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12:33:12

서울 버스 1128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5bb02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1권역 지선버스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1014 1017 1020 1111 1112
1113 1114[a] 1115 1116 1119
1120 1122 1124[a] 1126 1127
1128 1129[a] 1130[a] 1131 1132
1133 1135 1136[a] 1137 1138
1139 1140 1141 1142 1143
1144 1154 1155 1162[a] 1164[a]
1165 1167 1213 1218 1221
1222 1224 1226 1227 1711
[a] 차등요금 적용 노선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2px"
}}}}}}}}} ||
파일:1128 6483 일렉.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노선4.2.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개요

아진교통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9.1km다.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28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128 노선도.svg
기점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도봉산입구) 종점 서울특별시 성북구 하월곡동(성가복지병원)
종점
첫차 04:30 기점
첫차 05:20
막차 22:50 막차 23:45
평일배차 10~13분 주말배차 10~13분
운수사명 아진교통 인가대수 14대(예비 1대)[1]
노선 도봉산입구 - 도봉동한신아파트 - 도봉역 - 도봉동성당 - 방학동도깨비시장 - 방학3동신동아프라자 - 선덕고등학교 - 둘리뮤지엄 - 광산사거리 - 수유역 - 화계사입구 - 삼양역 - 삼양동사거리 - 미아사거리역 - 성가복지병원 → 종암SK아파트 →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고등학교 → 종암동주민센터 → 성가복지병원 → 이후 역순

3. 역사

  • 2004년 7월 1일 서울 시내버스 개편 때 15번 도시형버스 노선이 1147번으로 개편되면서 단축된 구간과 2-1번 도시형버스 노선이 폐선되면서 폐지된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 신설되었다. 운행구간은 '도봉산 - 도봉역 - 안방학동 - 선덕고 - 숭미초 - 수유역 - 우이천 - 신창동 - 녹천역 - 창동역 - 노원구청 - 노원역 - 상계7단지 - 마들역 - 수락산역 - 도봉산'이었다.
  • 2005년 4월 14일에 순환선의 동쪽 고리인 상계동, 창동 구간을 단축하였다. 그리고 도봉산에서 안방학동, 수유역, 삼양동 경유 월곡동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변경했다. 개편 전 삼양동에는 127, 235-1과 같이 수유역으로 가던 노선들이 있었으나, 개편 후 삼양동 일대에 수유역으로 가던 노선들이 전부 사라졌다. 이로 인해 주민들의 불편해소를 위해 삼양로를 경유하게 되었다.
  • 2019년 7월 1일에 평일 운행시간이 기존보다 7분 늘어난 115분으로 조정되었으며, 평일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4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폭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 공문
  • 2019년 10월 1일에 단축운행차량 1대가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4회 증회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공문
  • 2020년 2월 10일에 토요일/공휴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3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공문
  • 2020년 3월 2일에 1대가 감차되었다. 감차분은 같은 날에 신설된 8112번으로 이동했다.
  • 2021년 10월 18일부터 종암사거리 우회전 구간의 상습 정체 문제로 인해 회차 구간이 '종암사거리 → 월곡역 → 사대부중앞 → 종암동 → 종암사거리 → 길음역' 순으로 변경되었다. 월곡역에서 사대부중앞까지는 월곡로를 경유하는데, 이 구간은 개편 전 구 133번이 폐선된 뒤로 노선버스가 다니지 않았다. 이번 노선 연장으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은 108/103/103분에서 120/115/115분으로 늘었으며, 정상운행차량과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운행횟수가 모두 감축되어 1일 총 운행횟수 역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04/80/80회에서 102/78/78회로 각각 2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배차간격은 종전과 거의 변화가 없다. 출처, #, 관련 공문1, 관련 공문2
  • 2022년 2월 10일부터 도봉산 방향 회차구간이 '종암사거리 → 돈암1동주민센터 → 길음2동주민센터 → 미아사거리역'에서 '종암사거리 → 성가복지병원 → 미아사거리역'으로 조정되었다. 이번 노선 조정으로 정상운행차량과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운행횟수가 모두 증편되어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02/78/78회에서 104/80/80회로 각각 2회 증회되었다. 배차간격은 종전과 같다.관련 공문
  • 2022년 2월 26일을 기해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평일은 120분에서 130분으로, 토요일/공휴일은 115분에서 120분으로 늘었고 평일/토요일/공휴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는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가 96회/76회/78회로 8회/4회/2회씩 감회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동에 따른 각 요일별 최소/최대 배차간격의 변동은 없었다.관련 공문

4. 특징

  • '도봉산 - 수유역'은 2004년 개편 전에 운행했던 구 2-1번을 대체한다.
  • 공식 배차간격보다 뜸하게 올 때가 잦다.
  • 지선버스 중 유일하게 월곡동 방향으로 미아사거리역을 중앙차로로 운행하지 않는다. 도봉산 방향은 중앙차로로 운행한다.
  • 굴곡이 있다. 도봉산역에서 출발해서 잘 가다가 안방학동을 경유하고, 수유역에서 미아사거리역까지는 삼양동을 경유한다.

4.1.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28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서울사대부설고등학교
08412
서울사대부설중학교
08411
숭례초등학교
08155
일신초교.래미안라센트아파트
08410
종암동주민센터
08153
종암SK아파트
08130
종암사거리입구
08151
KT월곡지사
08128
이상 회차 구간
성가복지병원
08149
성가복지병원
08148
- 미아사거리
08249
미아사거리역
09012
미아사거리역
09260
삼양입구사거리
09174
삼양입구사거리
09176
성암국제무역고등학교
09172
성암국제무역고등학교
09173
삼양동사거리
09170
삼양동사거리
09171
삼양사거리역
09165
삼양사거리역
09164
삼양초등학교
09163
삼양초등학교
09162
롯데마트삼양점.래미안1차아파트
09161
롯데마트삼양점.래미안1차아파트
09160
빨래골입구.서울수유초등학교
09159
빨래골입구.수유1동주민센터
09158
수유보건지소
09157
수유보건지소
09156
강북노인종합복지관
09143
강북노인종합복지관
09142
신일병원
09145
신일병원
09144
수유역.강북구청
09004
수유역.강북구청
09272
강북구청
09147
강북구청
09146
- 광산사거리
09200
광산사거리
09201
강북중학교
09198
쌍문초등학교
10222
쌍문초등학교
10223
숭미초등학교
10224
숭미초등학교
10225
둘리뮤지엄.대우이안극동아파트
10226
둘리뮤지엄.대우이안극동아파트
10227
세그루학원
10276
세그루학원
10277
방학3동주민센터
10302
방학신동아1단지.방학3동주민센터
10519
방학3동신동아프라자
10208
방학3동신동아프라자
10188
방학동신동아타워
10186
-
방학동신동아아파트
10189
방학동신동아아파트
10190
방학초등학교
10191
방학초등학교
10192
신한은행방학동지점
10182
신한은행방학동지점
10183
도깨비시장
10309
방학동도깨비시장
10310
방학중학교정문
10180
방학중학교정문
10181
방학2동주민센터
10167
방학2동주민센터
10168
방학2동공영주차장
10165
방학2동공영주차장
10166
오봉초등학교
10163
오봉초등학교
10164
천주교도봉동교회
10161
천주교도봉동교회
10162
도봉견인차량보관소
10109
도봉견인차량보관소
10110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도봉역성황당
10107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도봉역성황당
10108
도봉동한신아파트
10104
도봉동한신아파트
10103
김근태기념도서관.도봉고등학교
10155
도봉고등학교
10154
도봉산입구
10317 · 10153
}}}}}} ||

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28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7,079명 -
2014년 7,189명 △ 110
2015년 7,303명 △ 114
2016년 7,166명 ▽ 137
2017년 7,075명 ▽ 91
2018년 6,771명 ▽ 304
2019년 6,725명 ▽ 46
2020년 5,711명 ▽ 1,014
2021년 6,026명 △ 315
2022년 6,422명 △ 396
2023년 6,589명 △ 167
2024년 6,783명 △ 194
※ 하차 인원 미포함
  • 반대편 (창동) 쪽을 다니는 1127번보다 수요가 확실히 더 많다.

5. 연계 철도역


[1] 토요일 / 공휴일 12대 운행