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15:35:14

서울 버스 1144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5bb02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1권역 지선버스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1014 1017 1020 1111 1112
1113 1114[a] 1115 1116 1119
1120 1122 1124[a] 1126 1127
1128 1129[a] 1130[a] 1131 1132
1133 1135 1136[a] 1137 1138
1139 1140 1141 1142 1143
1144 1154 1155 1162[a] 1164[a]
1165 1167 1213 1218 1221
1222 1224 1226 1227 1711
[a] 차등요금 적용 노선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2px"
}}}}}}}}} ||
파일:1144_8704.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노선6. 연계 철도역

1. 개요

한성여객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9.9km다.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44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144 노선도.svg
기점 [출발]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한성여객종점)
[도착]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하계미성아파트.을지병원)
종점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진성빌라사거리)
종점
첫차 04:40 기점
첫차 05:24
막차 23:40 막차 00:22
평일배차 10~18분 주말배차 15~22분
운수사명 한성여객 인가대수 9대[1]
노선 한성여객종점 - 하계역 - 중평초등학교 - 서울아이티고등학교 - 창동주공17단지 - 창동동아아파트 - 상계6동우체국 - 도봉면허시험장 - 상계주공10단지 - 방학사거리 - 방학동신동아아파트 → 연산군정의공주묘 → 북한산우이역 → 진성빌라사거리 → 청구아파트 → 방학동신동아아파트 → 이후 역순

3. 역사

  • 구 333번 도시형버스(하계동 - 대지극장) 노선이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수유역으로 단축되고 1144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2]
  • 2005년 10월 20일에 수유역을 미경유하고 삼양동입구사거리까지 연장되었다.[3]
  • 2018년 10월 12일부터 평일 운행횟수가 2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로 인한 배차간격 변화는 매우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 2019년 5월 13일을 기해 동년 9월 30일까지, 하절기 감압충전 및 차내 냉방 실시에 의한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대당 1일 운행횟수를 일시적으로 감축 운영했다. 이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각각 4회씩 감회되었으며, 본래 전일에 걸쳐 15분인 최대 배차간격도 2분 늘어난 17분으로 조정 운영되었다.하절기 운행계통 한시적 변경 공문배차간격 재조정 및 소급 적용 공문
  • 2019년 12월 30일을 기해 본래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46분/146분/138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52분/150분/145분으로 늘고 이에 따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각각 4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토요일 최소 배차간격이 8분에서 10분으로 늘었으며 10~15분이던 공휴일 배차간격도 12~16분으로 늘었다.관련 공문1관련 공문2
  • 2020년 3월 13일에 우이동성원아파트~도봉세무서 구간과 상계주공2단지 구간이 단축[4]되었고, 청한빌라와 초당초등학교를 경유하여 편도회차하게 되었고 04:30/23:00였던 기점 첫막차시각이 05:00/23:40으로 늦춰졌다. 또한 차량 10대가 감차되어 8대는 1120번에, 나머지 2대는 각각 1대씩 1131번, 1141번에 증차되었다.[5]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의 운행 댓수가 각각 8대/6대/7대씩 감축되고, 노선 단축에 따른 인가 운행소요시간 감소로 정상운행차량과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모두 증편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10회/4회/15회씩 감회되었다. 이번 노선조정 및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배차간격이 평일 8~15분/토요일 10~15분/공휴일 12~16분에서 평일 12~20분/토요일 14~22분/공휴일 16~25분으로 크게 늘었다. 문서 하단의 통계 자료로 유추할 수 있듯 노선 전 구간의 평균치로 따지면 승객수가 많지는 않은 편이나, 출퇴근시간에는 방학로~노원역 구간에서 이용객이 상당히 많고 혼잡도가 높은 노선인 만큼 배차간격 대폭 증가에 따른 시민 불편 발생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관련 공문(서울시 버스운송사업조합)관련 공문(서울시 버스정책과)
  • 2020년 5월 6일을 기해 예비차 1대가 증차되면서 고정 예비차량이 생겼고[6], 이와 동시에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84분/83분/79분에서 100분/98분/92분으로 늘어나고 정상운행차량과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모두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8회/7회/6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현재 평일 12~20분/토요일 14~22분/공휴일 18~25분이던 배차간격도 평일 14~18분/토요일 15~20분/공휴일 15~22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 2020년 7월 6일을 기해 동년 10월 5일까지, 하절기 감압충전 및 차내 냉방 실시에 의한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대당 1일 운행횟수를 일시적으로 감축 운영했다. 이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4회씩, 공휴일의 경우 3회 감회 운영되었으며,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의 배차간격도 13~20분/15~22분으로 조정 운영되었다.관련 공문1관련 공문2
  • 2020년 11월 7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00분/98분/92분에서 105분/100분/94분으로 늘어나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 역시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4회씩, 공휴일의 경우 3회 감회됐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본래 각각 14~18분/15~20분/15~22분이던 평일/토요일/공휴일의 배차간격이 13~20분/15~22분/18~22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1관련 공문2
  • 2022년 5월 2일을 기해 1대가 증차되면서[7] 평일과 공휴일의 운행 댓수가 1대씩 증편되었고, 그외 동시에 본래 1대 있던 평일 단축운행차량도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평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는 68회/54회에서 81회/63회로 각각 13회/9회씩 증회되었으며 최소/최대 배차간격은 평일의 경우 13~20분에서 10~16분으로, 공휴일의 경우 18~22분에서 15~22분으로 줄었다.관련 공문
  • 2022년 6월 3일을 기해 기점 첫차시각이 05:00에서 04:40으로 20분 앞당겨졌으며, 평일 최대 배차간격이 16분에서 18분으로 늘어났다.(단,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는 현행 유지)관련 공문
  • 2022년 7월 1일부터 동년 8월 31일까지 하절기 에어컨 가동 및 가스 감압충전의 영향에 따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일시적으로 감축되었고, 이에 따라 이 기간동안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81회/63회/63회인 1일 총 운행횟수도 전일에 걸쳐 1회씩 감회된 80회/62회/62회로 운행했다. 다만 최소/최대 배차간격 자체에 대한 변동은 전일에 걸쳐 없었다.관련 공문

4. 특징

파일:1144다음정류장이어디냐.png
  • 말로도_지도로도_설명_못하는_기기묘묘한_노선.png 기사도 가끔 헷갈린다고..
    골목길과 위 사진과 같은 길[하행][상행]을 지나다녔고, 선형도 매우 굴곡졌기에 배차간격이 좋지 않았다.[참고] 그나마 지금은 그나마 개선/안정화가 된 것으로, 구 333번 버스 시절엔 정말 다니는 게 맞나 하는 의구심을 유발할 정도였다. 출퇴근 시간에 10~15분 기다리는 건 예사고, 힘들게 기다린 끝에 온 버스는 사람이 너무 많아 정차만 할 뿐 문은 안 열어 주는 사태도 비일비재했다. 그나마 2020년 3월 13일부로 이 굴곡 자체는 없어졌지만, 대폭 감차된 끝에 배차간격은 더욱 개악되었다.
  • 방학, 쌍문 지역에서 서울문화고등학교와 노원고등학교로 통학할 수 있는 유일한 노선이였고, 노원역과 최단 거리로 연결해주는 노선이라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항상 아침 시간 대에는 수요가 아주 많다.

파일:간지폭발1144.jpg
  • 한때 해당 노선의 버스가 합성된 사진이 "간지폭발 버스"라는 이름으로 인터넷상에서 인기를 끌기도 했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44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8,216명 -
2014년 7,894명 ▽ 322
2015년 7,638명 ▽ 256
2016년 7,243명 ▽ 395
2017년 6,867명 ▽ 376
2018년 6,697명 ▽ 170
2019년 6,549명 ▽ 148
2020년 2,781명 ▽ 3,768
2021년 2,114명 ▽ 667
2022년 2,497명 △ 383
2023년 2,801명 △ 304
2024년 2,918명 △ 117
※ 하차 인원 미포함

5.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44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쌍문동우이빌라
10202
쌍문동청한빌라
10200
초당초등학교
10204
진성빌라사거리
09105
방학동우성아파트
10206
우이동성원아파트
09103
청구아파트
10747
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
09102
방학3동주민센터
10302
한국사회봉사회
10343
방학3동신동아프라자
10208
연산군정의공주묘
10185
이상 회차 구간
방학동신동아타워
10186
방학동신동아타워
10187
방학동신동아아파트
10189
방학동신동아아파트
10190
방학초등학교
10191
방학초등학교
10192
신한은행방학동지점
10193
신한은행방학동지점
10194
방학사거리
10195
방학사거리
10196
서울문화고등학교
10198
서울문화고등학교
10199
노원고등학교
11181
노원고등학교
11270
임광아파트상가
11182
상계주공10단지상가
11271
대림아파트상가
11184
-
도봉면허시험장
11186
도봉면허시험장
11185
노원구청
11250
상계6동우체국
11590
창동농협물류센터
10144
창동농협물류센터
10145
창동역동측
10146
-
창동동아아파트
10148
창동동아아파트
10147
창동주공19단지
10150
창동주공19단지
10149
창동주공18단지
10152
창동주공18단지
10151
창동주공17단지
10278
창동주공17단지
10279
마들근린공원.노원에코센터
11247
마들근린공원.노원에코센터
11248
그린아파트101동앞
11460
그린아파트101동앞
11432
북부여성발전센터앞
11461
북부여성발전센터앞
11431
서울아이티고등학교
11370
서울아이티고등학교
11371
건영옴니백화점
11368
브라운스톤중계.우리은행앞
11369
중평초등학교
11456
중평초등학교
11451
하계장미아파트
11455
하계우성아파트
11454
하계미성아파트.을지병원
11425
하계역
11426
- · 한성여객종점
- · 11428
}}}}}} ||

6. 연계 철도역



[1] 토요일 / 공휴일 7대 운행[2] 회차방식은 수유역에서 한천로로 우회전하여 번동사거리에서 덕릉로에 진입하는 방식이었다.[3] 1216번이 410번으로 형간전환 및 인수동~미아역 구간을 미경유하여 변경되었다.[4] 해당 구간은 1120번이 연장된다.[5] 감차되는 차량은 정규 8대 + 잉여예비 2대의 구성. 정확히는 기존 1144번 소속 차량 중 2대만 남고 모두 1120번으로 넘어가며, 기존 1120번 차량 중 1131번과 1141번에 각각 1대씩 증차되고 나머지 6대가 1144번으로 이동.[6] 증차분은 1120번 예비차 감차분이며, 이 노선에서도 계속 비투입 예비차량으로 남을 예정이다.[7] 증차분은 172번 감차분이다.[하행] 창동농협물류센터~상계주공2단지상가[상행] 상계주공2단지223동~창동역동측[참고] 이 구간을 저상버스를 타고 지날 때 노면 상태가 매우 불량하므로, 조심해야 한다.[11] 창동주공17단지 하차[12] 도봉면허시험장 하차[13] 우이동 방면은 상계6동우체국 하차, 하계동 방면은 노원구청앞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