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02:17:05

서울교통네트웍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에스티엔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프랑스의 군인에 대한 내용은 외젠 에스티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도봉구 CI.svg 서울특별시 도봉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시내버스 서울교통네트웍[a] 아진교통
마을버스 쌍문운수 진양교통 청록운수
없어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 한성버스[b]
마을버스 승한운수
[a] 주간선버스 회사 / [b] 계열사인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에 분산 흡수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흥안운수 계열사
서울특별시 남양주시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관악교통 서울교통네트웍 흥안마을버스
서울교통네트웍 주식회사
Seoul Transportation Network Co., Ltd.
파일:external/www.stnbus.com/logo.png
설립일 2004년 6월 17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조장우
모회사 흥안운수
주요 주주 흥안운수: 58.72%
한성여객: 25.30%
삼화상운: 15.98%
(2023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513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42억 6,768만원(2023년 기준)
매출액 464억 2,072만 4,781원(2023년 기준)
영업이익 27억 6,803만 1,720원(2023년 기준)
순이익 38억 8,799만 744원(2023년 기준)
자산총액 187억 2,899만 189원(2023년 기준)
부채총액 71억 8,027만 4,155원(2023년 기준)
부채비율 62.17%(2023년 기준)
소재지 본사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961 (도봉동, 도봉공영차고지)
석수영업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대로 33 (시흥동)
온수영업소 - 서울특별시 구로구 부일로 841 (온수동, 온수공영차고지)
하계영업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한글비석로 77 (하계동)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서울교통네트웍 홈페이지

1. 개요2. 운행 노선3. 면허 체계4. 보유차량5. 지배구조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서울교통네트웍6666.jpg 파일:서울160_3256.png
150번 160번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로, 본사는 도봉공영차고지에 있다. 그 외에는 구로구 온수동온수공영차고지(舊 세풍운수 차고지[1]), 금천구 시흥동(군포교통과 함께 사용), 광명시 소하동(舊 범일운수 소하영업소[2]) 등에 영업소가 있다.[3]

2004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 당시 주간선노선을 운행할 4개의 주간선업체 컨소시엄 입찰 당시 도봉간선버스라는 명칭으로 도봉 권역 주간선업체 컨소시엄을 구성한 것이 시초이며, 후에 우선 협상자로 선정[4]됨에 따라 지금의 사명인 '서울교통네트웍'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결성당시 흥안운수, 삼화상운, 군포교통, 범일운수, 보성운수, 세풍운수, 안양교통 등이 지분을 출자하여 설립되었다.[5][6] 한때 굴절버스를 도입하여 운행한 적이 있지만 2010년까지 모조리 조기폐차 후 말소시켰다.[7]

2004년 7월 인가대수 241대로 사업개시 후, 2005년 8월/2008년 12월 예비차 유상감차, 굴절버스 유상감차가 서울특별시 당국 주도로 이뤄지면서 23대가 감차되었다. 당시 인가대수는 218대.

윗 문단의 각주대로 지분 구조가 크게 변했고, 결국 2010년 8월 2일 군포교통, 보성운수가 컨소시엄에서 탈퇴했다. 이에 따라 500번은 군포교통과의 공동 배차로, 660번은 보성운수와 공동 배차로 각각 변경됐다. 이후 2014년 8월 1일 주간선업체에서 자율면허로 전환되었다. 컨소시엄 일부 해체에 따라 33대가 군포교통과 보성운수로 환원되어 현재 인가대수는 185대이다.

영문 약자는 STN(Seoul Transportation Network)로 쓰는데, OBS 고교토론 판 2 6회에 출연한 이나 이 곡작곡가, 모 스포츠 채널과는 당연히 무관하다. STN 외에는 줄여서 "서교네", "서교넷"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2004년 7월 버스중심의 서울교통체계개편사업과 관련하여 도봉권역 주간버스 운송사업자로써 서울중심지를 Network으로 연결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 외에도 비산동 차고지에 충전소가 없어 안양공영차고지와 병행하여 원정와서 충전하는 서울매일버스 비산동 노선들과 노온사동으로 가는 범일운수의 노선들이 운행 중 중간에 충전하러 들어왔었던 소하동 CNG충전소(광명시 오리로 263-1/구 주소는 소하2동 1054-27)에 소하동 차고지가 있으며, 옛 범일운수 소하동 영업소다. 소하차고지 착발 노선은 없고, 시흥동 주재 차량들의 일부가 소하동 CNG충전소에 주차하고 있다.

자동변속기흥안운수 계열 중 유일하게 ZF 선호 업체다. 원래는 다른 흥안운수 계열사처럼 앨리슨을 주로 출고했지만 2016년부터 ZF로 전향했다.[8]

2020년 11월에 150번, 160번에 하이퍼스11LNEW e-화이버드전기버스로 처음 도입된 이후 전기버스를 점차 늘리고 있다. 2022년 9월 하순에 하이퍼스1612전국 최초로 출고했다.[9] 에디슨모터스 사태 이후로 흥안 계열에서 3년만에 관악교통과 함께 일렉시티를 출고했으며 NEW eBus-12도 출고했다.

2024년에는 사내 최초로 전문 폴딩형 아폴로 1100을 도입했다. 서울에서는 세풍운수에 이어 2번째다.

서울에서 돌출형 행선판에 회사명을 넣는 업체이다.[10] 서교네의 경우, 흥삼한에서는 유일하다. 흥삼한 계열의 돌출형 행선판은 차량도색과 동일한 색상에 스텐실로 표기하고 있다.

2022년 1월 1일부터 공항버스, 대성운수에 이어 현대교통과 함께 현금승차 폐지 시범사업에 선정되어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심야버스 N16번을 제외하면 교통카드 또는 계좌 이체로만 버스요금을 지불할 수 있다. 한때는 흥안운수 계열사 중에서 유일하게 현금승차가 불가능한 업체였지만 2023년 3월 1일부터 흥안운수삼화상운도 현금승차가 불가능해졌다.

2023년 9월 25일부터 1143번 공동배차에 참가한다. 따라서 메트로버스에 이어 두번째로 지선버스를 운영하는 주간선 업체가 되었다.

1143번, 660번, 서울05번을 제외하면 모두 한강을 건너며, 중간 숫자나 앞에 숫자가 5권역 운행 노선들[11]은 한강대교를, 6권역 운행 노선들[12]은 마포대교를 경유하여 한강을 건넌다.

영업소 간 처우 차이가 심하다. 특히 석수동 영업소는 매우 협소하고 근무환경이 열악하다.[13] 온수동이 중간 급이고[14], 본진인 도봉산이 제일 좋은 편. 단, 본사 소속은 장거리 노선이 많다. 유독 석수동 영업소가 특이한데, 다른 영업소와 달리 별도의 안내문을 부착하고 있다. 이러다보니 타 주간선업체와 비교하면 이 회사는 모기업인 흥안운수 마냥 승무원이 신호위반이나 과속 등 난폭운전이나 탑승객에게 욕설을 퍼붓는 상황이 자주 일어난다. 주간선업체 중에서도 독보적으로 친절도가 나쁜 회사임은 물론이고 서울에서도 난폭운전과 불친절 민원이 많은 회사 중 하나이며, 근무 환경도 주간선업체 답지 않게 영 좋지 않다는 평가가 매우 많다.

그 이외에도, 차 관리 상태도 주간선업체 치고는 좋지 않은 편이며,[15] 창원시 시내버스처럼 뱃고동 클락션으로 경적을 튜닝하는 경우도 간간이 있고, 워낙 승무원이 무분별하게 클락션을 울리는지라 요란한 경적을 자랑한다. 다른 회사의 차를 타다가 서울교통네트웍의 차를 타면 특유의 요란한 뱃고동 클락션 때문에 영혼이 빠져나갈 지경. 서울에서 현재까지도 람보질을 하는 몇 없는 회사 중 하나이기도 하다. 한때 람보질의 대명사였던 모기업 흥안운수가 이미 람보질을 그만둔 것을 생각하면 아이러니.[16]

이 회사명 글자수가 서울에서는 유일하게 7자리로 가장 길다.[17]

2. 운행 노선

2.1. 간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150
[본사]
도봉산역 방학역 - 수유역.강북구청 - 미아사거리역 - 길음뉴타운 - 혜화동 - 종로1~4가 - 광화문 - (→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 →/← 서울시청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신용산역 - 한강대교 - 노량진역 - 대방역 - 보라매역 - 구로디지털단지역 - 금천우체국 - 시흥대교 독산한신아파트 6~9
160
[본사]
방학역 - 수유역.강북구청 - 미아사거리역 - 길음뉴타운 - 혜화동 - 종로1~4가 - 광화문 - 공덕역 - 마포역 - 여의도환승센터 - 영등포역 - 구로역 - 개봉역 - 오류동역 - 온수역 온수동 6~9
500
[공동배차1][석수]
석수역 시흥사거리 - 금천우체국 - 난곡입구 - 신림역 - 봉천역 - 상도4동약수맨션 - 장승배기역 - 노량진역 - 한강대교 - 신용산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을지로입구 7~10
507
[석수]
백산초등학교 - 시흥4동주민센터 - 독산동남문시장 - 구로디지털단지역 - 대림3동주민센터 - 신풍시장 - 대방역 - 노량진역 - 한강대교 - 신용산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남대문시장 - 충무로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 7~11
600
[온수]
온수동 온수역 - 오류동삼거리 - 개봉1동삼거리 - 고척시장 - 구로역 - 영등포역 - (→ 한국거래소 →/← 여의도환승센터 ←) - 공덕역 - 마포경찰서서대문역사거리 → 광화문 → 서소문 → 충정로역 광화문 7~9
660
[공동배차2][온수]
온수역 - 유한공고 성공회대 - 항동하버라인 - 오류동역 - 개봉역 - 구로역 - 타임스퀘어 - 당산역 - 염창동새마을금고 - 증미역가양역 → 서울서진학교 → 가양초등학교 가양동 12~16
서울05출근
[본사]
율정마을7.8단지 옥정상가주택.대방노블랜드12단지 → 덕현초교.덕고개 → 대방신도아파트 도봉산역 15(평일 4회)
서울05퇴근
[본사]
도봉산역 대방신도아파트 → 덕현초교.덕고개 → 옥정상가주택.대방노블랜드12단지 율정마을7.8단지 20(평일 2회)

2.1.1. 심야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N16
[공동배차3][본사]
도봉산역 방학역 - 수유역.강북구청 - 미아사거리역 - 길음뉴타운 - 혜화역 - 동대문 - 충무로역 - 남대문시장.회현역 - (→ 서울시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만리동고개 - 공덕역 - 여의도환승센터 - 영등포역 - 구로역 - 개봉역 - 오류동역 - 온수역 온수동 25~40

2.2. 지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1143
[공동배차4][하계][32]
중계동 (← 서울과기대후문 ← 신내5단지 ← 서울과기대후문 ←) - 은행사거리 - 상계119안전센터 - 상계역 - 마들역 - 수락산역 수락리버시티 8~25

3. 면허 체계

  • 서울 70 사 6647 ~ 6800
  • 서울 71 사 3201 ~3287호, 3293
    • 두 면허대 모두 도봉구 소재이며, 시내버스 회사 증차면허로 컨소시엄에 출자한 회사들의 면허를 전환시킨 것이다.

4. 보유차량

4.1. 현재 보유차량

4.1.1. 현대자동차

4.1.2. 하이거

4.1.3. BYD

4.1.4. KGM커머셜

4.1.5. 우진산전

4.2. 과거 보유차량

4.2.1. 자일대우버스

4.2.2. 현대자동차

4.2.3. 이베코

  • 이베코 Irisbus Cityclass 천연가스버스

5. 지배구조

2023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흥안운수
58.72% 모회사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한성여객
25.30%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삼화상운
15.98%

6. 둘러보기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colcolor=#fff> 강남구 도선여객 정평운수
강동구 서울승합
강북구 동아운수 선일교통 삼양교통
영신여객 한성운수
강서구 공항버스 김포교통 다모아자동차
영인운수 정평운수
관악구 관악교통 보성운수 한남여객운수
광진구 신흥운수
구로구 군포교통 보성운수 서울매일버스
금천구 범일운수 보영운수 신인운수
노원구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진아교통 태릉교통
도봉구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
마포구 다모아자동차 유성운수
서대문구 서부운수 신촌교통 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 대흥교통 삼성여객 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 태진운수 대원교통 대원여객
성북구 대진여객 도원교통 상진운수
송파구 남성버스 동성교통 대성운수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
한국brt 한서교통
양천구 관악교통 도원교통 세풍운수
신길교통 양천운수 중부운수
은평구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 유성운수 제일교통
종로구 동해운수
중랑구 경성여객 대원교통 메트로버스
보광운수 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 동작구 영등포구 용산구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흥안운수 계열사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주간선버스 운영 업체
메트로버스 서울교통네트웍 한국brt 다모아자동차


[1] 원래는 세풍운수의 본사로 사용했으나, 대개편과 함께 세풍운수가 서울교통네트웍과 차고지를 함께 쓰다가 2006년부터는 신정동영업소까지 통폐합해서 아예 양천공영차고지로 이주하게 되었다. 그래서 6613번, 6716번은 현재까지도 온수동과 궁동을 들어갔다 나오는 것이다.[2] 원래는 범일운수 소하동차고지로 舊 70, 124 등을 취급했었다. 대개편과 함께 노온사동차고지로 통합하면서 철수했으며, 범일운수 차량의 가스 충전 및 서울교통네트웍의 차량 충전 및 차고지로 쓰이게 되었다. 2001년 8월 말에 서울특별시에서 부지를 매입함에 따라 현재는 소하공영차고지가 되었으나 알려지지는 않았다.[3] 공영차고지에서만 주박을 하는 타 주간선업체들과는 달리 STN은 현재까지도 자가차고지(석수영업소)를 보유하고 있는 유일한 주간선업체이다. 이 회사 외에도 방화동김포교통 차고지와 공항버스 차고지에서 舊.161번(現.710번), 601번을 발착시킨 다모아자동차고양시 삼송동에 영업소를 두었던(701번, 舊.471번(現.741번)) 한국brt도 있었으나 두 회사들은 각각 강서공영차고지(다모아)와 진관공영차고지(brt)로 이사갔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자가차고지를 보유하고 있는 주간선업체는 STN이 유일하다. 참고로 온수영업소, 소하영업소를 자가차고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온수영업소는 사실 온수공영차고지, 소하공영차고지라는 이름의 공영차고지이다. 둘 다 자가에서 공영으로 바뀌었다.[4] 당시 도봉권역 2순위 입찰자는 '버스피아 컨소시엄'이었으며 대원여객의 주도로 한성운수, 아진교통, 영신여객, 풍양운수가 출자한 회사였다.[5] 2005년 당시의 지분율은 흥안운수 30.02%, 군포교통 27.42%, 범일운수 17.74%, 보성운수 15%, 삼화상운 9.82% 순이었다. 정황상 세풍운수와 안양교통이 일찌감치 손을 털고 나간 것으로 짐작이 가능하다. 이후 지분구조가 조금씩 변했는데, 2006년에는 보성운수와 군포교통의 지분을 한남여객운수가 매입해서 2대 주주에 올랐다. 이후 2009년 말에 한남여객운수의 지분을 흥안운수와 자회사들이 전부 인수하면서 2009년 말 시점에서는 흥안운수 및 계열사들이 84.67%의 지분을 가진 최대주주였고 보성운수는 8.81%, 군포교통은 7.52%의 지분만 갖고 있었다. 그래서 두 회사는 컨소시엄 탈퇴 과정에서 적은 댓수의 차량만 가지고 분리되었다.[6] 당시 흥안운수, 삼화상운, 안양교통이 현대차를 선호하고 군포교통, 범일운수, 보성운수, 세풍운수가 자일대우버스를 선호했기 때문에 대개편 직후부터 두 회사의 차량을 공용했다. 보성운수와 군포교통이 각각 670, 500번의 자사 운행분을 분리해서 나갈 때에도 BS106만 챙겨서 나간 것도 이 때문이다. 물론 2014년까지 기존 자일대우버스는 전부 교체되어 사라졌다.[7] STN과 한국brt가 가장 먼저 굴절버스가 전멸했으며, 메트로버스다모아자동차는 예비차로 3대씩 남겨뒀다가 2014년에 대차되었다.[8] 반면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관악교통은 서울에서 개선형 상용화 이후로도 앨리슨만 고수하는 골수 앨리슨 업체들이다. 다른 앨리슨 골수 업체들이 전향하는 와중에도 끝까지 유지중인 초골수 업체.[9] 동시에 SE 저상이 사라졌다.[10] 이외에도 동아운수, 도원교통, 경성여객 등이 해당된다.[11] 150번, 500번, 507번[12] 160번, 600번, N16번[13] 영업소 부지가 매우 좁기 때문에 주간 대기차량도 차고지 내에서 여러번 후진과 전진을 해야하고 저상버스도 적으며, 가스충전은 인근의 소하동 충전소까지 넘어갔다 와야 한다. 정비도 경정비 외에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온수동으로 가거나, 도봉산까지 가야한다. 어떨때는 계열사 한성여객 하계동 차고지까지 가는 경우도 있다.[14] 단, 온수동도 차 관리는 못하는 편이다.[15] 차량 옵션도 타 주간선업체들에 비해 떨어지는 편이고, 연식이 오래된 차량들의 경우 봉을 타 차종의 것으로 개조하거나 출입문의 에어가 빠진 상태로 운행하는 차량들이 많다.[16] 그 이외에도 아진교통, 신촌교통, 한성운수가 현재까지도 차량에 람보질을 하고 있다.[17] 반대로 가장 글자수가 짧은 회사는 3자리의 원버스.[본사] 도봉본사 소속[본사] [공동배차1] 군포교통과 공동배차.[석수] 석수영업소 소속[석수] [온수] 온수영업소 소속[공동배차2] 보성운수와 공동배차.[온수] [본사] [본사] [공동배차3] 아진교통, 양천운수와 공동배차.[본사] [공동배차4] 흥안운수, 한성여객, 삼화상운과 공동 배차.[하계] 하계영업소 소속[32] 서울교통네트웍 소속 차량 1대의 관리는 한성여객에 위탁한다. 가스 충전도 도봉공영차고지까지 가지 않으며 7단지영업소에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