동 - 성북구청 - 흥인지문 - 종로2~6가 - 명동롯데 - 서울역 - 남영동 - 용산역) [45]
- 1220 (월계동 - 월곡동 - 종암동 - 안암동 - 신설동)[46]
5.1. 2004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 전 운행노선
- 용산구 1번 마을버스(녹사평역 - 해방촌 - 숙대입구역 - 남영역)[48]
- 30 (월계동 - 광운대 - 종암동 - 고려대 - 신설동 - 종로 1~6가 - 마포대교 - 여의도 - 영등포 - 경인로 - 개봉동 - 철산동)[49]
- 30-2 (월계동 - 광운대 - 종암동 - 고대 - 신설동 - 종로 1~6가 - 마포대교 - 여의도 - 영등포 - 경인로 - 개봉동 - 광남사거리)[50]
- 32 (월계동 - 장위동 - 미아사거리 - 삼선교 - 보문동 - 동대문 - 종로 1~6가 - 광화문 - 서울역 - 후암동)
- 35 (상계7단지 - 상계역 - 보람아파트 - 노원역 - 하계역 - 광운대 - 장위동 - 미아사거리 - 보문동 - 동대문)
- 409 (석계역 - 광운대 - 염광여고 - 신창동 - 창동주공 - 창동역)
- 409-1 (석계역 - 광운대 - 염광여고 - 초안산)
- 구)30-1 (월계동 - 성북역 - 석계역 - 월곡동 - 종암동 - 고려대 - 신설동 - 종로 - 서대문 - 마포 - 여의도) [51]
- 구)30-1 (좌석) (월계동 - 성북역 - 석계역 - 월곡동 - 종암동 - 고려대 - 신설동 - 종로 - 서대문 - 마포 - 여의도) [52]
- 구)35 (좌석) (상계7단지 - 상계역 - 보람아파트 - 노원역 - 하계역 - 광운대 - 장위동 - 미아사거리 - 삼선교 - 동대문) [53]
- 구)35-1 (하계동 - 인덕대학 - 광운초교사거리 - 장위1동 - 월곡동 - 길음동 - 돈암동 - 보문동 - 신설동로터리 - 동대문 → 동대문운동장 → 을지로5가 → 종로5가 → 동대문 이하 역순) [54]
- 구)35-2 (상계4동 - 당현천 - 중계동 -하계동 세이브존 - 인덕대학 - 광운초교사거리 - 장위1동 - 창문여고 - 길음동 - 돈암동 - 보문동 - 숭인동 - 청계천로 - 광교 - 미도파 - 서부역 - 청파동 - 원효로 - 원효대교 → 국회앞 지하차도 → 국회의사당 → 여의도순복음교회 → 이하 역순) [55]
- 구)161 (도시형/좌석) (월계동 ~ 드림랜드(청)/광운대(적) - 상월곡동 - 월곡역 - 종암동 - 고려대학교 - 안암동로터리 - 숭인동 - 청계천 - 롯데백화점 본점 - 서울역 - 서대문 - 홍제역 - 문화촌) [56]
- 구)1001 (직행좌석) : 상계주공9~10단지 - 상계주공3,6단지 - 중계사거리 - 하계동 세이브존 - 동부간선도로 - 중랑교 - 청량리역 - 제기동역 - 신설동역 - 동대문 - 종로 - 종각역 → 광화문 → 시청 → 염천교 → 서울역 → 숭례문 → 미도파 → 종각역 - 종로 이후 역순 [57]
6. 보유차량
6.1. 현재 보유차량
6.1.1. 현대자동차
- 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그린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58]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블루시티 저상형 천연가스 하이브리드버스
- 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6.1.2. BYD
6.1.3. KGM커머셜
6.1.4. 하이거
6.2. 과거 보유차량
6.2.1. 자일대우버스
6.2.2. 현대자동차
- 현대 에어로타운 디젤
- 현대 글로벌900 디젤[59]
- 현대 글로벌900 천연가스버스
- 현대 FB485 디젤
- 현대 RB520L 디젤
- 현대 RB520SL 디젤
- 현대 RB52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52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540S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S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SL 디젤[60]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61]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SE 천연가스버스
6.2.3. 기아
6.2.4. KG모빌리티
7. 지배구조
2023년 12월 기준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조장우 | 31.42% | 대표이사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조장용 | 30.00% | 대표이사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조지민 | 21.13%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흥안운수 | 10.15% | |
기타 | 7.30% | 2인 |
8. 둘러보기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colcolor=#fff> 강남구 | 도선여객 | 정평운수 | |
강동구 | 서울승합 | |||
강북구 | 동아운수 | 선일교통 | 삼양교통 | |
영신여객 | 한성운수 | |||
강서구 | 공항버스 | 김포교통 | 다모아자동차 | |
영인운수 | 정평운수 | |||
관악구 | 관악교통 | 보성운수 | 한남여객운수 | |
광진구 | 신흥운수 | |||
구로구 | 군포교통 | 보성운수 | 서울매일버스 | |
금천구 | 범일운수 | 보영운수 | 신인운수 | |
노원구 | 흥안운수 | 삼화상운 | 한성여객 | |
진아교통 | 태릉교통 | |||
도봉구 | 서울교통네트웍 | 아진교통 | ||
마포구 | 다모아자동차 | 유성운수 | ||
서대문구 | 서부운수 | 신촌교통 | 원버스 | |
현대교통 | ||||
서초구 | 대흥교통 | 삼성여객 | 우신운수 | |
우신버스 | ||||
성동구 | 태진운수 | 대원교통 | 대원여객 | |
성북구 | 대진여객 | 도원교통 | 상진운수 | |
송파구 | 남성버스 | 동성교통 | 대성운수 | |
서울버스 | 송파상운 | 진화운수 | ||
한국brt | 한서교통 | |||
양천구 | 관악교통 | 도원교통 | 세풍운수 | |
신길교통 | 양천운수 | 중부운수 | ||
은평구 | 보광교통 | 신수교통 | 선진운수 | |
원버스 | 유성운수 | 제일교통 | ||
종로구 | 동해운수 | |||
중랑구 | 경성여객 | 대원교통 | 메트로버스 | |
보광운수 | 북부운수 | |||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 ||||
동대문구 | 동작구 | 영등포구 | 용산구 | |
범례 | ||||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 흥안운수 계열사 |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 KD 운송그룹 계열사 | |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1] 월계동으로 이전하면서 90년대 까지 이곳 정류소 명칭을 구종점으로 변경됐었다.[2] 02~03년식 슈퍼 에어로시티 29대를 2004년 당시 서울교통네트웍에 출자하였다. 이 외에도 노후차량을 말소시키고 면허만 이관시킨 경우도 있어서 실제로는 더 된다.[3] 00~01년식 슈퍼 에어로시티. 5대는 한성여객, 1대는 흥안운수로 이동.[4] 지역순환버스 409번은 기사가 없다는 이유로 결행을 해서 물의를 빚은 이력이 있다.[5] 계열사인 한성버스는 2002년에 파산하며, 이후 창동(정확히는 창2, 3동)의 버스 교통이 열악해졌다.[6] 여기는 舊 상신교통 차고지였다.[7] 대개편 이전에도 삼화상운 노선이 있었는데 35번(상계동 - 동대문)이 그 것.[8] 여기가 원래부터 쓰던 삼화상운 차고지였다.[9] 대신 섬밭로에는 계열사인 한성여객의 1144번이 다닌다.[10] 단, 심야버스인 N61은 예외로 현금승차가 가능하다.[11] 노원구 면허의 증차번호[12] 이 중, 3451호부터 3550호까지는 구.삼화교통에서 161번을 인수하면서 넘어왔고 4701호부터 4761호까지는 구.상신교통 인수분이다.[13] 구.상신교통 인수분[14] 2892는 구.우성버스 → 구.삼화교통 161번 좌석, 2895~2898은 구.상신교통 인수분[15] 흥안운수와 자사 자체출고분이 섞여있었다.[16] SE 모델의 경우에는 전량 146번에만 투입했지만 SE 모델이 단종된 이후부터 2014년 이전까지는 163번(현 173번)에 집중적으로 투입했다. 이후 블루시티를 출고하면서 다시 146번 위주로 투입.[17] 103, 1129, 1130, 1133, 1137, 1143번[18] 이는 흥안운수가 서울교통네트웍 컨소시엄 참여로 인한 차량부족으로 생긴 현상이다. 대부분 계열 관계라 사실상 공동 배차의 의미는 없다. 주로 흥안운수의 노선을 삼화상운이 공동배차하다가, 이마저도 한계가 있거나 모종의 사유로 공동배차가 힘들면 한성여객이 참여하는 형태이다.[공동배차1] 흥안운수와 공동배차[상계2] 상계2영업소 소속[월계2] 월계동2영업소 소속[공동배차1] [상계2] [월계1] 월계동1영업소 소속[동행] 서울동행버스[공동배차2] 한성여객, 흥안운수와 공동배차.[상계2] [동행] 서울동행버스[공동배차1] [상계2] [공동배차3] 영인운수, 관악교통과 공동배차.[상계2] [상계2] [월계2] [월계2] [상계2] [공동배차4] 한성여객과 공동배차[월계1] [공동배차5] 흥안운수, 한성여객, 서울교통네트웍과 공동 배차.[상계1] 상계4동영업소 소속[공동배차1] [상계1] [공동배차1] 흥안운수와 공동 배차[상계2] [45] 구 32번 단축. 2005년 8월 9일 서울역으로 단축 후 103번으로 형간전환되었다.[46] 구 30번 단축. 2004년 10월 18일 폐선[47] 신설노선, 2005년 3월 폐선[48] 태영운수와 공동배차, 개편 후 태영운수 단독으로 바뀌었다.[49] 舊 상신교통 노선, 엄청난 장거리/빗자루 노선/삼화상운의 간판노선(인가댓수가 거의 70대에 육박했다.)이었으나, 개편 후 신설동으로 단축된 1220이 되었다가 이후 폐선된다.[50] 개봉동까지는 30번과 동일, 舊 상신교통 노선.[51] 일반 30번의 여의도 단축판. 여의도 - 철산동 구간을 뺀 노선이었다. 1990년대에 좌석과 도시형이 같이 나니는 노선으로 운행하다가, 1996년 도시형 노선 폐선된 후 1997년 경 좌석 30-1번이 도시형으로 형간 전환하여 운행하였다. 삼화상운 인수 후 폐선[52] 1990년대 초에 도시형과 같이 다니는 노선으로 운행. 1997년경 도시형으로 형간전환. 삼화상운 인수 후 폐선[53] 1990년 11월 신설, 도시형 35번과 동일한 경로로 운행하였으나 1997년 폐선. 이후 전차량 161번 좌석에 증차됨[54] 날짜 미상 35번에 흡수되었다[55] 날짜 미상 35번에 흡수되었다.[56] 구 삼화교통 노선, 도시형, 좌석 두 버전이 있었으나 도시형은 1995 월계동~서울역으로 단축되었고, 1997년 폐선, 좌석은 1990년대 신설되었으며, 도시형과 동일 경로로 운행하였으며, 1997년 도시형 폐선과 동시에 형간전환 후 2001년 폐선[57] 1993년 최초로 신설된 직행좌석 노선 중 하나로, 1994년 흥안운수에 넘겼다가 1997년 말 좌석 10번과의 중복으로 인해 폐선. 1001번 폐선된 후 BH115H 차량이 좌석 10번과 좌석 161번에 투입되기도 하였으며, 2003년 에어로스페이스로 대차 전까지 좌석 960번에서 운행하였다.[58] 첫 출시 이후 9년 만인 2017년에 처음으로 출고했다.[59] 2004년식 1대만 존재했으며 2007년에 흥안마을버스로 이동했다.[60] 00~01년식은 모두 흥안/한성으로 양도. 03년식은 자체출고분이었으며, 07년까지 모두 조기대차되어 사라졌다.[61] 02~03년식, 04년에 모두 서울교통네트웍으로 넘어갔으며 05~06년에 일부가 다시 흥안/삼화/한성으로 복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