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강서구 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시내버스 | 공항버스 | 김포교통 | 다모아자동차[a][b] | 영인운수 | 정평운수 | |
공항리무진 | 공항리무진 | K-리무진 | |||||
마을버스 | 대운교통 | 부민운수 | 염동운수 | 화곡운수 | |||
없어진 버스 회사 | |||||||
시내버스 | 신원교통[c] | ||||||
[a] 주간선버스 회사 / [b] 강서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 [c] 부도 이후, 일부 노선이 화곡교통으로 인수되었다. | |||||||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
서울특별시 강남구 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시내버스 | 도선여객 | 정평운수[a] | ||
공항리무진 | 도심공항리무진 | ||||
마을버스 | 계현운수[a] | 개포운수 | 스마일버스 | 신흥기업 | |
일원교통 | 은곡운수 | 포이운수 | |||
사라진 버스 회사 | |||||
시내버스 | 남산운수 | 서울여객 | 신진운수 | 금진교통 | |
마을버스 | 구룡교통 | 새롬교통 | |||
[a] 강남구 이외 지역에 면허를 둔 업체 | |||||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주식회사 정평운수 株式會社 定平運輸 Jeongpyeong Transportation Co., Ltd. | |
설립일 | 2004년 6월 18일 |
업종 | 시내버스 운송업 |
대표자 | 고배흥, 이호빈, 김효찬, 이현주 |
주요 주주 | 고배흥: 14.51% 이호빈: 13.83% 김효찬: 10.00% 김기찬: 8.51% (2023년 12월 31일 기준) |
기업구분 | 중소기업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직원 수 | 140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
자본금 | 3억원(2023년 기준) |
매출액 | 118억 2,430만 3,564원(2023년 기준) |
영업이익 | 2억 5,696만 1,203원(2023년 기준) |
순이익 | 2억 7,594만 5,387원(2023년 기준) |
자산총액 | 33억 1,776만 8,864원(2023년 기준) |
부채총액 | 19억 5,702만 1,899원(2023년 기준) |
부채비율 | 143.82%(2023년 기준) |
소재지 | 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로8길 17 (개화동, 강서공영차고지) 구룡영업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헌릉로 870 (장지동, 송파공영차고지) |
[clearfix]
1. 개요
4433번 (구룡영업소) | 6645번 (개화본사) |
4권역과 6권역에서 지선버스를 운행하는 전환 시내버스 회사.
2. 상세
강서구 마을버스 업체인 구암교통, 마곡마을버스, 설경운수와 강남구 마을버스 업체인 구룡교통 이렇게 총 4개 업체가 연합해 2004년 6월에 설립됐다.[1]본사에는 구암영업소, 마곡영업소, 부일영업소가 있으며 구룡영업소[2]는 송파공영차고지에 있다.
구암영업소가 6642번, 마곡영업소가 6645번, 부일영업소가 6647번, 구룡영업소가 4433번을 관리하는 방식인지라 사실상 서로 다른 시내버스 업체나 마찬가지다.[3] 하지만 단 한 곳만 독립해도 시내버스 조건인 차량 40대가 깨져버려서 전부 마을버스 업체로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한지붕 네가족(...) 체제를 유지하는 중. 마을버스 업체로 독립해서 자율성을 갖는 것보다는 차라리 서울시의 간섭을 받아도 상대적으로 더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데[4] 모든 영업소의 의견이 일치한 것으로 보인다.[5]
2.1. 차량 관련 이야기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까지는 코스모스를 주로 출고했으나, 2002년에 코스모스가 단종되자 BS090을 주로 출고했으나, 2010~11년에 뽑은 자일대우버스가 문제를 일으키자 그 이후 대우와의 인연을 접고 현대로 완전히 전향했다. 2023년, 6647번에 중국산 중형 전기 저상버스 4대를 출고했지만[6] 이들을 제외하면 여전히 모든 차량이 현대차량이다.과거에는 저상버스는 물론 대형 차량 자체를 아예 출고하지 않던 회사였으나 2017년 6월 29일에 처음으로 저상버스를 첫 도입했다. 초기에는 6642번에 시범 투입해 운행하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6643번의 폐선과 동시에[7] 6645번으로 이동하며 정식 운행을 개시했다. 2023년 9월, 6645번에도 일렉시티 FCEV가 투입됐다.
이후 6645번에 2019년식 개선형 저상을 투입한 뒤 한동안 저상버스 출고 소식이 없었지만, 2022년에 일렉시티 FCEV를 1대 출고하면서 다시 6642번에 저상버스를 투입했다.
또 상사마을 도로폭 문제로 저상버스는 물론 대형버스도 투입할 수 없는 6647번에도 2023년 6월 중형 전기 저상버스인 E-STAR 8이 도입됐다.[8]
아무래도 마을버스 시절부터 다른 전환업체에 비해 평평하고 포장이 잘 된 큰길을 달리는 노선이 많다보니 대형버스나 저상버스 도입이 수월한 특성 때문으로 보여진다. 그래서 4433번을 제외하고 저상버스가 다 투입됐다.[9]
2024년 중순, 그동안 일렉시티 FCEV만 출고하던 정평운수에서 처음으로 일렉시티 EV를 2대 출고했다. 각각 6642번, 6645번에 1대씩 투입된다.
강남구 마을버스의 영향을 받은 4433번은 4권역 마을버스처럼 중문 뒤 1인석 위주로 되어 있으며, 강서공영차고지를 이용하는 6642번, 6645번, 6647번은 중문 뒤 2인석 위주로 되어 있다. 그린시티는 2017년 이후에도 스펀지 시트가 기본이나, 6645번에 로우백 시트가 장착된 그린시티가 1대 있으며 취소분으로 추정된다.
서울 시내버스에서 마지막으로 BS090 F/L를 굴렸으며 2023년 11월 말에 서울 시내버스에서의 팬더 차량과 이 회사의 자일대우버스는 전멸했다.
2023년 6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에서 처음으로 E-STAR 8을 2대 출고했다.
공용 예비차량이 없다. 강서구 노선들은 이 회사 최고의 파트너인 다모아자동차 덕택으로 평소에는 차량점검, 관리를 매우 잘하는 편이지만, 예비차가 없어서인지 사고 차량을 땜빵해서 운행하다가 주말에 감차때 수리하거나, 타 노선 차량으로 돌려막기를 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4433번은 강남구 마을버스처럼 돌아가는 노선이라서 그런지 차량 관리를 상당히 못하는 편이다. 중간에 시동이 꺼지거나 방전되면 다른 마을버스나 시내버스로 탑승객을 바톤터치하는 일도 빈번하다.
차량 관리 또한, 강서공영차고지를 총괄하는 중심업체이자, 차량 관리를 매우 잘하기로 유명한 업체인 다모아자동차에 차량 정비를 위탁하기 때문에 차량 상태가 매우 우수하다.[10] 또한 다모아자동차의 영향을 받아 친절한 기사가 꽤 있다.[11]
2.2. 처우 관련 이야기
2023년 이후 강서구에는 강서공영차고지를 이용하는데다가 모든 노선이 공차회송없이 강서공영차고지(개화역광역환승센터 정류장)에서 발착하고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마을버스 시절에 달리던 굴곡이 심하고 불량한 선형을 대부분 직선화시켰기 때문에 큰 길을 달리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웬만한 지선버스나 선형이 좋지않은 몇몇 간선버스 노선보다도 선형이 훨씬 좋아 젊은 기사들도 입사하는 추세이다. 특히 파트너인 다모아자동차 입사에 앞서 경력을 쌓기 위해 잠시 몸 담았다가 점차 버스 운전 실력에 대해 숙련도가 쌓이면 자리를 빼는 회사로 생각하고 들어오는 다모아자동차 입사 희망자가 정평운수에 꽤 많다. 다모아자동차 자체가 주간선업체라서 다른 서울 회사대비 상당히 까다롭게 채용하는 만큼, 정평운수를 준비운동 차원으로 생각해서 들어오는 경우가 많다.반면 4433번을 담당하는 구룡영업소는 마을버스 회사와 계열 관계이다보니 이 노선도 마을버스 체제로 노선이 운영되기 때문에 차량 관리 실력이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며 승무원 처우도 영 좋지가 않아[12] 점심시간에는 마을버스 기사처럼 외부 식당을 방문하거나 노상에서 도시락을 포장해서 식사를 해결하는 경우가 많다. 이래서인지 시내버스 노선치고는 구룡영업소 소속 승무원의 근속연수가 상당히 짧아 기사모집 포스터를 상시 부착할 정도로 인력난이 꽤 심해 마을버스 분위기를 제대로 풍긴다.
3. 면허 체계
- 서울 70 사 8103 ~ 8160호
- 강서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 면허.
- 서울 71 사 2211 ~ 2213, 2262 ~ 2263, 2265 ~ 2266, 2292호
- 강서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 면허.
- 서울 75 사 5330 ~ 5331호
- 정평운수 증차 면허.
- 서울 75 사 8101 ~ 8102, 8104, 8106 ~ 8107, 8111 ~ 8124호
- 강서구 소재 마을버스 회사 증차 면허.
3.1. 타 회사 출신 면허
- 서울 70 사 9372, 9421 ~ 9424호
- 강남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 면허. 정확히는 구룡교통 면허다.
- 서울 75 사 3284, 3286, 3353호
- 구룡교통 면허.
4. 운행 노선
밑줄 표기 구간은 양방향이 동시에 경유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버스 행선판으로 목적지를 확인한 후 이용해야 한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4433 [구룡] | 대치역 | 개포동역 - 개포도서관 - 개포고등학교 - 포이사거리 - 매봉역 | 양재역 | 6~11 |
6642 [구암] | 개화역 환승센터 | (→ 방화중학교 →/ ← 롯데몰.김포공항역 ← ) - 강서면허시험장 - 마곡나루역 - 양천향교역 → 등촌주공4단지 → 서울서진학교 → 가양2단지 → 양천향교역 → 발산역 → 우장산역 → 강서구청 → 가양역 → 가양9단지 → 증미역 → 가양2동강변아파트 → 가양2단지 → 양천향교역 | 가양주공 | 10 ~ 15 |
6645 [마곡] | (→ 방화중학교 →/ ← 롯데몰.김포공항역 ← ) - 송정역 - 마곡나루역 - 발산역 → 등촌6단지 → 가양5단지 → 증미역 → 가양9단지 → 가양역 → 강서구청 → 우장산역 → 발산역 → 양천향교역 → 가양2단지 → 가양4단지 → 등촌6단지 → 등촌5단지 → 발산역 | 9 ~ 20 | ||
6647 [부일] | 상사마을 - (→ 방화초등학교 →) 개화산역 - 공항시장역 - (← 신방화역 ← 서남환경공원 ← 신방화역 ←) - 송정역 - 공항동송정중학교 - (← 강서농산물시장 ←) | 강서면허시험장 | 8 ~ 15 |
5. 과거 보유 노선
- 서울 버스 4426(개포동 - 양재역): 구 10-1. 이 노선에서 4433이 파생되기 전 까지는 나름 가축수송을 했으나, 2대가 4433으로 나간 후 6대로는 수요가 좋지 않았는지 나중에는 35분 간격으로 운행하다가
물론 신설 당시의 4433번은 55분이었다.결국 2013년 3월 19일에 4433번으로 흡수. - 서울 버스 6643(증미역 - 증미역): 2017년 8월 5일부로 6642번으로 통합.
- 서울 버스 6644(가양9단지 - 가양9단지): 2008년 7월 5일부로 6642번으로 통합.
- 서울 버스 6646(경남/길훈아파트 - 방화역): 6647번으로 통합.
6. 보유 차량
6.1. 현재 보유 차량
6.1.1. 현대자동차
- 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그린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 현대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
6.1.2. 범한자동차
6.2. 과거 보유 차량
6.2.1. 현대자동차
6.2.2. 기아
6.2.3. 자일대우버스
7. 지배구조
2023년 12월 기준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김진만 | 17.66% | 사내이사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고배흥 | 14.51% | 각자대표이사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이호빈 | 13.83% | 각자대표이사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성시영 | 13.83% | 사내이사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오영길 | 13.15% | 사외이사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김효찬 | 10.00% | 각자대표이사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김기찬 | 8.51% | [17]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변서연 | 8.51% |
8. 둘러보기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colcolor=#fff> 강남구 | 도선여객 | 정평운수 | |
강동구 | 서울승합 | |||
강북구 | 동아운수 | 선일교통 | 삼양교통 | |
영신여객 | 한성운수 | |||
강서구 | 공항버스 | 김포교통 | 다모아자동차 | |
영인운수 | 정평운수 | |||
관악구 | 관악교통 | 보성운수 | 한남여객운수 | |
광진구 | 신흥운수 | |||
구로구 | 군포교통 | 보성운수 | 서울매일버스 | |
금천구 | 범일운수 | 보영운수 | 신인운수 | |
노원구 | 흥안운수 | 삼화상운 | 한성여객 | |
진아교통 | 태릉교통 | |||
도봉구 | 서울교통네트웍 | 아진교통 | ||
마포구 | 다모아자동차 | 유성운수 | ||
서대문구 | 서부운수 | 신촌교통 | 원버스 | |
현대교통 | ||||
서초구 | 대흥교통 | 삼성여객 | 우신운수 | |
우신버스 | ||||
성동구 | 태진운수 | 대원교통 | 대원여객 | |
성북구 | 대진여객 | 도원교통 | 상진운수 | |
송파구 | 남성버스 | 동성교통 | 대성운수 | |
서울버스 | 송파상운 | 진화운수 | ||
한국brt | 한서교통 | |||
양천구 | 관악교통 | 도원교통 | 세풍운수 | |
신길교통 | 양천운수 | 중부운수 | ||
은평구 | 보광교통 | 신수교통 | 선진운수 | |
원버스 | 유성운수 | 제일교통 | ||
종로구 | 동해운수 | |||
중랑구 | 경성여객 | 대원교통 | 메트로버스 | |
보광운수 | 북부운수 | |||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 ||||
동대문구 | 동작구 | 영등포구 | 용산구 | |
범례 | ||||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 흥안운수 계열사 |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 KD 운송그룹 계열사 | |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정평운수 구룡영업소 계열사 | ||
정평운수 구룡영업소 | 개포운수 | |
광일운수 | 새롬교통 | 포이운수 |
[1] 사실 강서구의 3개 마을버스 회사들은 김포교통 마을버스 사업부에서 분리된 업체였다. 김포교통이 마을버스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6642번인 구 강서구 2, 2-1번(가양마을버스 2번)은 구암교통(現.구암영업소), 현재의 6645번인 구 강서구 1, 1-1번(가양마을버스 1번)은 구암교통과 마곡마을버스(現.마곡영업소) 공동배차, 현재의 6647번인 구 강서구 7, 7-1번(방화마을버스)은 설경운수(現.설경(부일)영업소)로 분리되어 출범한 마을버스 회사들이다. 이래서인지 강서공영차고지 개장 이전에는 정평운수의 강서구 노선들이 김포교통 노선들과 인사하거나 김포교통의 본사인 방화동차고지 공동 사용과 공동 배차를 하는 등 김포교통과도 교류를 계속 했다. 물론 강서공영차고지가 생기고, 개편전부터 근무한 기사들 대다수가 은퇴한 지금은 김포교통과의 접점이 사라지고 같은 차고지를 사용하는 공항버스나 영인운수, 다모아자동차, 강서구 지역 마을버스 회사들과 인사를 하며 다닌다. 특히 다모아자동차의 경우에는 옛 모기업인 김포교통의 출자와 더불어서 개편전 마을버스 시절도 그렇고 정평운수가 서울특별시 우수 시내버스 회사로 손꼽히게 되기까지 많은 도움을 줬으며, 지금도 졍평운수에서 잠시 근무하고 다모아자동차로 넘어가거나 반대로 다모아자동차에서 정평운수로 이직하는 기사들이 많기 때문에 매우 친하게 지내는 편.[2] 광일운수, 포이운수, 개포운수, 새롬교통과 계열 관계에 있다.[3] 비슷한 사례로 인천 신동아교통, 성원운수, 성산여객 등 일부 지선버스 컨소시엄 업체들과 주간선업체의 한국brt가 있다. 여기는 출자한 업체들이 한곳에서만 모여서 출자하지 않고 여기저기에서 관계도 어색한 다양한 업체들이 몰려와서 마구잡이로 출자해서 생긴 상황이다. 진관영업소, 도봉영업소, 송파영업소 다 남남으로 느끼는 것은 한국brt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래도 정평운수에 비하면 각 영업소 간의 이질감은 덜한 편.[4] 마을버스는 환승할인 보조금 등의 정해진 지원금만 받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승객 수가 많아야 수익을 낼 수 있는 반면, 시내버스는 서울시에서 대개편 뒤, 표준운송원가를 지급한다. 2017년 기준으로 1대당 1일 68만원을 받기 때문에, 대놓고 돈지랄을 하는게 아닌 이상 웬만해선 시내버스 업체가 망할 일이 없는 것. 마을버스 업체들이 다 폐선하겠다며 시위하는 이유도 결국 마을버스도 표준운송원가를 보장하라는 이유이고, 경기도의 일부 시내버스 업체들이 도에다가 준공영제를 요구하는 이유도 이 표준운송원가 때문이다. 참고로 이 표준운송원가 등의 수익 보장은 경기도 공공버스가 벤치마킹해 갔다.[5] 반면 일부 전환 시내버스 업체의 경우, 영업소 일부가 마을버스 업체로 독립해나가는 바람에 결국엔 공중분해되기도 했다. 대운교통, 금진교통이 그 사례로, 일부 영업소가 탈퇴하는 바람에 시내버스 인가 대수 40대 밑으로 떨어져 결국 마을버스 업체가 되어버린 것. 하지만 보유 대수가 40대를 넘는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자진해서 마을버스 업체로 전환해버린 경우도 당연히 존재하며 번창교통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태진운수도 여의도 순환노선들을 마을버스화시킨 후 태진마을버스라는 별도의 회사로 분리시켰다. 마을버스는 대개 단거리 위주인데 승객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수익이 크기 때문에, 서울시의 시내버스 표준운송원가 보다 오히려 더 남는 장사일 수도 있고 서울시의 간섭에서 상대적으로 더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 다만 대형업체 같은 경우는 예외이다 실제로 강동01번 1개 노선만 운영하는 신명운수의 경우에도 2004년 개편 당시 타 지역 마을버스 업체와 연합해서 시내버스 전환업체 지위를 갖는걸 고려했지만, 강동구 관내에서 독점 구간이 많아 수익도 좋은데다 서울시의 간섭을 많이 받는게 영 내키지 않아서 그냥 마을버스 업체로 남았다고 회사 대표가 언급한 바 있다.[6] 6647번 4대 모두 앞서 언급한 10~11년식 자일대우버스 대차분이다. 나머지 9대는 그린시티이다.[7] 이 과정에서 6642번과 6645번의 노선 및 인가댓수 변경이 있었다.[8] 여담이지만 전환 시내버스 업체 중 최초로 대형차를 도입한 회사는 원버스이며 저상버스는 정평운수가 도입한 이후 보광운수도 얼마 안가 도입했다. 물론 아예 일반업체로 승격한 양천운수까지 포함하면 2번째가 된다. 대형버스가 아예 없었던 성원여객까지 도입했기 때문에 모든 전환업체들이 대형차를 보유한다. 단, 대형 고상버스는 정평운수만이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지 않다.[9] 4433번은 전기충전소 부재로 인해 한시적으로 예외 인정을 받았다.[10] 강서공영차고지에 입주한 회사들은 소속된 자사 차량을 웬만해선 다모아자동차에게 정비를 위탁한다. 이 회사 외에도 공항리무진이나 공항버스, 기타 강서구 및 양천구 마을버스 업체들 나머지의 차량도 각각의 대표가 다모아자동차에게 정비를 위탁했기 때문에 강서공영차고지의 모든 소속 차량들은 공항버스나 시내버스, 마을버스 모두 다 다모아자동차에게 차량 정비를 위탁해서 다모아자동차 측 정비사들이 대신 정비해주고 있다. 그 밖에도 영인운수나 김포교통도 차량의 문제가 심각할 경우, 가끔씩 다모아자동차에게 정비를 도움받고 있다. 특히 영인운수의 경우에는 외발산동 버스 차고지 방화사건 때문에 한동안 신세를 지곤 했다.[11] 강서공영차고지로 이전하기 전인 2010년 이전에는 다모아자동차와 전혀 인연이 없었기 때문에 마을버스 성격이 그대로 남아있어 차량 관리 상태도 엉망인데다, 난폭운전이나 불친절까지 겹치며 한때 서울특별시에서 가장 악명높은 시내버스 회사중 하나였다. 강서공영차고지로 이전한 뒤에는 다모아자동차의 영향을 받으며 현재는 서울특별시 우수 시내버스 업체중 하나로 손꼽힐 정도로 엄청나게 성장했다.[12] 주로 초보기사나 촉탁직 승무원을 모집한다.[구룡] 구룡영업소 소속[구암] 구암영업소 소속[마곡] 마곡영업소 소속[부일] 부일영업소 소속[17] 전 각자대표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